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채널톱]김승규의 평양 리포트

    평양동물원의 조선범 □…김승규의 평양 리포트 (SBS 저녁7시5분) =농구선수 출신의 방송인 김승규가 최초로 '방송용' 허가를 받아 지난 5월16일부터 23일까지 북한 땅을 밟았다

    중앙일보

    1998.08.10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19.인민대학습당과 주체탑

    평양은 수성 (水星) 의 땅이다. 이익의 '성호사설 (星湖僿說)' 천지문 '지경 (地鏡)' 조에는 고려 선종 3년 평양 남쪽 거리에 지경이 나타나 70여 보 밖에서 보면 물과 같은

    중앙일보

    1998.06.27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18.평양의 풍수 비보

    임진왜란 당시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 (小西行長) 와 명나라 심유경 (沈惟敬) 이 강화를 위한 담판을 벌이기도 했던 연광정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사실 풍수 비보 (裨補)에 있다. 물

    중앙일보

    1998.06.20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22.조선중앙력사박물관 상

    오늘은 박물관에 가는 날이다. 외국 여행을 해본 분은 누구나 경험했듯이 한 도시의 관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박물관이고, 생각 밖으로 힘든 것이 박물관 관람이다. 그래서 박물관

    중앙일보

    1998.06.03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16.평양의 主山 금수산

    12월16일. 평양의 첫날밤을 돌아보면 못내 아쉽기만 하다. 북녘땅에 첫발을 내디딘 흥분과 긴장감, 베이징 (北京) 을 에돌아 온 피로에 못이겨 정신없이 잠만 자는 것으로 그 밤을

    중앙일보

    1998.05.30 00:00

  • [북한 문화유산답사기]2.대동문·연광정

    대동강변과 모란봉 일대의 많은 유적중 대 (臺) 는 을밀대, 누 (樓) 는 부벽루가 압권이라면 정 (亭) 은 연광정 (鍊光亭) , 문 (門) 은 대동문 (大同門) 을 꼽을 것이다.

    중앙일보

    1998.01.17 00:00

  • [북한 문화유산답사기]1.을밀대·부벽루…칠성문 난공불락 위용 엿보여

    그날 공교롭게도 아침부터 부슬비가 내렸다. 안내를 맡은 용강선생 (그가 용강 분인지라 나는 이를 별호삼아 그렇게 불렀다) 이 걱정어린 말투로 물어왔다. “어떡하실랍니까? 비가 짓궂

    중앙일보

    1998.01.12 00:00

  • [사고]유홍준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연재

    중앙일보는 지난해 본사 통일문화연구소 북한문화유산조사단과 함께 북녘의 문화유산을 돌아보고 온 유홍준 (兪弘濬) 영남대 교수 겸 박물관장의 답사기를 오늘부터 연재합니다. 兪교수는 베

    중앙일보

    1998.01.12 00:00

  • [유홍준교수 방북인상기]상.평양의 문화유산들

    이 시대의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전3권) 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 땅의 자연과 민족문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유홍준 (兪弘濬) 영남대 교수가 지난 9월2

    중앙일보

    1997.12.17 00:00

  • 북한 문화재 엉터리 복원.훼손 심각

    북한의 국보급 문화재 상당수가 고증을 제대로 하지 않은채 엉터리로 복원되거나 그대로 방치,훼손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이호관(李浩官)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이 9월3일부

    중앙일보

    1996.08.31 00:00

  • 160.남북비밀 교환방문 下.

    85년 가을 張世東안기부장의 平壤,北韓 노동당비서 許錟의 서울 비밀방문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주변정세에 여러가지 영향을 미쳤다. 당장 적십자회담.국회회담.경제회담이 순항했으며 분단후

    중앙일보

    1994.01.21 00:00

  • 모란봉엔 각종 탑ㆍ건물 즐비/축구대표단 평양체류 이틀째

    ◎잔잔한 대동강 곳곳에 낚시꾼들/「창당」경축무도회 한국선수단은 초청대상서 제외/서울의 신문 본 북기자 “매우 사실에 근거했구먼” ○세계대회서 1위차지 ○…한국축구선수단과 기자단은

    중앙일보

    1990.10.11 00:00

  • 일지로 본 「북한서의 임양 행적」안기부 발표

    ◇6월 ▲30일=오후1시30분 평양 순안 비행장도착, 도착 성명발표 후 고려호텔 투숙. ◇7월 ▲1일=평축 개막식 참석. ▲2일=만경대 김일성 생가 방문, 만경대 유희장 관람, 금

    중앙일보

    1989.09.08 00:00

  • 가는 곳마다 반미투쟁 주장|임수경양의 「북한27일」

    지난 6월30일 제13차 세계청년학생 축전참가를 위해 돌연 평양에 출현했던 전대협대연 임수경양의 북한생활은 ▲평축기간(1∼8일) ▲북한의 각 대학순방(9∼19일) ▲평화대행진·참가

    중앙일보

    1989.07.27 00:00

  • 북한은 이렇더라|본사 금창태 편집국장대리 취재기

    평양을 옛날에는 「유경」이라 했다던가. 지금도 대동강 강변길에는 버드나무의 늘어진 가지가 강바람에 휘청거리고 있었다. 시가지중심부를 북에서 남으로 말없이 흐르는 대동강-. 강물은

    중앙일보

    1985.08.31 00:00

  • 『동토의 왕국』서 북괴실상·평양풍경 처음공개

    MBC-TV가 다큐멘터리 드라머로 제작한 5부 작 미니시리즈『동토의 왕국』이 12일부터 5일간 매일 밤 9시45분에 방영된다. 40년 일본에서 출생하여 재일 교포2세로 살아가던 김

    중앙일보

    1984.09.07 00:00

  • (3312)제76화 ?맥인맥(31)|평양 구경

    나는 해방 1년 전인 44년에 그 좋다는 평양 구경을 했다. ?주사람으로 평양에 가 대동고무 전무이사로 있던 전은태씨의 초청을 받아 꿈에도 그리던 평양에 간 것이다. 나 혼자 경의

    중앙일보

    1982.01.14 00:00

  • (2117)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비사 20년대「조선문단」전후|고도여행

    「백화』는 출간되었다. 『빛나는 지역』이 적색 포의양장에 금색의 제자로 「케이스」까지 갖춘 호화판의 책자임에 비하여 같은 국판이긴 하지만 『백화』는 흰색의 표지로 조촐하고 아담하게

    중앙일보

    1977.12.27 00:00

  • (1780)|서화백년(66)이당 김은호

    근대서예가로 양대 인맥을 이룬 사람은 해강 김규진(1868∼1933)과 성당 김돈희(1871∼1936)를 들 수 있다. 해강은 우리나라 서학계의 제도적인 질서를 확립하는데 앞장섰

    중앙일보

    1976.10.22 00:00

  • 을밀대

    세월은 모든 것을 마멸시켜 나간다. 그래도 더러 그 모진 세월의 풍상을 이겨내는 것들은 있다. 비록 돌 한 쪽이라도-. 이번에 평양을 방문한 남-북 조절위원장 일행은 을밀대를 구경

    중앙일보

    1972.11.06 00:00

  • 을밀대 구경…「쇼핑」도

    【평양=대한민국 신문통신방송 공동취재단】평양에 간 이후락 남-북 조절위 공동위원장 일행이 2박3일째가 되는 4일 아침 평양도 서울과 같이 20m 앞이 안 보이는 짙은 안개가 끼였다

    중앙일보

    1972.11.04 00:00

  • 평양서 남-북 조절위원장 회의 조절 위 구성 등 실질문제 토의

    【평양=대한민국 신문통신 공동취재단】이후락 남-북 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은 보좌단 4명과 함께 2일 상오 11시 4분 제2차 조절위 공동위원장 회의를 위해「헬리콥터」편으로 평양 근교

    중앙일보

    1972.11.02 00:00

  • (2)산·강·길·도시|본사 이광표 특파원 평양 왕래기

    산천은 여구했고 비목도 다를 것이 없었다. 「27년의 세월」에 가렸던 산하가 눈앞에 다가온다. 8월29일 10시40분. 판문점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건너자 펼쳐지는 풍경. 우거

    중앙일보

    1972.09.05 00:00

  • 단조로운 아파트 가도…평양 나들이

    【평양31일=신문-통신공동취재단】평준체재 2박3일째- 31일 한적 대표단 일행은 대동강과 을밀대를 건너다보며 북에서의 두 번째 아침을 맞았다. 이날 상오 10시부터는 북적 측이 마

    중앙일보

    1972.08.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