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주식품」국내서도 양산임박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래의 건강식품으로 불리는 고단백 대체식품인「클로렐라」균의 대량배양에 성공, 관심을 모으고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 관악구 신대방동 667의3 박정삼씨(62).

    중앙일보

    1980.10.27 00:00

  • (85)민병석|

    여름 전에 작업·운동 등으로 땀을 많이 흘리게되면 갈증을 느껴 수분, 또는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된다. 많은 땀의 배출로 인체가 갈증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런 생리현상이지만 질병으로

    중앙일보

    1980.08.18 00:00

  • 「오끼·마사히로변정흥)박사내한강연|위궤양·당뇨병은 단식, 소식으로 치유 가능|암·중풍은 수정체조, 치질은 물구나무서기로

    『심신을 자연에 가까와지도록 조화시켜 병을 치료』하는 『자연요법「세미나」가 국제구도「요가」한국본부(본부장 김현수)주최로 8일하오 노총회관에서 열렸다. 이「세미나」에는 국제구도「요가

    중앙일보

    1979.09.12 00:00

  • 보리밥은 성인병에 탁효

    오랜 옛날부터 쌀밥을 으뜸으로 여겨온 우리네 주식습관 탓이리라. 보리밥은 마치 가난한사람들이나 먹는 것으로 생각하고 너나 할것 없이 흰쌀밥을 찾는다. 그러나 쌀밥이 건강에 오히려

    중앙일보

    1978.08.28 00:00

  • (304)|검정콩과 검정깨는 보혈 강장식

    일본의 한 학자가 건강과 장수를 누린 승려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앙케드」 조사에서 『귀하의 건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되는 식품을 2가지만 들어 보라』는 설문에 승려들은 하

    중앙일보

    1975.03.19 00:00

  • (285)-다시마는 혈압 내리는데 특효

    가장 두려워해야 할 그리고 가장 두려운 질병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대답은 시대에 따라 다르다. 치료의학의 개념이 확립되기 이전에는 나병이 손꼽혔다. 천형이라고 했다. 그러나 지금

    중앙일보

    1975.02.03 00:00

  • (40)현미식

    『대부분 질병 없이 건강을 누리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고혈압·당뇨병·자율신경 실조증 등 이른바 문명병을 앓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산 학자가 한 명도 없었던 점은 특기할만하

    중앙일보

    1973.08.25 00:00

  • (65)|여름철 식탁의「포인트」|무더위를 이기는 주부들의 지혜

    날씨가 무더워지면 우리의 몸은 생리적으로 균형과 조화가 깨지기 마련이다. 각 장기의 세포도 더위에 지치기 때문이다. 입맛이 떨어지고 기력이 없으며 만사가 귀찮기 만한 증상들은 여름

    중앙일보

    1972.07.12 00:00

  • (39) 벌꿀

    벌꿀(봉밀)은 예부터 소화가 잘되고 영양가가 풍부한 식품으로 유명하다. 1만여년 전의 동굴 벽화에서 벌꿀을 채취하는 모습이 발견되고 또 구약성서에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이

    중앙일보

    1972.03.15 00:00

  • 「류마티즘」은 겨울에 아프다

    허리와 등 종아리의 근육에 전류와 같은 통증이 갑자기 시작되는 병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류마티즘」의 계절이 시작되었다. 보통「류마티즘」과 신경통을 혼동하는 사람

    중앙일보

    1970.12.07 00:00

  • 백병의 사자|담배의 해독을 다시 고발한다.

    담배 특히 궐련은 단지 폐암 뿐 아니라 간장암 간경변 심장병 위궤양 당뇨병 등 여러 가지 무서운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어 애연가에게 크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담배가

    중앙일보

    1967.02.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