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꽂이] 아랍 外

    [책꽂이] 아랍 外

    인문·사회 ● 아랍(유진 로건 지음, 이은정 옮김, 까치, 784쪽, 3만원)=오스만 제국의 아랍 정복부터 2011년 아랍 혁명까지 500년 아랍의 역사를 다룬다. 북아프리카의 모

    중앙일보

    2016.05.14 00:24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3)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세종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인재를 등용했다. 하나는 인물의 장점을 간파해 등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분보다 능력을 중시하는 것이었다. ?또한 세종은

    중앙선데이

    2016.05.08 01:36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2)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2)

    예림서원김종직은 훈구 공신들에 맞서는 사림이란 신진 정치세력을 최초로 형성했다. 김종직을 배향하고 있는 예림서원. 경남 밀양에 있다. 사진가 권태균 ? 성종 즉위 초는 공신들의

    중앙선데이

    2016.05.01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1)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1)

    경기도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광릉.정희왕후 윤씨는 장손 월산군을 제치고 한명회의 사위 자산군을 예종의 후사로 결정했다. 사진가 권태균 부왕 세조로부터 공신

    중앙선데이

    2016.04.24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0)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0)

    성종 어진 열두 살에 왕위에 오른 성종은 공신집단보다 왕권이 미약한 현실을 인정하고 학문을 연마하며 때를 기다렸다. 우승우 화백 세조가 말년에 공신들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한 종친

    중앙선데이

    2016.04.17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9)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9)

    ? 사도세자 사건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당파 구조를 상수(常數)로 놓고, 나머지 요인을 변수(變數)로 대입해 분석해야 한다. 그 원인(遠因)은 노론과 영조가 관련된 경종 독

    중앙선데이

    2016.04.10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8)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8)

    박문수 초상 흔히 뛰어난 암행어사로 알려진 박문수는 이인좌의 봉기 토벌에 가담한 소론 온건파로서 고른 인재 등용과 군역제도 개혁에 앞장섰던 개혁정치가였다. 선왕독살설에 휘말리지

    중앙선데이

    2016.04.03 00:03

  • [도전하는 대학] 통일시대 이끌 글로벌 기독교대학 꿈꾼다

    [도전하는 대학] 통일시대 이끌 글로벌 기독교대학 꿈꾼다

    서울신학대 학생들은 국내외 재난현장과 농어촌을 찾아가 나눔의 봉사를 펼치고 있다. [사진 서울신학대]서울신학대학교(총장 유석성·사진)는 올해 개교 105주년째 되는 역사와 전통을

    중앙일보

    2016.03.31 00:04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7)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7)

    영조의 왕세제 책봉 죽책문 영조는 노론의 지지를 받아 왕세제에 책봉되고, 노론은 대리청정까지 주장했으나 이는 훗날 영조에게 두고두고 시빗거리가 되었다. 사진가 권태균 소론 강경파

    중앙선데이

    2016.03.27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6)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6)

    연잉군의 세제 시절 초상 연잉군은 노론의 지지로 세제가 되고 왕위에 올랐지만 소론 강경파는 경종 독살과 관련이 있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사진가 권태균 장희빈의 아들

    중앙선데이

    2016.03.20 01:12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5)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5)

    순무영진도 조선 후기 군사들의 군진 모습을 그린 것이다. 조선은 양반 사대부는 군역 의무가 없고 가난한 양인들만 군역 의무가 있는 모순된 군역 제도를 갖고 있었다. 사진가 권태균

    중앙선데이

    2016.03.13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4)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4)

    경종의 초상 장희빈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출생 당시부터 서인(노론)의 격렬한 반감을 사다가 36세에 급서해 독살당했다는 설이 무성했다. 초상화에 먹물이 스며든 것은 독살설을 암시

    중앙선데이

    2016.03.06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3)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3)

    노론 영수 이이명의 초상. 이이명은 숙종 43년 정유독대를 통해 세자 교체를 시도했지만 끝내 실패하고 자신도 불행한 최후를 맞이한다.아래 사진은 이이명이 쓴 39소재집39 숙종

    중앙선데이

    2016.02.28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2)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2)

    신숙주의 영정 이상(理想)을 택한 사육신에 비해 현실을 택한 신숙주의 여유롭고 부귀한 모습이 잘 드러난 영정이다. 그러나 신숙주는 조선시대 내내 사육신과 비교 대상이 되었다. 사

    중앙선데이

    2016.02.21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1)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1)

    사육신 묘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있다. 성삼문·이개·박팽년·유응부의 시신을 몰래 이장하면서 조성되었다. 세자 예종은 공신들의 노리개로 떨어진 사육신 가족들을 석방시켜야 세조의 병

    중앙선데이

    2016.02.14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0)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30)

    강희제의 초상화. 9세에 왕위에 올라 69세까지 60년간 통치했다. 중국 임금 중 가장 오랜 기간 재위했다. 재위 시절 삼번(三藩)을 철폐하고 대만을 장악해 청조의 영토를 크게

    중앙선데이

    2016.02.06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9)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9)

    김석주 묘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에 있다. 서인과 남인을 넘나든 최고의 실세였으나 남인 제거를 위한 정치공작을 주도하면서 명성이 급격히 퇴락했다. 무덤의 무성한 풀이 후세 사람들에

    중앙선데이

    2016.01.31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8)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8)

    창경궁 명정전의 어좌.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광해군 때 다시 지은 전각으로 용상 뒤에는 일월오악병이 있다. 사진가 권태균   서인 정권을 갈아치우던 현종이 재위 15년(1674

    중앙선데이

    2016.01.24 00:03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⑥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⑥

    일제는 대한제국 강점 후 한국사·한국어·한국지리에 관한 지식을 위험하게 보았다. 『조선총독부관보(官報:1910년 11월 19일)』나 『경찰월보(月報:1910년)』 등에는 총독부에

    중앙선데이

    2016.01.22 15:18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⑤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⑤

    일제 식민통치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 헌병 경찰제도였다. 일제는 대한제국 강점 직전 경찰권부터 빼앗았다.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는 강제 병합 두 달 전 총리대신 서

    중앙선데이

    2016.01.22 15:18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④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④

    이회영 일가가 전 가산을 정리해 마련한 자금은 40여만원으로 현재 돈으로 환산하면 대략 600억원의 거금이다. 1911년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의 자금 모금 계획에 차질이 생기

    중앙선데이

    2016.01.22 15:15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③

    관련기사국권회복 꿈꾸다 ‘105인 사건’에 와해된 신민회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이토 히로부미가 탑승한 특별열차가 하얼빈역으로 들어왔다. 뤼순 감옥에서 쓴 안중근의 자

    중앙선데이

    2016.01.22 15:12

  • 국권회복 꿈꾸다 ‘105인 사건’에 와해된 신민회

    1909년 11월 5일 일본 도쿄에서 이토 히로부미 장례식을 치르고 있다. 오른쪽 예복 대열 맨 앞이 조선 초대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사진 권태균] 관련기사[이덕일의 事思史]

    중앙선데이

    2016.01.22 15:12

  •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②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②

      관련기사‘독도는 우리 땅’ 세상에 알린 대한제국 칙령 41호         일제가 한국의 외교권을 강탈한 이후 간도(間島)지역 조선인들은 큰 곤란에 처하게 되었다. 간도는 현

    중앙선데이

    2016.01.22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