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목포∼서울 502·75㎞ 중앙역전「코스」따라(2)

    광주시동운동 산 동 고개를 넘어 광주 천을 동쪽으로 비켜나면 광주∼전주간 제2구간 1백l5·6㎞의 길이 소백산맥으로 기어오른다. 제1기착지인 비 아 삼거리에서 30리 길인 장성 읍

    중앙일보

    1972.04.12 00:00

  • 12개 도로에 가로수 심어

    서울시는 올해 4천5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대용로 등 12개 도로에 은행나무·벚꽃나무 등 모두 1만1천2백70그루의 가로수를 심기로 했다. 서울시는 3일부터 가로수식수작업에 착수,

    중앙일보

    1972.04.03 00:00

  • 백만 그루식수운동 시

    서울시는 9개 구청에 수목안내소를 설치, 4월1일부터 5월말까지 두 달 동안 시민 「한 가구 한 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벌여 올해 1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

    중앙일보

    1972.03.14 00:00

  • 올해 백만 그루 식수 계획

    서울시는 푸른 서울을 만들기 위해 ①고향동산②기념식수②일반식수 등의 방법으로 올해 1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도록 했다. 시민의 헌수로 펼칠 이 식수계획은 이북5도 출신 및 해외교포

    중앙일보

    1972.01.18 00:00

  • 여의도 「5·16광장」준공

    55만 명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는 12만명의 여의도「5·16광장」이 완성되어 29일 상오9시 박정희 대통령과 양택식 서울시장이 준공 테이프를 끊었다. 한강 한가운데의 여의도를

    중앙일보

    1971.09.29 00:00

  • 20개 연탄 소매상 등록취소

    서울시는 시중 연탄 가격의 폭리를 막기 위해 14일 하룻동안 시내 각 연탄소매상에 대한 가정용 22공탄 가격 일제 단속을 벌인 결과 20개 소매상을 적발, 무 등록을 취소했다. 서

    중앙일보

    1971.09.15 00:00

  • 서울∼판문점간 종합개발-남북적십자사 가족 찾기 운동계기로

    내무부는 4일 남북적십자사의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계기로 판문점이 국내외로 각광을 받게되자 서울∼판문점간의 국도를 고속화하고 주변의 초가지붕을 모두 기와로 개량하는 등 내년 말까지

    중앙일보

    1971.09.04 00:00

  • 여의도 대 광장 녹지대착공

    여의도 대 광장에 녹지대공사가 착수되었다. 서울시는 1천3백만 원을 들여 4만2천7백10평방m에 잔디를 심고 2백25주의 은행나무와 1백86주의 회양목을 심는다.

    중앙일보

    1971.08.19 00:00

  • 벽에 부딪친「가로수 정비」

    시내의 가로수「플라타너스」를 은행나무 또는 벚꽃나무, 그리고 수양버들로 바꾸기 위한 서울시의 가로수 정비계획은 1차 년도인 올해 당초 목표의 47%밖에 달성하지 못해 75년까지 5

    중앙일보

    1971.06.28 00:00

  • 제1회 목포∼서울 중앙 대 역전경주 코스따라 산천따라(4)|제4구간 대전∼천안

    대전 시민의 휴식처인 보문산, 동양 최대의 시설을 자랑하며 돈을 찍어내는 조폐공사 대전공장, 우암 송시열이 거유고덕과 논도 강의했던 남간 정사를 돌아보며 만년 교를 넘어서면 포플러

    중앙일보

    1971.06.05 00:00

  • 제1회 목포∼서울 중앙 대역전경주|코스 따라 산천 따라(3)|제3구간 전주∼대전

    부채와 비빔밥이 명물인 전주도 이제 호남고속도로가 훤히 튀어 서울과 5시간 생활권에 접어들었다. 옛 풍습에 따라 단오날이면 많은 여인들이 창포 무성한 호반에 몸을 씻고 머리를 감으

    중앙일보

    1971.06.04 00:00

  • 시화 시목 식수|양 시장 취임 한 돌에

    양탁식 서울시장은 16일 상오 8시 남산분수대 앞에서 서울의 상징 은행나무와 개나리꽃을 심었다. 취임 1주년을 맞은 양 시장은 이날 서울시가 지정한 서울의 나무와 꽃을 심으면서 앞

    중앙일보

    1971.04.16 00:00

  • 라디오

    구리개·진고개·탑골·병점거리 등 서울의 옛 모습을 더듬어본데 이어, 그 소재를 전국적으로 넓혀서 누구나 생각하게 되는 「고향」을 다룬다. 지난번엔 충북 청주시 중앙 공원의 1천년

    중앙일보

    1971.04.08 00:00

  • (812)나무를 심자

    5일은 식목일. 해마다 이날이 되면 나무를 심고 잘 가꾸자고 전국적으로 행사를 펴고있지만 지금도 곳곳에 붉은 산이 많은걸 보면 지금까지의 식목일 행사가 겉치레였다는 생각이 든다.

    중앙일보

    1971.04.05 00:00

  • 조림의 역사와 일화

    가락국기에 의하면 금수로왕능의 능림을 조림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이 인공조림의 시초로 지적되고 있다. 고구려 때는 동천왕 때에 『송식능전칠수』이라 하여 능원에 일곱겹으로 소나무를

    중앙일보

    1971.04.05 00:00

  • 「서울의 꽃」에 개나리 선정

    서울의 나무에 은행나무, 서울의 꽃에 개나리가 31일 각각 결정되었다. 시는 지난달 6일부터 서울의 꽃과 나무를 현상 공모 받아 모두 5백여 통의 현상 응모를 심사한 끝에 이같이

    중앙일보

    1971.04.01 00:00

  • 동작로를 미관지로

    서울시는 동작동 국립묘지를 성역화하고 입구 동작로를 미관 지구로 단장하기 위해 제1한강교∼경부 고속도로 입구까지 6천2백m의 도로에 가로수 식재를 민간 참여 사업으로 벌이고 있다.

    중앙일보

    1971.03.16 00:00

  • 화단 손질은 이렇게-봄을 심는다 &밭갈이는 30∼45㎝깊이로|장미 등의 볏짚 풀어 일찍 싹트는 것 방지|이식한 나무는 뿌리 풀은 위에 걸음 주고

    3월은 그해의 가정원예를 계획하여 첫 실천에 옮기는 달이다. 한뼘의 땅이라도 버려두지 말고 흙을 일구어 나무를 심고 꽃을 가꾸어 밝고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자. 가정에서 봄에 해야할

    중앙일보

    1971.03.04 00:00

  • 15개 간선, 가로수 바꿔

    서울시내 가로수가 올해 새로 단장을 한다. 남대문∼시청∼중앙청∼효자동의 폭1백m 「메인스트리트」에는 지금까지 있던 「플라타너스」가 말끔히 뽑히고 은행나무로 바뀌어지며 강변도로, 공

    중앙일보

    1971.02.03 00:00

  • 다산학의 새 면모|성대 학술 조사반 대흥사서 자료 수집

    실학파의 대표적 학자인 다산 정약용 (1762∼1836)의 저서와 유묵 등 몇 가지 자료가 해남 대흥사 소장품과 강진 지역 고가의 장서 속에서 확인돼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앙일보

    1971.02.02 00:00

  • (8)여의도 개발

    공군기지가 옮기지 않고 또한 매립한 땅이 팔리지 않아 개발이 늦어지고 있던 여의도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에 「피치」를 올리게 된다. 공군기지 이설은 1월 안에 마치도록 서울시에

    중앙일보

    1971.01.28 00:00

  • 신춘 중앙문예 당선 소설|사당

    그것은 캄캄한 마을에서 들려온 소음에서 비롯했다. 처음에 가위눌린 듯한 젊은 여인의 외마디 비명, 뒤이어 그 소리는 곡성으로 변해가다가 야무진 남자의 질타소리로 뚝 그치고, 문짝이

    중앙일보

    1971.01.01 00:00

  • 대형「크리스마스·트리」점화

    서울시청 앞 광장 녹지대에 마련된 높이 20m, 둘레 1백58m의 대형「크리스마스·트리」에 21일 밤 6시 불이 밝혀졌다. 영락 교회 합창단 3백 명과·천주교회 합창단 1백 명 등

    중앙일보

    1970.12.22 00:00

  • 가로수

    도시의 미는 인공미와 자연미와 「하머니」에 있다. 자연미의 대표는 가로수를 빼놓을 수 없다. 파리 의 「마로니에」, 베를린의 「린덴」, 워싱턴의 「니레」…. 도시가 콘크리트의 정글

    중앙일보

    1970.11.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