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사신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사신

    숙종은 재위 43년(1717) 7월 집권 노론(老論) 영수인 좌의정 이이명(李命)과 독대(獨對)했다. 승지 남도규(南道揆)와 사관(史官) 권적이 입시하려 하자 환관이 막았다. 조

    중앙일보

    2011.09.16 00:12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김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김

    우리는 일본인과 함께 해초(海草)를 즐기는 드문 민족이다. 조선시대 영·호남 등지에 곽전(藿田)과 태전(苔田)이 있었다. 곽(藿)이 미역이니 곽전은 미역이 출토되는 섬 등을 뜻한

    중앙일보

    2011.09.14 00:14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추석의 유래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추석의 유래

    추석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은 『삼국사기』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 9년(서기 32년)조에 나온다. 신라 유리왕은 서라벌의 6부(部) 여성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왕녀 두 사람에게

    중앙일보

    2011.09.09 00:26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가을바람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가을바람

    옛 선비들은 가을바람이 불면 관직을 내던지고 귀향을 꿈꿨다. 그래서 가을바람(秋風)이란 시어는 귀향을 그리는 마음으로 해석한다. 고려 말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동강조어(東

    중앙일보

    2011.09.07 00:26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고려양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고려양

    지금으로부터 700~800여 년 전에 세계제국 원(元)나라에 한류(韓流)가 불었다. 바로 고려양(高麗樣), 또는 고려양자(高麗樣子)다.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元末明初) 때 인

    중앙일보

    2011.09.05 00:27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군자삼락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군자삼락

    『맹자(孟子)』는 ‘진심(盡心)’ 장에서 군자삼락(君子三樂), 즉 군자의 세 즐거움에 대해 말했다. ‘부모가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하늘을 우러

    중앙일보

    2011.09.02 01:58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교육의 목적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교육의 목적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유배지에서 가장 고민한 것은 두 아들의 교육 문제였다. 두 아들은 과거 응시 자체가 막히자 학문을 등한시했다. 그래서 다산은 순조 3년(1803)

    중앙일보

    2011.08.31 00:02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축지법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축지법

    인간에게는 남보다 빨리 달리고 싶은 욕망이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축지법(縮地法)이다.『신선전(神仙傳)』 ‘호공(壺公)’조에 축지법 이야기가 나온다. 한(漢)나라 비장방(費長房

    중앙일보

    2011.08.29 00:28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오판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오판

    역사는 이름 없는 대다수 민초가 만들어가는 거대한 대하(大河)지만 때로는 한두 사람의 권력자에 의해 물줄기가 바뀌기도 한다. 때로는 한순간의 오판(誤判)으로 모든 것을 잃기도 한

    중앙일보

    2011.08.26 00:28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옛날 투표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옛날 투표

    옛날에도 투표제도가 있었다. 권점(圈點)이 그것이다. 인사 후보자의 성명을 적은 망단자(望單子)에 동그라미를 찍는 것이 권점이다. 문·무관을 뽑을 때 이조(吏曹)와 병조(兵曹)의

    중앙일보

    2011.08.24 00:28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셋방살이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셋방살이

    타향살이를 교거(僑居)라고 한다. 고려 말의 문인 가정(稼亭) 이곡(李穀)이 ‘안조마(安照磨)의 요양(遼陽) 부임을 전송하는 시’에서 “그대 지금 홀연히 멀리 떠나지만/나 역시

    중앙일보

    2011.08.22 00:22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황제는 역시…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황제는 역시…

    연암 박지원(朴趾源)이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말하는 열하는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承德市)다. 박지원은 정조 4년(1780:건륭제 45년) 진하별사(進賀別使)의 일원으로 북경

    중앙일보

    2011.08.19 00:16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피서법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피서법

    시원한 과일을 먹는 것은 예부터 좋은 피서법이었다. ‘참외(甘瓜)’와 ‘붉은 오얏(朱李)’은 모두 피서를 뜻하는 말이다. 삼국시대 위(魏)나라 조비(曹丕)가 오질(吳質)에게 보낸

    중앙일보

    2011.08.17 00:26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이른 항복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이른 항복

    김구 주석은 중국 서안(西安)에서 섬서성 주석 축소주(祝紹周)와 저녁식사 후 담화하던 도중 일본의 항복 소식을 들었다. 김구는 『백범일지』에서 “내게 희소식이라기보다는 하늘이 무

    중앙일보

    2011.08.15 00:15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제천금인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제천금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숫자가 많은 김씨는 금(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기(史記)』 ‘흉노(匈奴)열전’과 『한서(漢書)』 ‘표기(驃騎)열전’은 한 무제(武帝) 때 흉노의 휴도왕

    중앙일보

    2011.08.12 00:27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집단공포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집단공포

    공포(恐怖)는 황포(惶怖), 진공(震恐)과 같은 뜻이다. 청장관 이덕무(李德懋)는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에서 “폭우와 천둥·번개가 칠 때 비스듬히 누워서 담소하는 자는 도량이

    중앙일보

    2011.08.10 00:15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수사권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수사권

    현재의 검찰과 비슷한 기관이 조선의 사헌부(司憲府)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예전(禮典)’은 5품 하관이 3품 상관에게 절을 해도 상관은 맞절을 하지 않는다는 규정이 있다.

    중앙일보

    2011.08.08 00:15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독도 해법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독도 해법

    1931년 9월 18일 밤 일본 관동군(關東軍) 독립수비보병 대대의 고모토(河本末守) 중위는 심양(瀋陽)역 북쪽 유조호(柳條湖) 부근의 남만주 철도 선로를 폭파했다. 그러고는 이

    중앙일보

    2011.08.05 00:14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치수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치수

    전통 유학 사회는 자연 재해(災害)를 인간의 정사 잘못에 대한 하늘의 경고로 봤지만 이에 대한 의문도 끊이지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성인으로 추앙받는 우(禹)임금 10년 동안

    중앙일보

    2011.08.03 00:15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희생양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희생양

    희생(犧牲)은 제사 때 제물로 바치는 동물을 뜻한다. 『주례(周禮)』는 고대 주나라 때 여섯 가지 희생 을 기르는 목인(牧人)이란 관직이 있었다고 전한다. 소·말·양·돼지·개·닭

    중앙일보

    2011.08.01 00:14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폭우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폭우

    고려 말 학자 이색(李穡)은 ‘폭우행(暴雨行)’이란 시에서 “머리 돌리니 천지는 외로운 성 같은데/백만 강군이 갑자기 기습했구나(回頭天地如孤城/百萬雄兵忽來襲)”라고 노래했다. 폭

    중앙일보

    2011.07.29 00:3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단일민족론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단일민족론

    『고려사』 공민왕 11년(1362)조는 이성계가 원(元)나라 나하추[納哈出]를 홍원(洪原) 달단동(韃靼洞)에서 크게 격파했다고 전한다. 안정복은 『동사강목(東史綱目)』에 이 기사

    중앙일보

    2011.07.27 00:07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희년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희년

    고대 이스라엘에는 희년(禧年)이란 것이 있었다. 안식년과 깊은 관계가 있다. ‘레위기’ 25장은, “안식년의 소출은……너와 네 남종과 네 여종과 네 품꾼과 너와 함께 거(居)하는

    중앙일보

    2011.07.25 00:29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만리장성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만리장성

    신의주 맞은편 중국 단둥(丹東)시 압록강가에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호산성(虎山城)’이란 입간판들이 서 있다. 만리장성이 압록강까지 진출한 것이다. 북한은 지금 중국에 대해 항의

    중앙일보

    2011.07.22 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