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목! 이 책] 책과 혁명 外

    [주목! 이 책] 책과 혁명 外

    책과 혁명(로버트 단턴 지음, 주명철 옮김, 알마, 600쪽, 3만2000원)=베스트셀러 『고양이 대학살』로 유명한 미국 역사학자 로버트 단턴의 1996년 저서가 11년 만에 국내

    중앙일보

    2014.02.15 00:03

  • [경제 view &] 한국인의 위기 극복 DNA

    [경제 view &] 한국인의 위기 극복 DNA

    남민우벤처기업협회장다산네트웍스 대표 대한민국은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그것을 극복하고 오히려 재도약의 기회로 삼아 더욱 발전하는 반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중국이라는 거대 국가

    중앙일보

    2013.01.15 00:28

  • ‘조선 드림팀’은 대통령 세종, 총리 이원익 …

    ‘조선 드림팀’은 대통령 세종, 총리 이원익 …

    신봉승 작가 조선의 네 번째 왕 세종(1397~1450)이 임금의 자리에 오른 후, 조선 땅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졌다. 길거리에는 굶어 죽은 사람들의 시체가 즐비했다. 스물여섯의

    중앙일보

    2012.11.19 00:39

  • 박원순 "이런거 왜 하려는지…고역이다"

    박원순 "이런거 왜 하려는지…고역이다"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박원순 서울시장. 그는 1980년 사법시험 합격 뒤 인권변호사·시민운동가의 길을 걸어 왔다. 하지만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느닷

    중앙선데이

    2012.05.27 01:43

  • “한양도성 복원해 8조원 부가가치 창출하겠다”

    “한양도성 복원해 8조원 부가가치 창출하겠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서울 중구 덕수궁길에 있는 시장 집무실에서 “시민운동을 할 때보다 훨씬 더 빠르게, 훨씬 더 크게 사회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어 너무 행복하다”고 말하고

    중앙선데이

    2012.05.27 00:39

  • [노트북을 열며] 다산 정약용의 ‘마음 리더십’

    [노트북을 열며] 다산 정약용의 ‘마음 리더십’

    배영대문화스포츠부문 차장 올해는 다산(茶山) 정약용(1762~1836) 선생이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해인데, 250이란 숫자보다 더 의미가 각별한 것은 두 차례의 중요한 선거

    중앙일보

    2012.04.12 00:00

  • 다산이 꿈꾼 정치는 빈부격차 조정하는 정치였다

    다산이 꿈꾼 정치는 빈부격차 조정하는 정치였다

    다산 정약용 선생 176주기 묘제가 7일 오전 10시 30분 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 옆 다산 묘역에서 봉행됐다. 올해가 다산 탄생 250년이기에 더욱 많은 관심을 모았다. 다산

    중앙일보

    2012.04.09 00:02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대통령의 양택

    죽은 사람이 사는 공간, 즉 무덤이 음기(陰基), 음택(陰宅)이라면 산 사람이 사는 공간, 즉 집은 양기(陽基), 양택(陽宅)이다. 택(宅)과 기(基)는 같은 뜻이지만 풍수에서

    중앙일보

    2011.10.14 00:55

  • “정조에 관해 쓸 때는 정조가 된 듯 사료 봅니다”

    “정조에 관해 쓸 때는 정조가 된 듯 사료 봅니다”

    신간 『윤휴와 침묵의 제국』 출간을 맞아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연 역사평론가 이덕일씨. [뉴시스]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사서(史書)의 갈피에서 찾아낸

    중앙일보

    2011.07.20 00:13

  • "傾城之色" 중국이 탄복한 그녀, 천하 바람둥이 왕족을 꿰차다

    관련사진 “일등 송도기생, 이리 오너라.” 이렇게 부르면 당연히 황진이가 쪼르르 달려올 줄 알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황진이보다 훨씬 언니면서 중국 사신들이 조선의 경국지색이라고 불

    중앙일보

    2011.02.04 01:57

  • [전국 프리즘] G20 정상들에게 『목민심서』 선물하자

    [전국 프리즘] G20 정상들에게 『목민심서』 선물하자

    광주광역시에서는 지금 제8회 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다. 이번 비엔날레 주제는 ‘만인보’(10000 Lives)다. 이탈리아 출신인 마시밀리아노 지오니 총감독은 영문으로 번역된 고은

    중앙일보

    2010.11.06 00:01

  •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대원군이 거주하던 운현궁의 노안당(사진 위)과 현판. 글씨는 추사 김정희가 쓴 것으로 대원군을 뜻하는 ‘석파선생’이란 글자가 눈에 띈다. 사진가 권태균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중앙선데이

    2010.10.03 05:55

  • 세상에 등 돌리고 자기 수련만 하는 게 선비의 길인가

    세상에 등 돌리고 자기 수련만 하는 게 선비의 길인가

    성경은 말한다. “아버지의 집에는 수많은 방이 있다.” 티베트에는 승려 수만큼의 불교가 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유학은 하나의 이름이 아니다. 조선의 유학, 그 하늘에서 수많은

    중앙선데이

    2010.01.15 23:55

  • 한형조 교수의 교과서 밖 조선 유학 : 實學, 안팎의 도전에 흔들리는 성채

    한형조 교수의 교과서 밖 조선 유학 : 實學, 안팎의 도전에 흔들리는 성채

    지난주 동아시아 실학을 두고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벌써 10회째라고 한다. 다산의 생가 앞 남한강 가에 실학박물관을 개관한 후라 의미는 더했고 열기는 뜨거웠다. 이틀간의 대회를

    중앙선데이

    2009.11.07 15:10

  • [새로 나온 책] 한국외교의 재발견 外

    [새로 나온 책] 한국외교의 재발견 外

    학술 ◆한국외교의 재발견(이승곤 지음, 기파랑, 448쪽, 1만6000원)=직업외교관 출신의 지은이가 60년 한국외교를 건국외교, 국난 극복 외교, 성장시대 외교, 냉전 종말기 외

    중앙일보

    2009.03.28 00:46

  • [도올 고함(孤喊)] 법의 원칙 넘어 그 까닭을 물어라

    [도올 고함(孤喊)] 법의 원칙 넘어 그 까닭을 물어라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는 유교의 왕국이라는 조선 사회가 떠받든 경전이었지만 실제로 조선 왕조의 사대부가 읽은 텍스트는 주자가 해석해 놓은 『논어』였다.    주변

    중앙일보

    2009.02.04 02:43

  • “지는 싸움 절대 안 한다” … IPTV 승부수

    “지는 싸움 절대 안 한다” … IPTV 승부수

    ‘KT, 9회 말 구원투수 투입!’ 지난해 12월 9일 이석채(64·사진)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KT 사장에 내정된 다음날 한 증권사가 낸 보고서의 제목이다. 남중수 전 KT 사

    중앙선데이

    2009.01.13 15:04

  • [행복한책읽기Review] 다산은‘깊고 오묘한 산’섣불리 들어가면 조난

    [행복한책읽기Review] 다산은‘깊고 오묘한 산’섣불리 들어가면 조난

    소설가 한승원(69)이 신작 역사소설 『다산』(전2권, 랜덤하우스코리아, 각 권 336쪽, 각 권 1만원)을 내놨다. 13년 전 서울을 떠나 전남 장흥으로 내려가 ‘해산토굴’을 짓

    중앙일보

    2008.06.20 19:38

  • 격동! ‘박정희시대’에 다시 서다

    건국 60년의 책·담론·지식인 김호기 교수의 대한민국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서 ② ■‘박정희 19년’은 현대사 격변기… 사망한 유령 불러낸 ‘사회양극화’ ■ 진보학자 조희연, 긍정

    중앙일보

    2008.04.02 11:22

  • 임금의 투쟁이 책 속에 있나니

    임금의 투쟁이 책 속에 있나니

    요 몇 년 브라운관을 달군 왕의 계보를 ‘대왕 세종’이 이었다. 웬만한 시청자라면 드라마만 봐도 역대 군주의 일대기와 치적을 꿸 듯하다. 새로운 왕조를 여는 것도 험난하거니와(‘

    중앙선데이

    2008.01.12 19:56

  • 길을 걷고 역사를 걷고

    길을 걷고 역사를 걷고

    진권이, 선화, 수진이, 아름이….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이름이 있듯, 우리가 매일 걷는 길에도 각각의 고유한 이름이 있다. 한창 우리말 이름 짓기 바람이 불었을 때 전국 각지의 길

    중앙일보

    2007.10.05 10:26

  • [도올고함(孤喊)] '조선시대 경제인' 심대윤의 재발견

    [도올고함(孤喊)] '조선시대 경제인' 심대윤의 재발견

        『심대윤전집』은 의례, 주례, 좌전, 국어, 효경, 공자가어, 대학, 중용, 논어, 시경, 서경, 주역, 춘추 등의 방대한 경전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그 해석의

    중앙일보

    2007.09.11 05:11

  • 내가 실학자였다면 무엇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다산, 유배지서 아내 치마 잘라 만든 '하피첩' 이름만 전하던 3점 찾았다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다산 정약용(1762~1836)은 각별한 가족 사랑으로 유명하다. 다산의 가족 사

    중앙일보

    2006.04.25 12:54

  • [깊이읽기] 똑같이 시와 술을 사랑한 서거정과 김시습

    [깊이읽기] 똑같이 시와 술을 사랑한 서거정과 김시습

    고전문학사의 라이벌 정출헌·고미숙·조현설·김풍기 지음, 한겨레출판, 279쪽, 1만1000원 '고전문학사의 라이벌'은 '고전(문학)의 위기'에 대한 반성과 고민의 산물이다. 소장

    중앙일보

    2006.02.24 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