검색결과
  • KAIST, 8개 ‘KAIST 연구원’ 설립…다양한 주제 최첨단 융합 연구

    KAIST, 8개 ‘KAIST 연구원’ 설립…다양한 주제 최첨단 융합 연구

    KAIST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와 학생들이 KI 연구원에서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KAIST] KAIST(한국과학기술원)의 ‘바이오 및 뇌공학과’는 융합연구를 위해 2002년에

    중앙일보

    2012.05.30 04:00

  • [건강 칼럼] 같은 통증이라도 ‘온열 & 한랭 치료’ 선택 달라

    [건강 칼럼] 같은 통증이라도 ‘온열 & 한랭 치료’ 선택 달라

    최근 들어 인공적인 열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온열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열을 이용하여 각종 질병이나 증상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는 이미 수천년간 사용되어 왔다. 문헌

    중앙일보

    2010.11.17 09:40

  • [2010 건강주치의 전립선비대증 편] - 늘푸른 비뇨기과 최준호 원장님을 만나다

    늘푸른 비뇨기과는 남성 비뇨생식기의 질환만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며 그 중에서도 남성 성 의학분야에 중점을 두어 환자가 올바른 성 지식과 문화를 이해하고 성고민을 의학적으로 치료하는데

    온라인 중앙일보

    2010.06.09 13:40

  • 뉴욕 벤치에 앉아 읽는신문 제목까지 엿볼 수 있다①

    /* 우축 컴포넌트 */.aBodyComTit {background-color:#0a6a46; font-size:12px; font-weight:bold; color:#fff;

    중앙일보

    2009.11.27 10:51

  • “2014년까지 전국에 ‘그린 공항’ 시대 열 것”

    “2014년까지 전국에 ‘그린 공항’ 시대 열 것”

    ‘전국 지방공항을 2014년까지 친환경 에어포트로…’. 김포공항을 비롯해 제주·김해 등 전국 14개 지방공항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의 녹색 비전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이를 위해

    중앙일보

    2009.06.12 00:01

  • 핵물리학자 "실제위협보다 과시용인듯"

    한국 과학계의 중심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이자 명지대학교 총장인 정근모 박사의 북한 핵실험 발표와 관련한 과학자로서의 견해를 10일 매일경제가 보도했다. 정

    중앙일보

    2006.10.10 08:01

  • 20g의 참을 수 없는 무거움-전립선 질환

    '여성의 나이는 주름으로 오고 남성의 나이는 화장실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나이가 들면서 남성들만의 남모를 속병은 오줌발에서 시작된다. 씩씩하게 치솟던 것이 점차 가늘어지다가

    중앙일보

    2006.07.10 14:42

  • 'DMB폰 최강' 베를린 격돌

    'DMB폰 최강' 베를린 격돌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방송 및 가전 전시회인 'IF 2005'에서 새로운 개념의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휴대전화기를 출품한다. 지난 3월

    중앙일보

    2005.08.31 18:26

  • 통합무선통신망 2년째 표류

    대형 재난이 발생할 경우 관련 기관의 통신망을 하나로 묶는 통합지휘무선통신망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감사원이 재난 관련 기관을 감사한 뒤 통신체계를 정비하도록 지시한 것은 2002

    중앙일보

    2004.10.04 21:39

  • [과학과 미래] 야생동물 비밀생활 벗긴다

    [과학과 미래] 야생동물 비밀생활 벗긴다

    현대 동물행동학의 창시자로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콘라트 로렌츠(오스트리아, 1903~89)박사는 동물을 관찰하는 방법이 유별났다. 최근 번역돼 나온 '야생거위와 보

    중앙일보

    2004.02.18 15:36

  • 세계 최초 원격 신장수술 성공

    세계 최초의 국가간 원격 신장 수술이 19일 호주-뉴질랜드 의료진에 의해 성공리에 이뤄졌다. 호주 최고의 신장 전문의인 브리스번 '프린세스 알렉산드라' 병원의 데이비드 니콜 박사는

    중앙일보

    2003.05.20 14:39

  • [이라크 전쟁] 美, 통신 끊는 e폭탄 첫 실전 투하

    [이라크 전쟁] 美, 통신 끊는 e폭탄 첫 실전 투하

    이라크가 미군과 영국군의 무기 시험장이 되고 있다. 개전 후 1주일 동안 미.영군이 지금까지 실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첨단무기들을 대거 동원한 것이다. 26일 새벽 이라크 국영 TV

    중앙일보

    2003.03.26 17:53

  • 해양 연구자들 '구름 낀 날들이여, 안녕'

    해양 연구자들 '구름 낀 날들이여, 안녕'

    미항공우주국(NASA)의 아쿠아 위성이 만든 새 그림이 지구 해양의 표면 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보다 더 따뜻한 지역이다. 우주에서

    중앙일보

    2002.07.15 06:57

  • 전기 송전 문제점 없나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는 전파는 초당 25억번이나 위·아래로 떨린다. 이 전파를 세게 해 물기가 있는 음식물에 쪼이면 내부의 물 분자가 초당 25억번씩이나 진동하면서 열이 발생한다.

    중앙일보

    2002.05.09 00:00

  • [디지털TV방송 보려면…]

    디지털TV방송을 보려면 먼저 디지털TV가 있어야 한다. 기존 아날로그TV로는 방송국이 송출하는 디지털신호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전파를 수신하는 극초단파(UHF) 대역 안

    중앙일보

    2001.11.20 08:07

  • [디지털TV방송 보려면…]

    디지털TV방송을 보려면 먼저 디지털TV가 있어야 한다. 기존 아날로그TV로는 방송국이 송출하는 디지털신호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전파를 수신하는 극초단파(UHF)대역 안테

    중앙일보

    2001.11.20 00:00

  • [디지털TV방송 보려면…]

    디지털TV방송을 보려면 먼저 디지털TV가 있어야 한다. 기존 아날로그TV로는 방송국이 송출하는 디지털신호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전파를 수신하는 극초단파(UHF)대역 안테

    중앙일보

    2001.11.19 17:59

  • [디지털방송 보려면]

    디지털TV방송을 보려면 먼저 디지털TV가 있어야 한다. 기존 아날로그TV로는 방송국이 송출하는 디지털신호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전파를 수신하는 극초단파(UHF)대역 안테

    중앙일보

    2001.11.19 16:45

  • 전남대병원, 초스피드 암진단법 개발

    전남대병원이 내시경 검사 후 2시간 이내에 결과를 알 수 있는 최첨단 기법을 개발했다. 11일 전남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해부병리과 박창수 교수와 소화기내과 유종선 교수팀은 초단

    중앙일보

    2001.09.11 10:03

  • 미-중 '정보전쟁' 시대 도래

    지난 3월 남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전투기와 충돌했던 미국의 EP-3 정찰기는 일상적인 정찰 업무만 수행했을까. EP-3은 분명 정찰 이상의 임무를 은밀히 수행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앙일보

    2001.08.22 13:38

  • 정통부, 전파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

    앞으로 주파수를 할당받은 뒤 이용실적이 저조할 경우 정부가 이를 회수해 재배치하게 된다. 정보통신부는 11일 발표한 `전파산업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이용실적이 저조한 주파수를 회

    중앙일보

    2001.07.11 13:02

  • 정통부, 전파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

    앞으로 주파수를 할당받은 뒤 이용실적이 저조할 경우 정부가 이를 회수해 재배치하게 된다. 정보통신부는 11일 발표한 `전파산업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이용실적이 저조한 주파수를 회수

    중앙일보

    2001.07.11 11:48

  • 주파수 이용기본계획 수립

    정보통신부는 한국통신과 하나로통신이 주파수의회수와 재분배,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을 골자로 한 주파수 이용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오는 7월까지

    중앙일보

    2001.05.13 11:57

  • 일본, 2040년 태양열발전소 건설 추진

    일본이 지구 상공 3만6천㎞ 높이의 정지궤도에 거대한 태양열 발전소를 갖춘 인공위성을 쏘아 올려 지상으로 `무공해'' 전력을 공급받는 야심찬 계획을 수립하고 2040년 실용화를 목

    중앙일보

    2001.01.31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