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시리아, ‘보복공습’ 美 비난…“우리 영토 미군 불법 점령 끝낼 것”
이란 외무부 대변인. EPA=연합뉴스 이란과 시리아가 친이란 민병대 시설을 공습한 미국을 비난했다고 이란 국영 IRNA 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나세르 칸
-
매복·기습의 귀재 린뱌오 “전쟁해야 평화의 문 열려”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7〉 이동 중인 동북자치군 치중대(輜重隊). [사진 김명호] 아직도 이런 말을 하는 중국인들이 많다. “일본 패망 후 장제스
-
[이번 주 리뷰]美 AC-130JㆍB-1B 연이어 한반도 출격…개딸들 ‘문자폭탄’(2월27일~4일)
3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설악산 케이블카 허가 #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 #개딸 #클린스만 감독 #강제북송 #3ㆍ1절 #수출 5개월 연속 감소 #그리스 열차 충돌 #중국
-
교실 난입해 151명 인간사냥…"자업자득" 말 나온 테러의 땅 [지도를 보자]
아래는 한 국가의 지방 도시입니다. 어디일까요?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 힌트 「 ①소설 『연을 쫓는 아이』
-
장제스가 키운 린뱌오의 팔로군, 일본군 1000명 몰살시켜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3〉 동북에서 국·공 내전이 발발하자 미국이 마샬(오른쪽 다섯째) 원수를 특사로 파견해 조정에 나섰다. 오른쪽 여섯째가 국민
-
"살려달라 들리는데 장비가 없다" 오열…사망 2만명 전망까지
“아이들이 잔해 밑에 깔려 있다. 아직 살아있고 소리가 들리는데 잔해를 치울 장비도, 구조해줄 이도 없다” 6일(현지시간) 새벽 튀르키예(터키) 남동부와 시리아 북부 지역을
-
푸틴 '우크라 침공 설계자' 다시 불렀다…그가 가장 먼저 한 일 [후후월드]
「 용어사전 > 후후월드 ※[후후월드]는 세계적 이슈가 되는 사건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을 파헤쳐 보는 중앙일보 국제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우크라이나 침공 설계자가 돌아
-
"'UAE 적=이란'은 상식적 발언"…그런데도 이란 발끈한 이유 [신동찬이 고발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UAE에 주둔한 아크 부대를 찾아 우리 장병을 만났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
-
빈정대는 명령도 받았다…푸틴 눈밖에 난 '푸틴 사병' 신세
러시아 용병 기업 바그너(Wagner) 그룹을 이끄는 예브게니 프리고진(62)이 죄수를 동원해 부족한 병력을 메우고,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공급받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앞장
-
“남자는 무기 다룰 줄 알아야” 스탈린, 장징궈에 권총 선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0〉 중·소 우호 동맹조약은 파행을 반복했다. 1945년 8월 7일, 소련의 동북 출병 전날 타결됐다. 소련 외상 몰로토프의
-
[이번 주 리뷰]중국 방역보복, 브라질 대선불복… 尹 “자체 핵보유 가능성”(9~14일)
1월 둘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강화 지진 #간첩단 ㅎㄱㅎ #이재명 검찰 출석 #나경원 #윤석열 순방 #중국 비자발급중단 #브라질 ‘대선불복’#대량응징보복 #일시적 2주택자 주
-
'잔혹 학살' 기대한 푸틴 실망? '아마겟돈 장군' 석달만에 잘랐다
우크라이나 전장의 세르게이 수로비킨(57) 러시아군 총사령관이 임명된 지 석 달만에 경질됐다. 수로비킨은 민간인 무차별 학살 등 잔혹함으로 악명 높아 '인류 최후의 전쟁'에 빗댄
-
‘해바라기’서 ‘체르노빌’까지, 우크라 비극을 예견하다
━ 오동진의 시네마 역사 올해 6월 27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산업도시 크레멘 추크시의 쇼핑몰. 이날의 폭격으로 민간인 수십 명이 숨졌
-
[고수석의 용과 천리마] 북한의 중국 뒤통수 때리기 배짱은 어떻게 나왔나
제2차 국공내전 [사진 바이두] 북한의 중국 뒤통수 때리기는 이골이 난 상태다. 한데 그 배짱은 과연 어디서 나왔을까? 그 기원은 1946년부터 시작한다. 당시 상황은 이렇다.
-
푸틴 크림대교 방문 이튿날 젤렌스키는 동부 최전선 도시 방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군의 날을 맞아 동부 최전선 도시 슬라뱐스크를 방문해 병사들을 격려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
-
김칫국부터 마신셈…북진 그 뒤, 한·미 '평양 통치권' 다퉜다 [Focus 인사이드]
━ 너무나 컸던 한국과 미국의 시각차 1950년 10월 1일. 감격스러운 북진이 개시됐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아군이 수복한 북한 지역의 통치를 놓고 한국 정부
-
동원령 내렸는데 전쟁 이겼다고? '러빠'들의 기가막힌 공통점 [뉴스원샷]
━ 이철재 외교안보팀장의 픽 : 러시아 옹호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220일이 지났다. 현재 러시아가 상황이 좋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러시아는 ‘부분’이
-
푸틴, 결국 국내에 전선을 긋다…'패전의 전조' 괴벨스 총력전 [Focus 인사이드]
━ 총력전 선언이 어려웠던 이유 1943년 2월 18일, 집회에서 나치의 선전상 요제프 괴벨스는 이제부터 독일은 총력전에 돌입할 것이라는 연설을 했다. 사실 제2차 세
-
"비행기 뜨자마자 공항 폭격"…'모가디슈' 뺨치는 대사의 세계
"밤새 총소리가 들리고 우방국 헬기가 공항을 맴돌았습니다. 영화에서 보던 전쟁 그 자체였습니다." 최태호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는 지난해 8월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
-
"살인·강도범 환영, 강간범은 NO" 이런 죄수 찾고있는 러軍
지난 8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한 버스정류장에 러시아 병사 사진과 '러시아의 영웅들에게 영광을'이란 문구가 적혀있는 포스터가 걸려 있다. EPA=연합뉴스 ‘살인·강도범 환영.
-
러 졸전에 '전차 무용론'…드론·무인전투 기술로 왕좌 되찾는다 [이철재의 밀담]
2월 24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체면을 크게 구긴 건 러시아였다. 러시아는 속전속결로 우크라이나의 항복을 받아내려던 당초 목표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 넉
-
"하루 다섯끼" 130㎏ 퇴역 장군도 불렀다…푸틴의 인력난
러시아 군대가 어수선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점령이 늦어지면서 총사령관을 교체했다는 서방의 관측이 나왔다. 전쟁 장기화에 고위 지휘관이 고갈
-
일 관동군, 동북왕 장쉐량 관저 막대한 금은보화 약탈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3〉 관동군은 전쟁을 확대하지 말라는 대본영의 지시를 무시했다. 9월 21일 창춘(長春)에 입성했다. 주석 장쭤샹은 텐진(天
-
[예영준 논설위원이 간다] 마산방어전투의 재조명 "그때 뚫렸으면 6ㆍ25는 달라졌다"
예영준 논설위원 1950년 여름 대한민국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있었다. 포항-왜관-마산을 잇는 240㎞ 워커라인(일명 낙동강 방어선)의 어느 한 곳이라도 뚫리면 대한민국은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