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노트북을 열며] 중국 신세대 노동자의 기개

    [노트북을 열며] 중국 신세대 노동자의 기개

    리샤오쥐안(李曉娟). 얼굴에 소녀 티가 가시지 않은 19세 여성이다. 중국 광둥(廣東)성 포산(佛山)의 자동차부품업체인 난하이(南海)혼다에서 2년째 일하고 있다. 전형적인 ‘90후

    중앙일보

    2010.09.13 00:15

  • [사설] 북은 천안함 사과하고, 남은 인도적 지원 확대를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했다. 특히 ‘인도주의 협력사업 활성화’까지 언급해 수해복구 지원의 확대를 희망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은 지난해에도 있었다. 핵

    중앙일보

    2010.09.13 00:14

  • [이홍구 칼럼] G20 정상회의 의장국의 영예와 부담

    올림픽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러낸 한국인에게는 지구촌의 향방을 좌우하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열린다는 것이 놀랄 만한 뉴스로 다가오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

    중앙일보

    2010.09.13 00:13

  • [Letter] 탐원공정 스페셜 리포트 중국의 집요함에 전율

    역사 교육에 공을 들이는 일본 등 주변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갈수록 국사 교육을 줄이고 있다. 이런 시기에 읽은 ‘중국의 탐원공정’(9월 5~6일자 20~21면)은 정상적인 한국인이

    중앙선데이

    2010.09.12 01:21

  • [해외 칼럼]‘구원 투수’ 중국이 알아야 할 것은

    [해외 칼럼]‘구원 투수’ 중국이 알아야 할 것은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는 뉴스가 나왔지만 놀랄 일은 아니다. 사실 이 사건은 21세기 초 몰아 닥친 ‘대침체(Great Recession)’의 지정

    중앙일보

    2010.09.11 00:19

  • [j Insight]『디테일의 힘』 저자 왕중추

    [j Insight]『디테일의 힘』 저자 왕중추

    한 중국 기업이 유럽으로 냉동새우 1000t을 수출했다. 통관 절차를 밟던 중 이물질이 발견됐다. 0.2g의 항생제가 문제였다. 새우를 손질하던 직원의 손에 묻어 있던 약이 섞여

    중앙일보

    2010.09.11 00:16

  • [김영희 칼럼] 대북 지원, 많고 빠를수록 좋다

    농민단체들이 북한의 쌀 지원 요청에 반색을 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올 10월 말 기준으로 우리의 쌀 재고는 149만t이 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권장 적정재고량 72만

    중앙일보

    2010.09.10 00:31

  • [한자로 보는 세상] 삼효(三孝)

    중국의 전국(戰國)시대 제(齊)나라에 전직자(田稷子)란 재상(宰相)이 있었다. 3년간의 임기를 마친 그는 황금 2000냥을 수레에 싣고 고향에 돌아왔다. 황금을 본 어머니가 깜짝

    중앙일보

    2010.09.09 19:29

  • [하병준의 중국읽기] 리더의 다섯 가지 조건

    “불가능은 없다”라는 말을 외치며 알프스를 넘어 유럽 정복에 나섰던 나폴레옹. 유동적인 전략으로 병력 상에서의 절대 열세를 극복하고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를 격파한 알렉산더. 자

    중앙일보

    2010.09.09 10:55

  • [백가쟁명:강성현] 청바지 차림의 서기들

    중국에서 ‘서기’라는 호칭은 각 행정 단위, 교육기관 그리고 기타 모든 공공기관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서기는 각 기관의 최고 지도자를 지칭하며 중국 사람들은 흔히 이들을 ‘링다

    중앙일보

    2010.09.09 10:49

  • [이철호의 시시각각] 바벰바족과 북한

    오래전 잡지 ‘좋은 생각’에서 읽은 ‘색다른 심판’이 기억난다. 남아프리카의 바벰바족(族)은 누가 죄를 지으면 모질게 추궁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그를 온 부족민 사이에 세우고

    중앙일보

    2010.09.09 00:41

  • [한자로 보는 세상] 數

    옛날엔 숫자 표기를 위해 새끼줄에 매듭을 묶거나 나무에 홈을 팠다. 새끼 매듭은 결승(結繩), 나무에 홈을 새긴 건 서계(書契)라고 했다. 수(數)는 매듭을 여러 개 지어 놓은 모

    중앙일보

    2010.09.09 00:27

  • [칼럼] 할 게 없어 농사 짓는다고요?

    [칼럼] 할 게 없어 농사 짓는다고요?

    농업기업의 최고경영자로서 틈나는 대로 우리 회사의 종자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를 방문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것만큼 허물없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도 드물기 때

    중앙일보

    2010.09.09 00:20

  • [한자로 보는 세상] 召天

    이명박 대통령의 ‘공정(公正)한 사회’ 구호 아래 적지 않은 공직자가 추풍낙엽(秋風落葉)처럼 떨어지고 있다. 우리 사회가 그만큼 공정치 않았다는 방증이리라. 하나 인생에서 빈부귀천

    중앙일보

    2010.09.08 00:27

  • [해외 칼럼] 차이나 머니가 필요한 미국

    중국은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2조4000억 달러)이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천문학적인 외환을 어디에 투자할지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제 금융계는 중국이 보유한 외환의 약 3분의

    중앙일보

    2010.09.08 00:26

  • [비즈 칼럼] 글로벌 더블딥, 오지 않을 네 가지 이유

    최근 세계경제가 더블딥(깊은 경기 침체 후 충분한 회복 없이 침체가 다시 오는 것)에 빠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적지 않다. 이러한 우려가 미국의 경기불안과 유럽의 국가부도

    중앙일보

    2010.09.07 00:05

  • [백가쟁명:써니리] 중국인 기질로 본 한중수교

    한중수교가 20년 가깝지만 중국인의 성격과 기질을 다룬 책들이 꾸준히 나오는 것을 보면 그만큼 중국인에 대해서 머리가 꺄우뚱해지는 한국인이 많음을 시사한다. 최근에 나온 책 중에는

    중앙일보

    2010.09.06 10:05

  • [백가쟁명:유주열] 상하이 엑스포 줄서기

    지금 중국 상하이에서는 엑스포가 개막한지 4개월이 지나 하루 50만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고 한다. 그동안 다녀 온 주변 사람들은 상하이 엑스포는 사람의 바다(人海)를 연상시킬

    중앙일보

    2010.09.06 10:05

  • “아시아가 국제정치 중심 되도록 역량 발휘를”

    “아시아가 국제정치 중심 되도록 역량 발휘를”

    세계적인 저명 언론인과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 현안을 토론하는 ‘중앙 글로벌 포럼’이 5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막됐다. 이틀간 열리는 올해 포럼에서는 한국·미국·중국·일본 등

    중앙일보

    2010.09.06 01:21

  • [한자로 보는 세상] 物議

    ‘나’의 바깥에 있는 물체(物體)의 존재를 가리킬 때 흔히 쓰이는 한자가 물(物)이다. 그러나 이 글자의 원래 출발점은 ‘여러 가지가 섞여 있는 것’이라는 뜻에 가깝다. 일반적인

    중앙일보

    2010.09.06 00:11

  • 귀족의 땅을 백성에게 개국의 씨앗을 뿌리다

    귀족의 땅을 백성에게 개국의 씨앗을 뿌리다

    이색 신도비와 사당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다. 사진가 권태균 개국군주 망국군주 태조③ 과전법 실시이성계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 계기는 위화도 회군이다. 우왕 14년(13

    중앙선데이

    2010.09.05 03:28

  • 포스트 PC시대, IBM의 화려한 부활

    얼마 전의 일이다. 온라인 동호회에 들렀더니 한 젊은 회원이 “IBM이 뭐 하는 회사예요?”라는 질문을 올렸다. “아니, 천하의 IBM이 어쩌다…”라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198

    중앙선데이

    2010.09.05 03:20

  • [BOOK] 역사 속에 해답이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탈출구

    [BOOK] 역사 속에 해답이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탈출구

    돌고 도는 것이라 해서 돈이라 한다죠. 한데 단순히 도는 것이 아닌 듯 합니다. 오히려 현실을 보면 돈을 중심으로 인간이, 세상이 돌아가는 맞지 싶습니다. 그 뿐입니까. 문화며

    중앙일보

    2010.09.04 00:51

  • [비즈 칼럼] 소득 2만 달러 ‘깔딱고개’ 과학기술로 넘자

    “잘살아 보세”를 외치며 죽기살기로 매달린 반 세기, 세계 경제발전사에서 최단 시일에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를 연 나라가 됐다. 그런데 2만 달러 고지를 코앞에 두고 상황

    중앙일보

    2010.09.03 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