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환경재단, 구삼열 전 아리랑TV 사장을 미주담당 이사로 선임

    환경재단, 구삼열 전 아리랑TV 사장을 미주담당 이사로 선임

    환경재단 최열 이사장(왼쪽)이 구삼열 미주담당 이사에게 위촉장을 전달하고 있다. 환경재단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2일 아리랑TV 사장을 지낸 구삼열 월드 임브레이스 대표를 환경

    중앙일보

    2021.12.02 10:06

  • 제1회 ‘임길진 박사 글로벌상’ 미시간주립대 코리 교수 수상

    제1회 ‘임길진 박사 글로벌상’ 미시간주립대 코리 교수 수상

    사단법인 개발연구협의체(회장 원제무 한양대 교수)는 제1회 ‘임길진 박사 글로벌상’ 수상자로 미국 미시간주립대 케네스 E. 코리(사진) 지리학과 교수를 23일 선정했다. 이 상은

    중앙일보

    2009.06.24 01:00

  • 임길진 교수 1주기 추모 문집 발간

    임길진 교수 1주기 추모 문집 발간

    10일 오후 6시 30분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고 임길진(사진) 미시간대 석좌교수 1주기 추도식과 추모문집인 '크게 넓게 내다보고' 발간 기념모임이 열렸다. 추모문집에는

    중앙일보

    2006.02.11 05:00

  • 전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임길진 미시간대 교수 별세

    전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임길진 미시간대 교수 별세

    미국 미시간주립대 석좌교수인 임길진(59)박사가 9일(현지시간) 교통사고로 숨졌다. 임 박사는 서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미 하버드대와 프린스턴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앙일보

    2005.02.11 10:21

  • "인허가 절차 줄여 공직 부패 없애야"

    한국부패학회(회장 임길진)와 국회 '반부패 국회의원 포럼'(대표 정세균)이 공직사회의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20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공직사회 청렴성 제고를

    중앙일보

    2004.12.20 19:20

  • "국가 부패지수 세계 52위 정치지도자들 반성해야"

    "국가 부패지수 세계 52위 정치지도자들 반성해야"

    "지난해 국제투명성기구가 평가한 한국의 부패지수는 133개국 중 52위입니다. 한국의 경제력은 세계 11위권이고, 한국인의 평균 IQ는 세계 선두권이지요. 이런 좋은 여건을 갖고

    중앙일보

    2004.08.14 09:28

  • [세계 생명문화 포럼] 평화·상생의 문명 열자

    [세계 생명문화 포럼] 평화·상생의 문명 열자

    김지하 시인이 제안한 '아름다운 모심, 힘찬 살림'이란 표어를 내걸고, '21세기 문명의 전환과 생명문화'라는 주제를 앞세운 국제학술행사 '세계생명문화포럼-경기2003'(이하 포럼

    중앙일보

    2003.12.17 18:06

  • "교육 실패는 미래 한국의 재앙"

    미국에서 괄목할 만한 학문적 업적을 일궈온 재미 한국계 학자들이 27일 한국 교육을 '완전한 실패'로 규정하고 특단의 조치를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채택했다. 국내의 공교육 붕괴현상

    중앙일보

    2003.11.27 18:08

  • [세계 생명문화 포럼] '생명학' 詩的 비전·과학적 대안 있어야

    김지하 시인과 박이문 연세대 특별 초빙교수가 11월 26일 오후 한자리에 마주 앉았다. 세계 18개국에서 1백여 명의 학자와 활동가들이 참여하는 '세계생명문화포럼-경기 2003'(

    중앙일보

    2003.11.26 17:48

  • [세계 생명문화 포럼] 개인 가치 바탕 '생명학' 추구해야

    세계생명문화포럼의 개최를 앞두고 김지하 시인과 임길진 미시간주립대 석좌교수의 대담을 마련한다. 국내 생명.환경 운동의 이론가로 꼽히는 김 시인은 세계생명문화포럼의 공동추진위원장을

    중앙일보

    2003.08.29 19:35

  • [임길진 미시간주립대 석좌교수…] 참미래 위한 가치혁명 강조

    임길진(56) 미시간주립대 석좌교수는 현재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1998년엔 한국개발연구원(KDI) 초대 국제정책대학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전공은 지역계획학이지만

    중앙일보

    2003.08.29 19:32

  • 소설가 이윤기씨의 딸 다희씨 이색 결혼식

    소설가 이윤기씨의 딸 다희씨 이색 결혼식

    번역문학가 겸 소설가이자 신화(神話)전문가로도 유명한 이윤기(李潤基.56.사진(左))씨가 '인문학 동반자'인 딸의 결혼식을 독특하게 치러 화제다. 李씨의 딸 다희(多喜.23)씨는

    중앙일보

    2003.06.12 17:50

  • 국민은 왜 정부를 믿지 않는가

    도발적인 책 제목은 우선 '국민은 정부를 믿고 있지 않다' 는 분명한 전제를 깔고 있다. 그리곤 되묻는다. '왜? . 정부의 리더십 붕괴는 동서가 다르지 않다. 이 책은 주로 미국

    중앙일보

    2001.04.14 07:46

  • [신간 리뷰] '국민은 왜 정부를…'

    도발적인 책 제목은 우선 '국민은 정부를 믿고 있지 않다' 는 분명한 전제를 깔고 있다. 그리곤 되묻는다. '왜? . 정부의 리더십 붕괴는 동서가 다르지 않다. 이 책은 주로 미

    중앙일보

    2001.04.14 00:00

  • 아산서 '아·태 지역계획…' 세계총회 열려

    아시아.오세아니아 각국의 지역개발.도시계획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가간 상호협력 문제를 논의하는 '제17차 아.태 지역계획 및 주택기구(EAROPH)' 세계총회(조직위원장 박수

    중앙일보

    2000.10.09 00:00

  • 한통-KDI, 해외대학·교포대상 사이버 대학 추진

    한국통신(사장 이계철.李啓徹)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원장 임길진.林吉鎭)과 해외대학 및 해외 거주 한국인 교포를 대상으로 사이버교육을 추진키로 하는 사업협력 양해

    중앙일보

    2000.07.21 13:23

  • [사람사람] '청년세계탐구단' 발대식 갖는 임길진씨

    "저희 청년세계탐구단 계획은 단순한 문화 교류 차원의 행사가 아니고 문화 재창조를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글로벌 프론티어 2000 하반기팀

    중앙일보

    2000.06.24 00:00

  • 한미관계 재조명 학술대회 열려

    "한국 현대사의 세 가지 역사적 사건인 분단과 전쟁, 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에서 미국은 문제의 근원적 해결보다 분단과 대결을 강요했다. 1990년대 국제적 탈냉전 분위기 아래서

    중앙일보

    2000.05.17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43. 개발연구협의체 사람들

    82 년 5월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대학에서 열린 '국가발전과 사회변환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에 국가발전.지역개발.공공정책 등을 연구하는 일단의 국내외 학자들이 모여들었다. 프린

    중앙일보

    1999.12.20 00:00

  • 정치지망생 문의 쇄도…국민정치연구회 '표정 관리중'

    지난달 24일 창립된 국민정치연구회 (이사장 李在禎)가 정치지망생들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의 '젊은층 수혈론' 에 때맞춰 결성된 그의 개혁 지지세력 총집결체

    중앙일보

    1999.04.01 00:00

  • ['아시아적 가치…'국제심포지엄]종합토론

    임길진 (林吉鎭) 한국개발연구원 (KDI) 국제대학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종합토론은 아시아의 가능성과 희망을 찾으려는 열기로 충만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아시아가 미래 국제사회에 기여

    중앙일보

    1998.09.07 00:00

  • [사고]'아시아적 가치는 존재하는가'대토론회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아시아는 전환기를 맞았습니다.금융·통화부문에서 시작된 경제위기는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전체를 흔들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아온 아시아적 가치와 성장방식

    중앙일보

    1998.09.01 00:00

  • [인터뷰]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임길진 석좌교수

    - 이번 세미나의 의의는. ▶지난 몇년간 세계를 휩쓴 유행어는 세계화.정보화였다. 선진국이거나 후진국이거나 많은 나라들이 이 두가지 개념을 냉전 이후 가장 중요한 정책적 지침으로

    중앙일보

    1997.09.29 00:00

  • '지속 가능한 시민사회' 국제세미나 지상중계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끝났지만 새로운 세계질서 (New World Order) 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새로운 세계질서는 개개 국가와 사회들이 안정되고 건강한 '지속 가능한 사회'

    중앙일보

    1997.09.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