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 12년 만에 전 30권 완간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 12년 만에 전 30권 완간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가 주관해 펴낸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 한국의 과학문명사를 담은 30권짜리 총서 ‘한국의 과학과 문명’이 12년 만에 완간됐다. 총서 출간을 주관

    중앙일보

    2022.09.01 00:02

  • 12년만에 30권, 한국과학문명사 담은 '한국의 과학과 문명' 완간

    12년만에 30권, 한국과학문명사 담은 '한국의 과학과 문명' 완간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가 주관해 펴낸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  한국의 과학문명사를 담은 30권짜리 총서 '한국의 과학과 문명'이 출간 시작 12년 만에 완간됐다.  

    중앙일보

    2022.08.31 15:30

  • 지식과 정보의 ‘애정행각’ 즐기려면 일단 다독 하시라

    지식과 정보의 ‘애정행각’ 즐기려면 일단 다독 하시라

     ━  [공부란 무엇인가] 사회로부터의 도피, 책에 취하기   일러스트=이정권 gaga@joongang.co.kr 책을 왜 읽는가? 어떤 이는 사회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책을 읽는

    중앙선데이

    2020.02.29 00:20

  • 지구촌 한류 시대, 서구 콤플렉스가 낳은 실학과 결별할 때

    지구촌 한류 시대, 서구 콤플렉스가 낳은 실학과 결별할 때

     ━  [실학별곡 - 신화의 종언] ⑩ 에필로그   19세기말~20세기초 서구 콤플렉스에 주눅 들었던 때와 지금은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 한류가 세계를 활보하고 각 분야에서 세계

    중앙선데이

    2018.07.21 01:00

  • “시장·화폐 없애야”…실학은 '근대 자본주의' 개념도 없었다

    “시장·화폐 없애야”…실학은 '근대 자본주의' 개념도 없었다

     ━  [실학별곡 - 신화의 종언] ④ 상업 발전 막은 ‘억말론’   1791년 정조 임금의 신해통공 조치로 군소 상인들의 ‘자유 상업’이 법적으로 허용됐다. 남대문 시장이 한국

    중앙선데이

    2018.04.21 01:28

  • “백성이 다 귀하면 나라 망해” … ‘양반들 리그’ 옹호한 정약용

    “백성이 다 귀하면 나라 망해” … ‘양반들 리그’ 옹호한 정약용

     ━  실학별곡 - 신화의 종언 ③ 시대 역행한 신분해방 반대론    공자는 ’나면서부터 귀한 자는 없다“고 했다. 실학자들은 인간의 귀천을 구분했다. 공자 유학의 본령에 위배되

    중앙선데이

    2018.04.07 01:16

  • [이택희의 맛따라기] 술 빚는 셰프, 고급요리 수준의 안주 … 서교동 ‘한식 주점 얼쑤’

    [이택희의 맛따라기] 술 빚는 셰프, 고급요리 수준의 안주 … 서교동 ‘한식 주점 얼쑤’

    ‘한식 주점 얼쑤’는 중심메뉴 몇 가지를 매달 바꾼다. ‘10월의 메뉴’ 대표작은 능이갈비찜이다. 한우 갈비에 밤과 당근을 다듬어 넣고 찜을 했다가 표고·능이를 올려 다시 익힌

    중앙일보

    2017.09.29 00:01

  • [직격 인터뷰] 송호근 묻고 강상중 답하다

    [직격 인터뷰] 송호근 묻고 강상중 답하다

    강상중 교수는 선거권을 행사한 적이 없다. 그는 거기서 이상형을 발견한다. 일본인이냐 한국인이냐의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어 동아시아 시민으로서의 시민권을 획득하는 것 말이다. [사

    중앙일보

    2015.03.25 00:38

  • [주목! 이 책]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 外

    [주목! 이 책]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 外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김철수 지음, 소명출판, 1128쪽. 8만원)=국내 헌법학의 대가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의 법철학과 사상을 집대성했다. 195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앙일보

    2012.10.20 00:40

  • 아나키즘과 선비정신에 투철했던 단재 신채호

    아나키즘과 선비정신에 투철했던 단재 신채호

    중국 여순감옥 정문. 저항적 선비인 단재 신채호는 끝내 10년의 형기를 채우지 못하고 여순감옥에서 옥사했다. [사진가 권태균] ‘의열단선언문’이라고도 불리는 ‘조선혁명선언’에 정

    중앙선데이

    2012.08.05 02:11

  • ‘실학의 뿌리’ 하곡학은 퇴계·율곡학과 함께 조선 3대 학파

    ‘실학의 뿌리’ 하곡학은 퇴계·율곡학과 함께 조선 3대 학파

    13일 개원하는 하곡학 연구원의 초대 원장을 맡은 정인재 서강대 명예교수. 조선 후기 실학 사상의 실질적 원류로서 ‘하곡학’을 재정립 하겠다고 했다. [김경빈 기자] 한국 양명학(

    중앙일보

    2010.09.10 00:01

  • “한국사 대중화 위해 역시 더 힘 줄 생각”

    “한국사 대중화 위해 역시 더 힘 줄 생각”

    “한국사 대중화에 더욱 힘쓰겠습니다.” 정옥자(66) 국사편찬위원회(이하 국편) 신임 위원장의 말이다. 1948년 출범한 국편의 60년 역사상 첫 여성 위원장이다. 12일 국편 위

    중앙일보

    2008.03.14 02:06

  • 민족종교가 ‘2% 종교’라고?

    2000년 세밑이었다. 가수 조영남이 펴낸 따끈한 신간 ‘예수의 샅바를 잡다’(나무와 숲)를 읽다가 “옳다구나!” 싶었다. 흔한 신학 에세이와는 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200

    중앙일보

    2007.11.03 12:52

  • [문화계 소식] 梨大, 이광규 교수 초청 강연 外

    *** 梨大, 이광규 교수 초청 강연 이화여자대 한국문화연구원는 30일 오후 2시부터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10호실에서 이광규 서울대 명예교수(인류학)를 초청해 '나의 학문

    중앙일보

    2003.04.27 20:37

  • 조선初 '사상가 김종직' 다시 보기

    조선시대 유학사(儒學史)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새 경향은 주자학을 교조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자유로움을 반영하고 있다. 조선 후기 실

    중앙일보

    2002.10.22 00:00

  • 책꽂이

    ◇철학노트(이기상 지음, 까치, 9천5백원)=한국인이 잃어버려 온 세계를 보는 눈을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해 온 중견 철학자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쓴 철학 이야기. 세계화 시대 우리

    중앙일보

    2002.05.25 00:00

  • 역사연구회. 북한 역사학 실체 파헤쳐

    남북관계의 진전과 함께 북한 역사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남북한의 통사(通史)와 개설서를 집중 분석한 『하나의 역사, 두개의 역사학』(정두희 지음, 소나무)이

    중앙일보

    2001.06.21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32. '문헌과 해석' 팀

    우리의 인문학적 유산은 얼마나 풍성할까,아니면 빈약할까.이에 답을 할라치면 먼저 박제(剝製) 상태로 놓인 우리의 전통적 학문·예술자산이 눈앞을 가로 막아 선다.설사 풍성하다고 해도

    중앙일보

    1999.10.04 21:56

  • 19세기 최고의 철학자 최한기 재평가작업 활발

    한국사상사에 혜강 (惠剛) 최한기 (崔漢綺 : 1803~77)가 없었다면? 학자들은 한국사상은 조선후기 실학 수준에서 정체를 면치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문화부 선정 '4월의

    중앙일보

    1999.04.02 00:00

  • 불황속 조선역사책 출간 붐…민족 자존심 되살리기

    "서양의 르네상스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에 돌아가 법고창신 (法古創新) 했듯이 혼란한 이 시대의 가치 기준을 세우기 위해서 그동안 폐기처분하다시피 한 선조들의 시대정신을 법고

    중앙일보

    1998.06.12 00:00

  • 茶山정약용 經學저술 본격연구-實是學舍 경학硏 활약주목

    누군가 꼭 해야 할 일,그러나 드는 품에 비해 수익성이 없어누구나 할수없는 연구를 자청해 진행하는 모임이 있어 화제다. 최근 예송(禮訟)에 관한 다산(茶山)정약용(丁若鏞)의 『정체

    중앙일보

    1995.07.20 00:00

  • 중앙대 명예교수 김용덕씨 별세

    국사학자 김용덕씨(69·중앙대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7시35분 서울 중앙대 부속 필동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김씨는 배재중교사·육사교관을 거쳐 중앙대교수로 재직하면서 「조선

    중앙일보

    1991.10.13 00:00

  • 「총체적 연구」체계 갖춘다

    조선후기 실학사상을 종합적으로 연구할「한국실학연구회」가 16일 발족한다. 국내의 실학연구자 70여명은 16일 오후2시30분 성균관대 본관계단강의실에서 실학특별강연을 경한 학회창립총

    중앙일보

    1991.03.14 00:00

  • 한문학사의 사상적 흐름|조선후기 문학사상사

    2년 전『조선후기문화운동사』란 색다른 연구성과를 선보였던 정옥자 교수(서울대 국사학과)가 다시 조선후기의 한문학사를 사상사의 관점에서 정리한 『조선후기문학사상사』를 펴냈다. 이 책

    중앙일보

    1990.07.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