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선친 정인보는 금석학, 아들 정양모는 조선 회화사 정리

    선친 정인보는 금석학, 아들 정양모는 조선 회화사 정리

    지난 6일 서울 도산대로 호림아트센터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서 함께한 간행위원들. 왼쪽부터 권영필, 안휘준, 지은이 소헌 정양모, 유홍준 교수. 한국 미술사학계의 어른들이 줄줄이

    중앙일보

    2017.12.08 01:00

  • ‘국립중앙박물관의 산 역사’ 정양모, 붓글씨·그림으로 팔순잔치

    ‘국립중앙박물관의 산 역사’ 정양모, 붓글씨·그림으로 팔순잔치

    선친인 위당(爲堂)의 글씨를 닮았다는 평을 들은 작품 앞에서 정양모 관장은 “평생 공부한 글과 좋아한 도자기를 끄적거린 것”이라고 겸손해 했다.관장은 그의 이름 아닌 이름이다. 국

    중앙일보

    2015.11.27 01:01

  • 『규합총서』쓴 빙허각 이씨, 시동생 직접 가르쳐

    『규합총서』쓴 빙허각 이씨, 시동생 직접 가르쳐

    1 뛰어난 여성 성리학자였음에도 쓸쓸히 잊혀져간 윤지당 임씨. 원주에 있는 그의 자취는 임윤지당길이라는 좁고 초라한 골목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2 시할아버지 무덤 발치에 있는 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3.16 09:56

  • 『규합총서』쓴 빙허각 이씨, 시동생 직접 가르쳐

    『규합총서』쓴 빙허각 이씨, 시동생 직접 가르쳐

    1 뛰어난 여성 성리학자였음에도 쓸쓸히 잊혀져간 윤지당 임씨. 원주에 있는 그의 자취는 임윤지당길이라는 좁고 초라한 골목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2 시할아버지 무덤 발치에 있는

    중앙선데이

    2014.03.16 00:29

  • 가인의 꿈, 권력 폭주 막는 사법독립은 이뤄졌을까

    가인의 꿈, 권력 폭주 막는 사법독립은 이뤄졌을까

    1953년 12월 12일 전국사법감독관회의(현 전국법원장회의)가 끝난 뒤 가인(街人)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이 각급 법원장 등과 함께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로 찾아가 이승만 대통령을

    중앙선데이

    2014.02.16 01:53

  • 만주 망명한 이건승·홍승헌, 독립운동 씨앗 뿌리다

    만주 망명한 이건승·홍승헌, 독립운동 씨앗 뿌리다

    이건창 생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에 있다. 이건창과 생시에 교유했던 양명학자들은 황현처럼 자결하거나 정원하·홍승헌·이건승처럼 만주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사진

    중앙선데이

    2011.07.10 02:34

  • [j Special] 축구·힙합에 푹 빠진 수학자, 서울대 수리과학부 강석진 교수

    [j Special] 축구·힙합에 푹 빠진 수학자, 서울대 수리과학부 강석진 교수

    “펄펄 나는 20대 초반의 청춘들이 힙합 실력을 뽐냈다. 그 틈에 낀 중년 아저씨. 배가 나왔다. 그러나 손 뻗고 스텝 밟는 품새만은 예사롭지 않았다. 이어진 관객들의 한마디. ‘

    중앙일보

    2010.12.18 00:23

  • 아아! 충무공 가문의 內亂 ③

    지병을 앓던 ‘15대 종손’을 보살피던 여인 15대 종손 이재국(1937~2002) 씨. 그의 삶은 불운했다. 어린 시절 그는 소문난 수재였다. 경기고 52회 졸업생으로 고건 전

    중앙일보

    2009.04.24 11:37

  • [삶과 추억] “책과 하는 인생처럼 좋은 게 어딨나”

    [삶과 추억] “책과 하는 인생처럼 좋은 게 어딨나”

    “출판을 천직으로 삼게 된 것은 더할 나위 없는 좋은 운명이고 축복이었다. 숱한 삶의 모습들 가운데 책과 함께 살아가는 인생처럼 좋은 것이 어디 있겠는가.”(『출판인 정진숙』에서

    중앙일보

    2008.08.23 00:16

  • 민족종교가 ‘2% 종교’라고?

    2000년 세밑이었다. 가수 조영남이 펴낸 따끈한 신간 ‘예수의 샅바를 잡다’(나무와 숲)를 읽다가 “옳다구나!” 싶었다. 흔한 신학 에세이와는 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200

    중앙일보

    2007.11.03 12:52

  • 을유문화사 정진숙 회장 "꼭 내야 하는 책 내는 게 진정한 의무"

    을유문화사 정진숙 회장 "꼭 내야 하는 책 내는 게 진정한 의무"

    한국 출판계의 산증인 정진숙(95·사진) 을유문화사 회장이 60여년의 출판 인생을 정리한 자서전 『출판인 정진숙』(을유문화사)을 펴냈다. 정 회장은 해방 직후 집안 어른이었던 위당

    중앙일보

    2007.08.07 04:58

  • 북한작가 홍석중씨, 소설 '황진이'로 만해문학상 수상

    북한작가 홍석중씨, 소설 '황진이'로 만해문학상 수상

    시인 신경림·고은·조태일·민영·김지하, 소설가 현기영·이문구·송기숙·박완서…. 모두 역대 만해문학상 수상자들이다. 이렇든 국내문단의 내로라하는 작가들에게 주어졌던 이 상이 올해는

    중앙일보

    2004.08.03 10:47

  • [삶과 추억] 성균관 여성유도회 조애영 초대회장

    지난달 25일 90세를 일기로 별세한 은촌(隱村)조애영(趙愛泳)여사는 속박의 굴레를 벗은 신여성이자 항일운동에 앞장선 독립운동가였다. 또 하마터면 사라질 뻔한 우리네 내방가사(內房

    중앙일보

    2000.09.06 00:00

  • 부드러운 운필 중후한 울림…원로 서예가 김충현 회고전

    40년 전 얘기다. 1958년 창덕궁 앞 2층 작은 건물에는 매일 서예가.화가들이 모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서예 사숙 (私塾) 이었던 동방연서회가 57년 관수동에서 시작해

    중앙일보

    1998.03.17 00:00

  • 鄭良謨 중앙박물관장 부인

    「도자기 연구의 대가」가 사는 집인 만큼 청아한 백자나 비취빛 청자가 집안에 그윽한 정취를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산이었다.서울은평구녹번동 단아한 양옥집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

    중앙일보

    1995.05.10 00:00

  • 月田회고 80년展 호암갤러리 22일부터 전시

    그림이 곧 그리는 사람의 인격고 동일시되는 전통문인화의 길을고집해온 월전 장우성(月田 張遇聖.82)화백의 대규모 회고전이열린다. 격조높은 선과묵의 셰게-월전 회고80년전 이란 이름

    중앙일보

    1994.10.18 00:00

  • 김치 160가지 한자리…

    『서울에서는 감동깍두기라 해서 곤쟁이것을 쓴는데, 그레야 배틀한 맛이 나지요 납작납작 도톰히 썰어요.』 일요일인 27일 상오11시 이화녀대 가정대 5층 식품 실습실. 서울 명문가의

    중앙일보

    1986.04.28 00:00

  • (4245)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78)|위창과 유대치

    이렇게 사회활동을 끊고 집에 칩거하였건만 전력이 혁혁하였으므로 세상 사람들은 그를 민족의 원로이고 지도자의 하나로 숭앙하고 있었다. 따라서 총독부 경찰당국도 그의 동정을 감시하고

    중앙일보

    1985.03.08 00:00

  • 동래정씨

    「무편무당」-. 언제나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중용지도룰 지켜 이웃과 화합하고 적을 삼지않는 온화한 기품이 동래정문의 가풍으로 이어 내린다. 학과도 같은 고고한 기품은 이조 선단조이

    중앙일보

    1982.08.07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367|(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86)|의재 허백련

    의재(허백련)는 1891년 음력동짓달 초이튿날 전남 진도에서 태어났다. 의재는 조선시대 말엽의 서화가로 추사(김정희)의 격찬을 받았던 소치(허 유)의 집안이다. 소치는 의재의 종고

    중앙일보

    1982.03.19 00:00

  • (7)초계·밀양 변씨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양귀비 꽃 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아리땁던 그 아미 높게 흔들리우여/그 석류속 같은 입술 죽음을 입 맞추었네.』 왜장을 껴안

    중앙일보

    1982.02.27 00:00

  • 한-일 고대사논쟁 열쇠 쥔 광대토대왕비

    광개토대왕 비-. 고대동북아시아사의 제1급 사료이자 한-일 고대관계사의 최대의 쟁점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 광개토대왕 비를 중공이 국보중의 국보로 중시, 최근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중앙일보

    1982.01.06 00:00

  • (3284)제76화 화맥인맥(3)|위당댁 출입

    비록 1년의 시한부이긴 했지만 그림공부를 위한 나의 상경은 우리집안으로서는 파격적인 용단이 아닐 수 없었다. 아버지는 먼길을 떠나는 나에게 서찰2통을 들려 보냈다. 한통은 이당 (

    중앙일보

    1981.12.09 00:00

  • (3282)제76화 화맥인맥①|지관의 예언

    동양화단의 원로 월전 장우성화백(70·예술원 정회원) 은 근대화단의 증인이요, 거목이다. 월전은 가학으로 익힌 한학을 위당(정인보)에게서 다지고, 성당(김돈희)에게서 배운 서예솜씨

    중앙일보

    1981.12.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