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독도는 우리 땅’ 세상에 알린 대한제국 칙령 41호

    ‘독도는 우리 땅’ 세상에 알린 대한제국 칙령 41호

    하야시 시헤이(林子平·1738~93), 대삼국지도(大三國之圖) 18세기 일본의 유학자이자 지리학자였던 하야시 시헤이(林子平·1738~93)가 제작한 1802년판 대삼국지도다. 조

    중앙선데이

    2016.01.22 15:09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①

    러·일전쟁의 전운이 감돌자 대한제국은 1904년 1월 23일 국외중립을 선언했고, 각국으로부터 중립국임을 인정받으려 노력했다. 한국은승전국의 전리품이 될 운명이었다. 이런 성격의

    중앙선데이

    2016.01.22 15:09

  • 자녀·부모가 함께 보는 중앙SUNDAY만의 역사 NIE

    관련기사일제 강점기 전 맺은 각 조약 성격 파악이 수능 포인트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중앙SUNDAY가 다음달 16일 인터넷 홈페이지 개편에 앞서 이번 주부터 학생을 위한 역

    중앙선데이

    2016.01.22 15:06

  • 일제 강점기 전 맺은 각 조약 성격 파악이 수능 포인트

    일제 강점기 전 맺은 각 조약 성격 파악이 수능 포인트

     관련기사자녀·부모가 함께 보는 중앙SUNDAY만의 역사 NIE[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총평] 러일전쟁 직전에 전운이 감돌자 대한제국은 중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일본은

    중앙선데이

    2016.01.22 15:06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7)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7)

    김홍도가 그린 ‘벼타작.’ 대동법은 농지를 많이 가진 양반 지주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담시키고 빈농에겐 면제해 주는 세법이었기에 조세 저항이 심했다(큰 사진). 오른쪽 작은 사진

    중앙선데이

    2016.01.17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6)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6)

    소현세자와 봉림대군(효종) 일행이 인질로 끌려간 지 5년 만인 인조 19년(1641) 2월 4일 심양(沈陽)의 조선관(朝鮮館)에서 태어난 아이가 현종이었다. 『현종실록』은 현종이

    중앙선데이

    2016.01.10 00:03

  • [책 속으로] 임진왜란 ‘혼용무도’의 시대에 조선엔 현신 류성룡이 있었다

    [책 속으로] 임진왜란 ‘혼용무도’의 시대에 조선엔 현신 류성룡이 있었다

    칼날 위의 역사이덕일 지음, 인문서원328쪽, 1만7000원교수신문 선정 2015년 사자성어는 ‘혼용무도(昏庸無道:리더의 무능함으로 세상이 어지러워짐)’였는데, 역사학자 이덕일

    중앙일보

    2016.01.02 01:00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5)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5)

    명나라의 마지막 장수 오삼계가 지키던 산해관.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봉림대군은 소현세자와 함께 산해관까지 가서 명군이 청군에게 항복하는 장면을 목도했

    중앙선데이

    2015.12.31 10:36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4)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4)

    선조는 학문을 좋아하고 예술에도 능한 임금이었다. 『열성어필(列聖御筆)』에 실린 선조의 그림과 글씨. 제목은 난죽도(蘭竹圖). 동아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사진가 권태균  

    중앙선데이

    2015.12.27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3)

    광해군이 어린 영창대군에게는 신경 쓰고 장성한 능양군(인조)을 주시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 능양군의 부친이 정원군(定遠君)이기 때문일 것이다. 광해군의 모친 공빈(恭嬪)

    중앙선데이

    2015.12.20 00:03

  • [?논쟁]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교수 기소를 어떻게 볼 것인가

    [?논쟁]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교수 기소를 어떻게 볼 것인가

    논쟁의 초점  검찰이 지난달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를 명예훼손으로 기소한 후 국내 지식인뿐 아니라 미국과 일본 지식인들까지 나서 역사적 사실관계를 둘러싼 논쟁부터

    중앙일보

    2015.12.16 01:26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2)

    조선 중기의 유명한 예언가 남사고(南師古)가 “원주 동남쪽에 왕기(王氣)가 있다”고 말했을 때 사람들은 믿지 않았다. 그런데 선조 때의 문신 이기(李旣:1522~1604)는『송와

    중앙선데이

    2015.12.13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1)

    ?『연산군일기』는 사실(fact)을 기술한 부분과 사관(史官)의 의견(opinion)을 개진한 부분을 분리해서 읽지 않으면 함정에 빠지기 쉽다. 쫓겨난 군주들에 대해 서술할 때

    중앙선데이

    2015.12.06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0)

    1452년 5월 14일 조선의 제5대 임금 문종이 승하했다. 재위 2년, 한창 때인 39세였다. 세자 이홍위(李弘暐·단종)는 12세에 불과했으나 모두 그의 즉위를 당연하게 여겼다

    중앙선데이

    2015.11.29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19)

    모든 군왕(君王)은 성군(聖君)으로 기억되고 싶어 한다. 태종이 얼마나 성군이 되기를 바랐는지는 태종우(太宗雨) 고사가 잘 말해준다. 태종이 세상을 떠난 음력 5월 10일에 내리

    중앙선데이

    2015.11.21 00:03

  • [문화 동네] 비스타 소셜 클럽의 마지막 내한 공연 外

    ◆쿠바의 전설적인 밴드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마지막 내한 공연이 내년 3월 1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다. 고별 순회공연인 ‘아디오스 투어’다. 홍일점인 오마라 포

    중앙일보

    2015.11.18 00:4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18

    일제의 항복 소식에 식민지 한국의 일반 백성들은 거리로 쏟아져 나와 태극기를 흔들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지만 정작 독립운동가들, 특히 해외 인사들의 반응은 달랐다. 대한민국 임시정

    중앙선데이

    2015.11.14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17

    1945년 1월 8일 일본 궁성 앞 광장에서 관병식(觀兵式)이 거행되었다. ‘대원수 폐하’로 불리던 일왕 히로히토가 참석한 연례행사였지만 이날의 관병식은 서둘러 끝낼 수밖에 없었

    중앙선데이

    2015.11.07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16

    아나키즘은 그리스어의 ‘아나르코(anarchos)’에서 나온 말로서 ‘없다(an)’와 ‘지배자(arche)’라는 뜻의 합성인데, 글자 그대로 ‘지배자가 없다’는 뜻이다. 아나키즘

    중앙선데이

    2015.10.31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⑮

    길림성 정협문사자료위원회 등에서 편찬한 『길림조선족』(1994)은 청나라 장봉대의 『장백회정록』(1909)을 인용해 “광해군 때 강홍립의 조선군이 청나라에 투항한 이후부터 조선

    중앙선데이

    2015.10.25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⑭

    『별건곤』 제39호(1931년 4월 1일호)는 「조선 사람은 왜 가난해지나?」라는 기사에서 “몇몇 부자사람을 제하고 나면 조선사람은 똥가래가 찢어지게 가난하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중앙선데이

    2015.10.17 00:03

  • 학문 장벽 깨자 … 정치·경제학자와 함께 입체적 조명을

    학문 장벽 깨자 … 정치·경제학자와 함께 입체적 조명을

    역사 교과서 발행의 국정 전환에 전면 동의하지는 않더라도 이를 우리 사회의 이념 갈등과 혼란을 줄이는 계기로 만들어 보자는 전문가들의 제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논란을 기회로

    중앙일보

    2015.10.14 02:19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⑬

    1930년대 식민지 한국에는 금광 열풍이 일었고, 그 대표주자가 광산재벌 최창학이었다. 조선의 광산왕, 황금귀(黃金鬼) 등으로 불린 최창학은 식민지 한국인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중앙선데이

    2015.10.10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⑫

    중일전쟁은 끝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주가는 폭락했고, 1939년의 큰 가뭄으로 일본 서부와 한국·대만의 쌀 수확마저 줄어들었다. 본토 일본인들의 불만이 높아가자 일제는 식민지

    중앙선데이

    2015.10.04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