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설] 시진핑이 이끌 중국 차기 지도부의 무거운 어깨

    중국의 차기 최고 지도자가 사실상 확정됐다. 그제 끝난 중국 공산당 17차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17기 5중전회)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출됨

    중앙일보

    2010.10.20 00:22

  • [노트북을 열며] 새 외교안보 라인의 책무

    [노트북을 열며] 새 외교안보 라인의 책무

    이명박 정부의 대외정책에서 가장 큰 성공을 꼽자면 현재 한반도 정세의 주도권을 잡은 것이다. 지난 6일 워싱턴 포스트(WP)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

    중앙일보

    2010.10.19 20:18

  • [백가쟁명:유주열] 周恩來의 雨中嵐山

    밤이 으슥하였다. 저우언라이(周恩來)총리는 키신저의 숙소를 찾았다. 파키스탄에서 비밀리 北京으로 날라 온 키신저는 周총리와의 회담이 쉽지 않음을 알았다. 모두를 포기하고 파키스탄으

    중앙일보

    2010.10.19 09:49

  • [백가쟁명:써니리] 북핵에 사견과 공식적 입장

    "6자회담에 관여한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국은 북핵문제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다." 지난 주

    중앙일보

    2010.10.19 09:48

  • [백가쟁명:신상린] 중국대학 출신은 삼성에서 안받아주나요?

    졸자는 석사 과정 마지막 학기였던 작년 가을학기부터 올 여름 학기까지 약 일년 여 동안 상하이 의 코리아타운이라 불리는 홍첸루(红泉路)에 위치한 한국 학생 대상 중국 대학 입시 전

    중앙일보

    2010.10.19 09:39

  • [김종수의 세상읽기] 글로벌 환율전쟁의 끝은

    [김종수의 세상읽기] 글로벌 환율전쟁의 끝은

    김종수 논설위원 글로벌 환율전쟁으로 온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미국의 중국 위안화 환율절상 요구에서 촉발된 환율전쟁은 이제 그 범위가 주요 선진국 간 돈 풀기 경쟁과 뜻하지

    중앙일보

    2010.10.19 02:11

  • [한자로 보는 세상] 寒

    추워지는 요즘 날씨에 가장 잘 맞는 한자다. 더운 여름 가니, 찾아오는 것은 차가운 날씨다.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四季)가 갈마듦에 따라 생기는 기후의 자연스러운 변화지만 사

    중앙일보

    2010.10.18 00:10

  • [시론] 대중외교의 틀, 근본적으로 다시 짜자

    [시론] 대중외교의 틀, 근본적으로 다시 짜자

    북한이 김정은을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하면서 후계체제를 공식화하자 중국이 기다렸다는 듯이 화답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마오쩌둥과 김일성이 회담하는 사진에 ‘대를 이어

    중앙일보

    2010.10.18 00:09

  • 뒷면 채색 ‘배채법’으로 역사 인물의 내면까지 담아내

    뒷면 채색 ‘배채법’으로 역사 인물의 내면까지 담아내

    무신 봉기 영수 이인좌’, 120×57.5㎝ 우승우(45·작은 사진) 화백은 힘 있는 화풍으로 한국 역사화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 온 중견작가다. 선(線)으로만 묘사하는 구륵법,

    중앙선데이

    2010.10.17 05:26

  • “사회 이슈에만 힘 쏟는 건 예술의 낭비, 예술가는 100년 지나도 남을 작품 남겨야”

    “사회 이슈에만 힘 쏟는 건 예술의 낭비, 예술가는 100년 지나도 남을 작품 남겨야”

    1 This land so rich in beauty 2010 ZENG FANZHI NO.2(2010), oil on canvas, 250 지난 11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만

    중앙선데이

    2010.10.17 04:45

  • [노트북을 열며] 미·중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라

    [노트북을 열며] 미·중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라

    옛날에 가난한 개미와 잘사는 베짱이가 이웃했다. 개미는 악착같이 일했다. 식량도 아끼고 장작도 패 베짱이에게 팔았다. 금고엔 돈이 차곡차곡 쌓였다. 이와 달리 씀씀이가 큰 베짱이

    중앙일보

    2010.10.16 00:12

  • [한자로 보는 세상] 載舟覆舟

    공자가 어느 날 자하(子夏)에게 물었다. “상(商, 자하의 이름)아, 너는 임금이 임금 노릇 한다는 것의 의미를 아느냐?(商, 汝知君之爲君乎)” 자하가 대답했다. “물고기가 물을

    중앙일보

    2010.10.15 05:10

  • [김영희 칼럼] 남북한, 다시 말을 틀 때다

    [김영희 칼럼] 남북한, 다시 말을 틀 때다

    북한의 김정은은 할아버지 김일성의 먼 발치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김일성의 판박이 같은 외모를 타고났다. 김정일은 아마도 김일성을 닮은 정은이면 국민들에게 “환생한 김일

    중앙일보

    2010.10.14 20:43

  • [비즈 칼럼] 환율 전쟁, 체질 개선 계기로 삼아야

    [비즈 칼럼] 환율 전쟁, 체질 개선 계기로 삼아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가 어느 정도 진정되었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은 여전히 높은 실업률과 내수 부진으로 고전하고 있다.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려 해도 재정적자 때문에 여

    중앙일보

    2010.10.14 19:19

  • 온라인 세상을 좀먹는 ‘사이버 좀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좀비(zombie)는 죽은 뒤 다시 살아나 움직이는 시체를 말한다. 맥스 브룩스는 좀비와 인류의 전쟁을 소재로 세계대전Z라는 과학소설(SF

    중앙선데이

    2010.10.14 11:24

  • [e칼럼] ‘독가스 과학자’ 프리츠 하버(11)

    [e칼럼] ‘독가스 과학자’ 프리츠 하버(11)

    1914년 하버는 그의 두 번째 아내 샤롯테 나탄을 만나게 된다. 위대한 독일, 최선의 독일을 표방하는 사회모임인 도이체 게젤샤프트(Deutche Gesellschaft)에서다.

    중앙일보

    2010.10.14 05:20

  • [글로벌 아이] ‘중국 배추’ 속에 숨은 FTA 메시지

    중국 배추가 한국 식탁에 난 불을 끄는 소방수 역할을 톡톡히 했다. 배추 파동 와중에 긴급 수입된 중국 배추가 수급 불안감을 진정시키는 데 기여한 것이다. 한국 정부가 12일부터

    중앙일보

    2010.10.14 01:01

  • [한자로 보는 세상] 咄咄逼人

    중국 동진(東晋)시대 학자 고개지(顧愷之·348~409)가 어느 날 벗 은중감(殷仲堪)의 집을 찾았다. 마침 항현(恒玄)이라는 사람이 머물고 있었다. 셋은 시간을 보낼 요량으로 글

    중앙일보

    2010.10.14 00:54

  • [한자로 보는 세상] 生死

    생(生)은 새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형상화했다. 여기서 ‘나다’라는 뜻이 나왔다. 사(死)는 앙상한 뼈(歹) 앞에 사람(人)이 꿇어앉아 애도를 표하는 모습이다. 글자에 앙상한 뼈란

    중앙일보

    2010.10.13 00:27

  • [사설] 무섭게 밀려오는 차이나 머니 광풍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장이 “외환보유액을 이용해 더 많은 신흥국 통화를 포함시키는 쪽으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신흥시장 국가 이름을 거론하지 않았으나 중국의

    중앙일보

    2010.10.13 00:23

  • [배명복의 세상읽기] 마잉주 대만 총통께

    [배명복의 세상읽기] 마잉주 대만 총통께

    “중화민국(대만) 최고 국경일인 쌍십절(雙十節·10월 10일) 99주년을 맞아 기자를 빈객(賓客)으로 초청해 주신 데 대해 대한민국 언론을 대표해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총통과

    중앙일보

    2010.10.12 00:42

  • [김환영의 시시각각] 인도·중국의 ‘민주주의 배당금’

    ‘인구 배당금’ ‘민주주의 배당금’이라는 게 있다. 인구 배당금은 전체 인구에서 노동인구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제성장률을 의미한다. 민주주의 배당금은 민주주의 체제 운

    중앙일보

    2010.10.12 00:40

  • [사설] 대화하려면 3대 세습 묵인해야 한다고?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아들 김정은이 10일 창당 기념일을 계기로 공개적인 활동에 나섰다. 이제 김정은의 권력 3대 세습은 기정사실이 돼 버렸다. 권력 세습이 사회주의 이론으로도

    중앙일보

    2010.10.11 19:43

  • [백가쟁명:써니리] 중국에서 맛사지 중독

    "미안해요 지금 부인이 왕징에서 발맛사지 받고 있데요. 와인 2차는 나중에 해야겠어요." 스스로 와인 '중독'에 빠졌다고 고백하는 한 한국 기업의 한 주재원의 부인은 맛사지에 중독

    중앙일보

    2010.10.11 0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