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국어과 · 간호과 전망 밝아

    중국어과 · 간호과 전망 밝아

    활기찬 캠퍼스 모습. [사진=청강문화산업대학 제공]어떤 학과를 들어가야 취업이 잘될까. 앞으로 전망이 밝은 직업은 어떤 것일까. 진로를 고민하는 수험생이나 청소년들이 가장 궁금해

    중앙일보

    2007.01.08 15:40

  • [JOBs] 기업은 학생 알고 학생은 기업 알고

    [JOBs] 기업은 학생 알고 학생은 기업 알고

    연수생들이 산업기술시험원에서 단체교육을 받고있다.전남대 자원공학과를 나온 윤창식(28)씨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취업연수 과정을 거쳐 취업에 성공했다. 그는 "에너지기술연에서 현장

    중앙일보

    2006.12.25 17:39

  • [2007대학가는길] 주목! 미래의 유망학과는

    [2007대학가는길] 주목! 미래의 유망학과는

    어느 학과가 취업 전망이 좋고, 연봉도 많을까.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최근 전문대와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래에 가장 전망이 있는 학과는 4년제 대학의 경우 간호학

    중앙일보

    2006.12.13 16:48

  • 한국의 출신 대학 문제 안된다

    미국에서는 매년 한국인을 포함, 순수 외국인(international students) 250~280명이 의대에 진학한다. 한국에서 의대 합격이 어려운 만큼 미국 의대 진학도 쉽지

    중앙일보

    2006.11.07 11:53

  • 미국보다 더 자본주의 제2 중국은 시간문제

    미국보다 더 자본주의 제2 중국은 시간문제

    "내 생각에 제2의 중국은 베트남이 될 것 같다." 세계 2위의 은행인 HSBC의 아태지역 최고경영자 마이클 스미스는 이렇게 말한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고작 587달러

    중앙일보

    2006.11.07 04:02

  • 서울대 교수들, 수업평가서 '낙제점'

    서울대학교 자체 조사결과 학생들은 시간강사의 강의에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노컷뉴스가 18일 보도했다. 전임교수들의 강의는 낙제점을 받았다. 서울대 기초교육원은 최근

    중앙일보

    2006.10.18 11:37

  • 스트레스 확 날려~

    스트레스 확 날려~

    CEO들은 연령을 불문하고 건강하고 활기차 보이기를 원한다. 그러나 계속되는 음주와 흡연, 경영전반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이는 어쩌면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자신 외에 많은

    중앙일보

    2006.08.08 21:30

  • [이런주장,저런하소연] '외고생' 둔 부모 마음

    [이런주장,저런하소연] '외고생' 둔 부모 마음

    아이들 교육에 느긋하던 나에게도 요즘 들어 불안하고 걱정스러운 마음이 들 때가 많다. 이런 변화는 올해 D외고에 입학한 큰 아이 때문이다. 우수한 아이들끼리만 모여 내신 경쟁을

    중앙일보

    2006.07.18 17:55

  • 영어 AP 첫 시범학교 '미래로 날다'

    영어 AP 첫 시범학교 '미래로 날다'

    지난 1990년 경기도 외국어고등학교로는 최초로 과천외고가 문을 열었다. 오랜 전통으로 축적된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은 명실상부한 외고의 명문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학교장과

    중앙일보

    2006.07.10 11:11

  • [2006 서비스 대상] 아파트는 주부가 더 잘 알죠

    [2006 서비스 대상] 아파트는 주부가 더 잘 알죠

    롯데건설은 LSP(Lady's Service Part.사진)를 두고 있다. 여성전문 서비스 전담반이다. 2001년 출범했다. 아파트 건설회사가 여성 서비스 요원을 두기는 롯데가

    중앙일보

    2006.06.20 10:48

  • 요즘 신입사원들은 … 외국어·컴퓨터 실력 좋은데 주인의식·도전정신은 부족

    요즘 신입사원들은 … 외국어·컴퓨터 실력 좋은데 주인의식·도전정신은 부족

    '외국어와 컴퓨터 능력은 괜찮은데 주인의식.도전정신과 예절.성실성은 부족하다'. 요즘 대졸 신입사원에 대한 기업의 평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에 있는 510개 기업을 대상으로 대

    중앙일보

    2006.06.06 20:04

  • [week&CoverStory] 지구적으로 오지랖 넓은 사람들

    [week&CoverStory] 지구적으로 오지랖 넓은 사람들

    작은 나라들이 있습니다. 예멘.부탄.시에라리온.피지. 너무 멀어 가 본 이가 많지 않습니다. 사실 갈 일이랄 것도 별로 없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오래전, 그 낯선 땅에 눈 돌린

    중앙일보

    2006.05.11 16:54

  • 졸업 후 진로는 열에 네 명꼴 "미래 불확실"

    졸업 후 진로는 열에 네 명꼴 "미래 불확실"

    서울대생 10명 가운데 4명꼴로 졸업 후 진로에 대해 불안해했다. 특히 인문대에서 두드러졌다. '졸업 후 미래가 불확실한가'라는 질문에서 인문대 학생들 중 57.9%는 '그렇다'

    중앙일보

    2006.03.13 05:03

  • [Jobs] 파랑새여, 잠깐만

    [Jobs] 파랑새여, 잠깐만

    한양대에서 전기.전자를 전공한 정모(27)씨는 2004년 말 남들이 선망하는 국내 굴지의 전자업체를 그만뒀다. 입사 10개월 만이다. 수당을 제외한 초봉이 3000만원에 달했고

    중앙일보

    2006.03.01 18:00

  • "비만아동, 자존감 낮고 외모 불만족"

    비만 아동이 신체나 외모에 대한 불만족을 가질 가능성이 크고 자존감(自尊感)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대학원 심리학과 임상ㆍ상담심리학 전공 신나영씨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학

    중앙일보

    2006.02.16 18:56

  • 삼성생명, 젊은 마음도 사로잡았네

    삼성생명, 젊은 마음도 사로잡았네

    삼성생명은 1957년 창립한 이래 고객과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브랜드와 회사 이미지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고객중시 브랜드 구축을 위해 경영방침을 아예 '고객 섬김의 정착'으로 정

    중앙일보

    2005.11.14 11:55

  • 삼성생명, 젊은 마음도 사로잡았네

    삼성생명, 젊은 마음도 사로잡았네

    삼성생명은 1957년 창립한 이래 고객과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브랜드와 회사 이미지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고객중시 브랜드 구축을 위해 경영방침을 아예 '고객 섬김의 정착'으로 정

    중앙일보

    2005.11.13 18:21

  • [이슈 추적] 교원평가, 이미 하고 있는 학교는 …

    [이슈 추적] 교원평가, 이미 하고 있는 학교는 …

    합리적 교원평가 실현을 위한 학부모·시민연대(교평연대) 회원들이 8일 서울 세실레스 토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원평가제 시범 실시 수용을 촉구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교원평가제 실

    중앙일보

    2005.11.09 04:55

  • [IT칼럼] 국내 e-비즈니스 인력 수준 어디까지 왔나

    인터넷 및 정보기술(IT)의 발전은 인간의 삶과 기업의 경영환경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경영과 IT 기술을 접목시킨 e-비즈니스 환경을

    중앙일보

    2005.07.22 12:00

  • 바둑 가정교사 나왔다

    바둑 방문학습 프로그램이 나왔다. 교사가 회원들의 집으로 가 1대 1로 바둑을 가르찬다. 에듀마이스터(www.edumeister.com)는 최근 바둑에 창의력 교육 개념을 접목한

    중앙일보

    2005.05.18 09:47

  • [week& cover story] "잠깐 고치고 올게" 화장하듯 수술

    [week& cover story] "잠깐 고치고 올게" 화장하듯 수술

    "대통령께 감사패라도 드리고 싶어요." 대한미용외과학회 임종학 회장의 얘기다. 노무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의 눈 수술 이후 성형에 대한 선입견이 많이 사라졌다는 것. 덕분에 병원에

    중앙일보

    2005.04.07 15:49

  • [과학] 서울대 출신 교육 만족도 매우 낮아

    [과학] 서울대 출신 교육 만족도 매우 낮아

    서울대 공대 졸업생들은 학부 시절 자신이 받은 교육의 적절성에 대해 100점 만점에 39.32점이라고 답했다. 포항공대(63.97점), 한국과학기술원(KAIST.61.25점)과 차

    중앙일보

    2005.01.12 17:13

  • [내 생각은…] 대학, 직업교육에 매몰돼선 안 된다

    대학교육이 보편적 인간을 기르는 것인가, 아니면 특정 직업교육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일까. 지난 6일 발표된 교육인적자원부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대기업.중소기업 최고경

    중앙일보

    2005.01.09 18:32

  • CEO가 매긴 대학교육의 질 "보통"

    CEO가 매긴 대학교육의 질 "보통"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성적을 매긴 국내 대학 교육의 질은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에 머물렀고, 대학교육이 기업 현장의 요구

    중앙일보

    2005.01.06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