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류사에 빛나는 민족의 유산

    앞으로 천년 뒤인 2999년 우리 후손들은 지금 우리의 모습을 어떻게 평가할까. 중앙일보는 천년 뒤 우리 후손에게 보여주고 싶은 지난 천년간의 문화, 문화재를 지상 타임갭슐에 담기

    중앙일보

    1999.12.30 19:19

  • [20세기 한국의 베스트셀러]

    책은 문화의 척도다. 20세기는 특히 그랬다. 그런 책 얘기를 하면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이 베스트셀러다. 베스트셀러가 대중의 취향에 영합한 책이요 상업주의의 병폐 속에 왜곡돼

    중앙일보

    1999.12.23 00:00

  • [20세기 나의 송사] 3. 두 얼굴의 TV-주철환 MBC PD

    비교한다는 일 자체가 예의에 다소 어긋나긴 하지만 수천년을 버텨온 문학과 회화에 비해 방송은 1백년이 채 못된 역사를 지녔을 뿐이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 경성방송국(호출부호 J

    중앙일보

    1999.11.12 00:00

  • [부산국제 영화제제] 18일, 독립영화의 날!

    18일은 부산 지역에서 독립영화인들의 한 판 잔치가 벌어진 날이었다 오후 6시 대영 극장 에서 있었던 독립영화 세미나를 필두로 9시 30분에는 부산 독립영화인 협회 발족식, 이어

    중앙일보

    1999.10.19 13:36

  •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을까…KBS 한글날 특집다큐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보는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이날 밤 8시 방송되는 KBS1 '역사스페셜' 은 세종대왕과 함께 한글을 만든 주역으로 평가되는 집

    중앙일보

    1999.10.08 09:37

  •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을까…KBS 한글날 특집다큐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보는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이날 밤 8시 방송되는 KBS1 '역사스페셜' 은 세종대왕과 함께 한글을 만든 주역으로 평가되는 집

    중앙일보

    1999.10.08 00:00

  • [책광장] '세계사 작은사전' 外

    [인문] ◇ 세계사 작은사전 (이무열 엮음.가람기획.2만4천원) =인류문명의 발상에서 최근 사회주의 붕괴까지 세계사의 전 영역에서 필요한 기본 항목 5천8백개를 정리. 시대별로 사

    중앙일보

    1999.05.27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20.북한 원로학자 주영헌과의 대화

    방북기간 중 나는 북한의 대표적 고고학자인 주영헌 (朱榮憲.71) 선생, 평양의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장정신 (張正信) 관장과 두시간여에 걸친 대화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것은

    중앙일보

    1998.05.13 00:00

  • 일본여성의 '정신대 사죄'

    "일본 총리가 정신대 문제에 대해 말로만 '나쁜 짓을 했다' 고 했을뿐 거기에 따른 정부 수준의 배상이나 공식적인 입장 표현이 없어 안타깝습니다. " 오는 9월 고려대 박사과정에

    중앙일보

    1997.08.15 00:00

  • 일본 본질 캐는 대형기획물 쏟아져…'일본학 총서' 시리즈 등

    오늘은 광복 52돌이 되는 날. 그날의 감격을 차분하게 되새기며 한.일 양국의 진취적 관계를 숙고해볼 시점이다. 출판계도 예외는 아니어서 8.15를 겨냥해 다양한 장르의 책들을 선

    중앙일보

    1997.08.15 00:00

  • TV광복절 특집 어떤게 있나

    52주년 광복절을 맞는 방송4사의 특집이 다채롭다. 단순한 극일.반일이 아니라 일제시대 우리영화, 일본인의 시각으로 본 관동대지진, 일본만화, 조총련등 좀더 포괄적으로 한일관계에

    중앙일보

    1997.08.13 00:00

  • 동성동본 禁婚의 역사 …조선 영조이후 뿌리내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나 고려시대까지 계급적 내혼제 (內婚制).동성혼.근친혼이 성행했다. 중국에서는 주 (周) 나라 때부터 같은 부계혈통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세워지

    중앙일보

    1997.07.17 00:00

  • '일본을 걷는다' 김정동 교수 著 - 일본속 우리 문화유적 답사

    일본 근대사에 스며있는 한국인의 발자취.일제 강점기 36년은 물론 이후 우리의 자화상을 이해하기 위한 또다른 출발점이다. 한 건축학과 교수가 우리 근대사의 흔적들을 찾기 위해 일본

    중앙일보

    1997.06.27 00:00

  • 26. 국립국악원 - 우리음악의 자존심

    일제 강점기와 6.25로 얼룩진 근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전통문화의 대들보처럼 우리 음악의 자존심을 꿋꿋하게 지켜내온 국립국악원은 국악의 본산(本山)이자 종가(宗家).전통음악의

    중앙일보

    1997.04.26 00:00

  • '역사신문' 6권 완간

    역사서술에 신문형식을 도입한 독특한 아이디어로 좋은 반응을 얻었던'역사신문'(사계절刊)이 모두 6권으로 완간됐다.95년 8월 1권을 시작으로 5권까지 13만여부가 나가며 역사 대중

    중앙일보

    1997.04.18 00:00

  • 제주도내 시범 민박마을 조성

    제주도내 4개 민박마을이 세미나와 스포츠.낚시.수렵등 이벤트행사를 같이 치를수 있는 시설을 갖춘 시범 민박마을로 조성된다. 제주도는 19일 제주를 찾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농어촌의

    중앙일보

    1997.03.20 00:00

  • 카메라의 역사 한눈에 볼 수 있는 '오래된 사진기 특별전' - 영남대박물관

    구한말 우리나라에 카메라가 처음으로 들어왔을 때 혼을 빼는 기계라고 해 한바탕 소동을 빚은 웃지못할 일도 있었다.하지만 지금은 가정마다 자동카메라 한대쯤은 가지고 있을 만큼 카메라

    중앙일보

    1997.03.15 00:00

  • 일제시대 형무소 자료 찾습니다-서대문구,형틀.囚衣등 모아 독립공원 전시

    “일제시대의 형무소 관련 자료를 찾습니다.” 서울서대문구가 현저동 독립공원내에 짓고있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 전시할 자료를 모집하고 있다. 독립운동을 한 선조들이 일제에 의해 당한

    중앙일보

    1997.03.05 00:00

  • 미래를 위한 과거

    조선총독부 건물은 대한민국 독립후 중앙청 건물이 돼 일제 강점기간 이상 긴 기간 봉사했다.그러다 일제잔재 청산 이데올로기가 득세하게 돼 헐려나갔다.부끄러운 얘기지만 이 건물을 철거

    중앙일보

    1996.12.05 00:00

  • "권력과 매춘" 박종성 著

    2년전.한국의 매춘'을 발표한 서원대 박종성교수가 논의의 폭을 넓혀 우리사회에 팽배한 매매춘 현상을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고찰하고 나선다.주로 조선시대부터 최근까지 매매춘의 역사적

    중앙일보

    1996.12.03 00:00

  • "진짜 신파극"

    일제강점기에 철두철미 일본인이 되고자한 한 사내가 있었다.해방이 됐지만 그는 대일본국이 다시 이 우매한 나라를 통치할 날이 꼭 올거라고 믿었다.그래서 그는 섬으로 간다.일본국이 남

    중앙일보

    1996.10.01 00:00

  • 창작뮤지컬 "님의 침묵" 13년만에 다시 무대에

    극단 신시뮤지컬컴퍼니(대표 김상열)의 창작뮤지컬 『님의 침묵』이 오는 10일부터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 13년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만해 한용운의 일대기를 그린 서사극 『님의

    중앙일보

    1996.09.03 00:00

  • 독립신문 100돌-신문의 나아갈 길

    오는 4월7일은 제40회 신문의 날이면서 동시에 근대신문의 효시인 「독립신문」창간 1백주년이 되는 날이다.한국신문 1백년사를 기록하는 뜻깊은 해를 맞아 중앙일보는 한국언론학회와 공

    중앙일보

    1996.03.27 00:00

  • ◇중국 현대소설사(김한 지음)=1949년부터 1989년까지 중국 현대소설의 발전과 변화를 고찰한 학술서. ◇당시개론(안병국 편저)=당시(唐詩)의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망라하며 시대

    중앙일보

    1996.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