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통신의 마술사 광섬유

    이번에 화재가 났던 동대문 지하통신구내의 光섬유는 불로 인한엄청난 파장으로 그 진가(?)를 유감없이 보여줬다.하지만 光섬유는 불에 타지 않는다.이번에 불에 탄 것은 光섬유를 둘러싸

    중앙일보

    1994.03.16 00:00

  • 초고속 광통신망 전국 연결-데이콤 21개도시 서비스 개시

    일반전화선보다 최고 1백만배 이상 빠른 2.5기가(G)bps급 초고속 장거리 光통신망이 최근 서울~대전~부산,서울~대전~광주등 국내 21개도시에 연결됐다.또 97년까지는 서울.부산

    중앙일보

    1994.01.18 00:00

  • 三陟~鬱陵 해저케이블 국내선 두번째로 개통

    제주~고흥에 이어 국내에서는 두번째로 울릉도와 삼척군 湖山을잇는 길이 1백58㎞의 해저광케이블이 3일 개통됨으로써 1만3천여 울릉도민들이 육지와 동일한 품질의 고속통신서비스를 받게

    중앙일보

    1993.12.03 00:00

  • 울릉도 전화 소통 좋아진다

    강원도 삼척과 울릉도를 잇는 총 1백58km의 해저 광케이블이 93년 12월 개통 예정으로 이 달 말 착공된다. 이로써 울릉도와 육지간 전화 소통과 통화 품질이 한결 좋아지게 됐다

    중앙일보

    1992.03.30 00:00

  • 청와대 이발사도 「민정비서관」|10·26터지자 호텔들 외상거절

    청와대 안식구중에서 좀 별난 흔적을 남긴 이가 한사람 있다고 한다. 69년부터 80년 전두환 대통령이 들어오기까지 12년 간 「청와대 이발실장」을 지낸 P씨다. 「허풍이 좀 있지만

    중앙일보

    1991.11.22 00:00

  • 해저케이블기술 낙후 심각

    국산전기 통신기자재의 제1시장 점유율이 15%에 이만치 국내의 전기통신산업은 선진국 수준에 진입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저케이블에 관한 기술은 극도로 낙후돼 유지·보

    중앙일보

    1991.08.14 00:00

  • 제주에 육지전력 공급/해저케이블 가설한다/93년 6월 완공

    제주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해저케이블이 건설된다. 27일 한전은 전남 해남과 북제주간 해저구간에 총 2백2㎞(복선)의 고압직류케이블을 깔아 연결하는 공사를 내년 3월에 착공,오

    중앙일보

    1990.10.28 00:00

  • "심해공사에 자신 생겼습니다"

    『바다밑 땅을 1m 깊이로 파고 케이블을 뭍는 일을 한번쯤 상상해 보십시오.』 한국을 국제해저통신국가로 발돋움 시킨 제주∼고흥간 해저케이블설치공사 현장 기술책임자 (주)혜송실업 홍

    중앙일보

    1990.04.29 00:00

  • 90년대 중반까지는 통신ㆍ방송위성 확보/노대통령

    【제주=문창극기자】 노태우대통령은 21일 오전 제주도 성산읍에서 열린 제주∼육지간 해저광케이블 준공식에서 『정부는 90년대 중반까지 통신ㆍ방송위성을 확보하고 국가기간전산망도 지속적

    중앙일보

    1990.04.22 00:00

  • 제주∼고흥 해저광케이블망 개통/국제통신망 연결…미ㆍ일등과 교신가능

    【성산=정순균기자】 「꿈의 통신망」으로 각광받고 있는 해저광케이블 통신시대가 열렸다. 한국전기통신공사(사장 이해욱)는 21일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에서 제주∼육지간 해저광케이블 건

    중앙일보

    1990.04.21 00:00

  • 바다밑에 「통신고속도로」/제주∼고흥 광케이블개통 효과

    ◎만2천명이 동시 통화/위성보다 빠르고 음질 깨끗 제주∼고흥간 해저광케이블망 개통은 「꿈의 통신」이라고까지 불리는 광통신이 81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9년만에 한국을 국제해저통신

    중앙일보

    1990.04.21 00:00

  • 한전주식 9천억어치 하반기부텨 일반매각

    한국전력은 납입자본금의 30%에 이르는 9천1백25억원상당의 주식을 올하반기부터 5년간 나누어 민간에 매각함으로써 국민주화할 계획이다. 한봉수 한전사장은 20일오전 동자부회의실에서

    중앙일보

    1988.04.20 00:00

  • 한-일-홍콩 4천5백km 연결

    한국. 일본. 홍콩을 연결하는 해저 광케이블(약칭 HJK)이 건설된다. 우리 나라의 한국전기통신 공사를 비롯한 미국·영국·일본 등 11개국 22개 통신관계기관은 26일 하오 제주도

    중앙일보

    1988.01.27 00:00

  • 제주 발전원가 비싸|해남서 해저송전

    정부는 제주도내에 있는 4개의 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육지와 제주도를 잇는 해저송전케이블을 설치, 국내발전설비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일 방침이다. 12일 동자부에 따르면 현재 제주도

    중앙일보

    1987.10.12 00:00

  • 줄것은주고 받을 것은 받았다|한미통상 회담 결산

    20~21일 이틀간의 제12차 한미통상장관 회담은 한국측에서 볼때 성과는 반도체·자동차·공작기계등 새로 미국에 진출하기 시작한 분야의 시장확보, 반도체·공작기계·슈퍼컴퓨터·항공기등

    중앙일보

    1987.04.21 00:00

  • 체신부의 올해 업무 계획 (요지)

    체신부의 87년도 주요 업무 계획은 다음과 같다. ◇전화 채권 폐지=도서 지방은 올해 하반기에, 읍·면 지역은 내년 초까지 전화 채권을 폐지한다. ◇정보 통신망 구축=전자 통신 연

    중앙일보

    1987.03.10 00:00

  • 한·미·일·홍콩잇는 해저 광케이블|「홍수정보」유통고속화

    한국·미국·일본등 태평양연안국을 연결하는 해저 광케이블사업이 확정됐다. 국제간 광케이블건설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국제통신에 버금가는 것으로 통신기술의 획기적 발전을 이룩하게 된다.

    중앙일보

    1986.06.18 00:00

  • 체신부 업무보고 내용

    ◇전국 자동즉시통화체제=42개지역 통화권을 군단위로 광역화하고, 3백11개 읍·면지역 수동식전화를 자동화한다. 내년에 나머지 33개지역을 자동화, 87년까지 전국자동즉시통화체제를

    중앙일보

    1986.02.20 00:00

  • 제주도 국민관광지로 집중개발

    정부는 올해부터 91년까지 7년간 1조3천억원(민자포함)을 투자, 제주도를 국제수준의 관광단지로 개발키로했다. 24얼 국토건설종합계획 심의회에서 확정된 제주도개발계획에 따르면 중문

    중앙일보

    1985.01.25 00:00

  • 해저 광케이블 설치 가조인|태평양지역 각국 이웃으로

    우리나라와 태평양지역 각국간의 통신이 멀지않아 이웃처럼 가까와지게 됐다. 한국을 비롯, 미국·일본등 태평양연안 9개국은 24일 하와이에서 세계최초로 한국∼일본∼괌∼홍콩∼필리핀∼하와

    중앙일보

    1985.01.25 00:00

  • 제주도를 국제 자유지역으로

    제주도 서귀포 서쪽 중문·화순일대를 92년부터 국제 자유지역으로 조성, 홍콩과 같은 국제금융·무역·기술집약 산업지대로 개발하는 내용의 제주도 개발 마스터플랜 세부안이 국토개발 연구

    중앙일보

    1984.02.16 00:00

  • 「제2의 홍콩」을 꿈꾼다|제주도 종합개발 세부계획

    제주도 종합개발의 마스터플랜이 마련되었다. 약간 꿈같은 이야기이지만 제주도에 홍콩과 같은 국제자유지역을 만들고 이에 맞춰 각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개발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돈이다

    중앙일보

    1984.02.16 00:00

  • 한·일 해운협정체결 조건으로

    【동경=박동순·조남조특파원】일본은 한·일 해운협정을 체결하는데 한국측이 응해주는 조건으로 1억「달러」의 장기저리선박차관을 한국에 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일본의원들이 한·일 의원 간친

    중앙일보

    1973.06.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