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 자주 나도 소화기 없었다…방 한칸 일곱 식구 '땟골'의 눈물
지난 27일 화재로 다섯 남매 중 네명을 한꺼번에 떠나 보낸 나이지리아인 A씨(55) 가족은 작은 방 한칸에 주방 및 거실 공간이 딸린 약 40㎡(12평) 집에 7명이 모여 살았
-
[소년중앙] 1902년 첫 공식 이민부터 123개국 732만 명…사는 땅·국적 달라도 한민족
빈곤·사회불안 피해 나라 떠나도 '한국인' 재외동포 발자취에 어린 아픈 근현대사 외교부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재외동포 수는 약 732만 명(2021년 기준)에 이릅니다
-
[속보]尹 "최악 한일관계 방치 안돼...현재·과거 싸우면 미래 놓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한일 관계에 대해 “과거는 직시하고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과거에 발목이 잡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생중계로
-
친구 중 왜 한 명 얼굴에만 상처? 행인 눈썰미가 소녀 살렸다
충남 아산경찰서. 김방현 기자 충남 아산에서 10대 중국 동포들이 또래 친구를 집단폭행하고 괴롭히다 검찰에 송치됐다. 충남 아산경찰서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
-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차이나타운과 인삼 교역
본국에서 거리가 먼 차이나타운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려인삼이나 그 대용품을 구하려고 애썼다. 사진 셔터스톡 차이나타운 이야기를 할 때 고려인삼 이야기를 빼놓을
-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원 찾았다
안익태 작곡 애국가의 가장 오래된 음원(音源)이 발견됐다. 일제강점기인 1942년 7월 6일 미국 단파라디오 방송인 ‘미국의 소리(VOA)’ 전파를 타고 미국 국내외로 송출된
-
[글로벌 아이] 중국 헌법 57조
신경진 베이징총국장 중국의 봄은 3월 양회와 함께 온다. 두 개의 회의,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말한다. 평소 블랙박스 안에서만 작동하는 중국 정치가 살짝 모습을
-
중국 대표팀 주권 "한국 위해서도 일본 이기겠다"
9일 2023 WBC 1라운드 일본전을 앞두고 만난 주권. 도쿄=김효경 기자 "한국을 위해서라도 일본을 이기고 싶습니다." 중국 야구 대표팀으로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
[이번 주 리뷰]美 AC-130JㆍB-1B 연이어 한반도 출격…개딸들 ‘문자폭탄’(2월27일~4일)
3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설악산 케이블카 허가 #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 #개딸 #클린스만 감독 #강제북송 #3ㆍ1절 #수출 5개월 연속 감소 #그리스 열차 충돌 #중국
-
“한국의 반상, 3스타 받을 만” “식재료 접근성이 과제”
2010년대 음식축제 ‘서울 고메’를 함께 하면서 한식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온 구삼열 전 서울관광마케팅 대표(왼쪽)와 푸드 저널리스트 장 피에르 가브리엘.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
[이번 주 핫뉴스] 우크라 戰 1주년 24일 러,대공세?…23일 기준금리 동결? 인상?(20~26일)
2월 넷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프로축구 K리그1 개막 #러-우크라 전쟁 1주년 #바이든 폴란드 방문 #푸틴 #시진핑 #보훈부 #동포청 #한미 ‘확장억제’운용연습 #이재명 체
-
[이번 주 리뷰] 다시 킹달러?…이재명 체포동의 절차 시작(13~18일)
2월 셋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튀르키예 지진 #수퍼보울 #보훈부 #재외동포청 #국방백서 #북한 탄도미사일 #중국 정찰풍선 #이재명 구속영장 #김만배 #미국 CPI #킹달러 #
-
[단독] 조선족 도와도 中마찰 없게...재외동포청 아래 '센터' 둔다
외교부가 올해 상반기 중 신설될 예정인 재외동포청 산하에 '재외동포협력센터'라는 별도의 법인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이 반발할 수 있는 중국동포(조선족)
-
[시론] ‘대북 전단 금지법’ 이젠 폐기할 때
손기웅 전 통일연구원장·한국평화협력연구원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무엇을 가장 두려워할까. 미국의 침공일까, 아니다. 미국이 공격하려 했다면 북한의 군사력이 미국에 감히 상대되
-
보훈처 62년 만에 ‘부’ 승격, 동포청도 신설 “국가 위상에 맞게 국가 품격도 정비”
보훈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조직의 위상이 '처'(處)에서 '부'(部)로 높아진다. 국회가 국가보훈처를 보훈부로 승격하는 국가조직법 개정안에 합의하면서다. 재외동포 관련 업무를 총
-
야당 국민당 중국 방문에 대만 정부 “주권 훼손 행위” 비판
쑹타오(宋濤) 중국 대만판공실 주임(오른쪽)이 9일 저녁 베이징 댜오위타이댜(釣魚臺) 호텔에서 샤리옌(夏立言) 국민당 부주석과 만났다. 사진 대만 국민당 홈페이지 캡처 대만 야당
-
[단독] 180억 경유, 러 유조선→中 거쳐 北 갔다…업체 수사 중
미국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국(ISN)은 2018년 트위터를 통해 지난 2018년 5월 18일 파나마 선적 상위안바오(SHANG YUAN BAO)호와 북한의 백마(PAEK MA)호
-
[중앙시평] 미국은 북한을 포기해선 안된다
김병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 조 바이든 정부가 들어선 직후 미국의 전직 관료와 함께 대외정책 관련 회의에 참여했다. 그는 중국 대응이 미국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라며 한국의 적극
-
할머니가 엄마 됐다…'강제출국 위기' 중국인 손녀 입양 사연
2021년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이어 서울가정법원도 조부모의 손자녀 입양을 허가하는 결정을 내렸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중앙일보 친부모가 키울 수 없는 자녀를 할머니
-
국내 불법체류자 41만여명…제조업·건설업 취업비자 소지자 가장 많아
불법체류자 연도별 규모.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연합뉴스 국내에 불법 체류(미등록)하는 외국인이 지난 10년간 지속해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
[단독] '러 외화벌이' 北 9명 집단탈북…"돈바스 끌려갈까봐"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표 관광지인 아르바트거리에 위치한 '해적커피'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북한 노동자들의 모습. 사진 강동완 동아대 교수 북한이 외화벌이를 위해 러시아에
-
韓 찾은 외국인 중 일본인 가장 많았다…12월 8만5693명
지난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구역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해 11월부터 일본 등 8개국에 대해 기한 없이 무사증(무비자) 입국을 재개한 뒤로 12월 한 달 간
-
尹, “스위스와 수교 60주년 첨단기술 협력 강력히 모색”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마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이하 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열리는 다보스 포럼 참석차 취리히에 도착했다. 이날 오후 6시를 조금 넘어 취리히 공
-
"한류, 저출산·고령화 새 해법"...전문가 '2023 韓외교 10문10답' [新애치슨 시대]
■ 「 1950년 1월 미국은 소련과 중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애치슨 라인’을 발표했다. 그리고 5개월 뒤 애치슨 라인 밖에 위치하게 된 한반도에선 전쟁이 발발했다. 7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