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선이 그린 금강산, 신윤복 미인도 본다…간송이 푼 유물

    정선이 그린 금강산, 신윤복 미인도 본다…간송이 푼 유물

      국보·보물 83건 196점을 한데 모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가 20일 언론에 공개됐다. 정재슥 문화재청장(오른쪽 두번째) 등 참석자들이 특별 공간에 나란

    중앙일보

    2020.07.25 06:00

  • 글씨가 곧 그림…서예, 현대미술이 되다

    글씨가 곧 그림…서예, 현대미술이 되다

     ━  국립현대미술관 최초의 서예전 가보니    ‘글씨와 그림은 한뿌리다(書畵同源)’. 원나라 문인화가 조맹부의 이 말은 국립현대미술관(MMCA)이 개관 51년 만에 처음으로 서

    중앙선데이

    2020.04.11 00:20

  • 문화적 풍요의 관서 화단, ‘대교약졸’ 화풍 뽐내다

    문화적 풍요의 관서 화단, ‘대교약졸’ 화풍 뽐내다

    평양 출신 김윤보의 ‘사계산수도십폭병풍’(20세기 초반), 종이에 먹, 129.5 x 32.5cm 평양과 경성에서 활동한 김규진의 ‘묵죽도’(20세기 초반), 종이에 먹, 213

    중앙선데이

    2016.07.03 00:09

  • “문화강국 꿈꿨던 백범 뜻, 서예로 이어가자” 다짐

    “문화강국 꿈꿨던 백범 뜻, 서예로 이어가자” 다짐

    한글서예가 현병찬(왼쪽)씨가 제자 김명희씨에게 백범의 친필 ‘붕정만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붕정만리(鵬程萬里)’. 중국 고전 『장자(莊子)』에 나오는 말이다. 전설 속의 가장

    중앙일보

    2015.08.17 00:14

  • 금주의 문화행사

    금주의 문화행사

    영화 인간중독감독: 김대우배우: 송승헌, 임지연, 조여정등급: 청소년 관람불가베트남전이 막바지로 치닫던 1969년 최상류층 군인들이 머무는 군 관사. 교육대장 김진평은 남편을 장

    중앙선데이

    2014.05.10 00:57

  • 솜털까지 생생한 붓질…19금 춘화전 가보니

    솜털까지 생생한 붓질…19금 춘화전 가보니

    나이 지긋한 분들은 “어흠” 마른 기침을 연발했고 젊은 처자들은 어느새 볼이 발그레해졌다. 19세 미만의 관람객은 출입이 금지된 이곳은 서울 사간동 갤러리 현대 본관 2층. ‘옛

    온라인 중앙일보

    2013.02.03 03:14

  • 솜털까지 생생한 붓질 유머 넘치는 19禁 스토리 단원·혜원의 솜씨려나

    솜털까지 생생한 붓질 유머 넘치는 19禁 스토리 단원·혜원의 솜씨려나

    1 담홍색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핀 곳에서 은밀하게 성희를 나누는 남녀의 모습을 담았다. 자연과 더불어 벌이는 야외의 성행위 장면 포착은 우리 춘화가 지닌 매력이다.출처 전(傳)

    중앙선데이

    2013.02.03 02:48

  • [j Insight] ‘일점일획도 허투루 하지 않는다’ … 서예가 하석(何石) 박원규

    [j Insight] ‘일점일획도 허투루 하지 않는다’ … 서예가 하석(何石) 박원규

    “아날로그의 꽃 서예가 디지털의 궁극적인 미래다.” 서예가 하석(何石) 박원규(64)는 ‘일필휘지(一筆揮之)’ 하지 않는다. 글씨는 ‘나’의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점일획

    중앙일보

    2011.09.03 01:30

  • "傾城之色" 중국이 탄복한 그녀, 천하 바람둥이 왕족을 꿰차다

    관련사진 “일등 송도기생, 이리 오너라.” 이렇게 부르면 당연히 황진이가 쪼르르 달려올 줄 알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황진이보다 훨씬 언니면서 중국 사신들이 조선의 경국지색이라고 불

    중앙일보

    2011.02.04 01:57

  • '무구정광다라니경' 최고 증거 충분

    '무구정광다라니경' 최고 증거 충분

    국보 제126호 무구정광다라니경(无垢淨光陀羅尼經)은 과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인가. 불국사 3층 석탑, 즉 석가탑의 완공 연대가 신라 혜공왕(765~780)

    중앙일보

    2007.03.21 05:07

  • [BOOK꿈나무] 괴물을 만든 괴물의 비극

    [BOOK꿈나무] 괴물을 만든 괴물의 비극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원작, 마르그레테 라몬 글 드라호스 자크 그림, 최인자 옮김 웅진주니어, 264쪽, 1만6000원 "나를 자연과학으로 이끈 건 호기심이었다. 그리고 자연과학

    중앙일보

    2006.06.23 20:44

  • 4대 불경 69만자 금 글씨로 써냈다

    4대 불경 69만자 금 글씨로 써냈다

    ▶ 4년 동안 4대 경전 69만 자를 금 글씨로 베껴 쓴 허락씨(오른쪽)와 김영로씨.▶ 경전을 그림으로 요약한 변상도. 불교 신자 두 사람이 금가루 글씨로 4년 동안 불경 69만자

    중앙일보

    2005.05.11 05:06

  • [week& 클로즈 업] 순천 竹鶴里서 전시회 서예가 손호근씨

    [week& 클로즈 업] 순천 竹鶴里서 전시회 서예가 손호근씨

    태고총림 선암사가 자리잡고 있는 이곳 전남 승주 땅 조계산은 절 울타리 너머도 자락 자락이 청정도량이다. 북으로부터 달려온 단풍이 어느덧 다다라 산 그림자조차 붉은데, 결 고운 바

    중앙일보

    2003.11.06 16:18

  • 오원(吾園) 장승업 특별 기획전

    세속의 명리를 떠나 임금의 명령에도 아랑곳없이 타고난 자유인으로 떠돌며 조선말기 화단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오원(吾園)장승업(張承業·1843~1897). 조선조 회화사를 찬란하게 마

    중앙일보

    2000.11.16 08:45

  • 서울대 박물관서 오원 장승업 특별기획전

    세속의 명리를 떠나 임금의 명령에도 아랑곳없이 타고난 자유인으로 떠돌며 조선말기 화단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오원(吾園)장승업(張承業.1843~1897). 조선조 회화사를 찬란하게 마

    중앙일보

    2000.11.16 00:00

  • 서예 운필법의 대가 석전 황욱선생 별세

    우리나라 서예계의 최고령작가로 독특한 경지의 운필법을 구사하며 일세를 풍미했던 석전 황욱선생이 22일 오전8시 전북 전주시 평화동 405의 6 자택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6세.

    중앙일보

    1993.03.22 00:00

  • 동양예술예찬론에 중국인 갈채

    35년 동안 오직 「용」자 만을 연구해온 「일필비룡화법」의 세계적인 대가 해석 박정일 씨(55)가 최근 중국 길림성예술대학에서 「동·서양예술비교론」이란 주제로 강의, 현지예술인들은

    중앙일보

    1991.08.12 00:00

  • 황욱 망백전

    인생 70을 무사히 채우기란 예나 지금이나 힘들긴 마찬가지다. 욕심에 어두워지지 않고, 이름을 더럽히지 않으며 70인생을 살기란 옛날보다 오히려 오늘이 더 어려울 것 같다. 자연적

    중앙일보

    1988.12.12 00:00

  • 주변경관·여행스케치 10여점 출품

    연보 심화자씨가 29일부터 12월5일까지 갤러리현대(734-6113)에서 세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주변경관이나 여행중의 스케치를 바탕으로 그린 근작 10여점을 선보일 예정. 누구나

    중앙일보

    1988.11.25 00:00

  • 세계인의 가슴에 그윽한 묵향

    올림픽 문화행사 중 서예술 분야로는 오직 하나뿐인 「국제 현대 서예전」 이 한국 (86)· 중국 (30)· 일본 (30) · 향항 (10명) 등 4개국 대표작가 1백56명이 참가,

    중앙일보

    1988.09.22 00:00

  • 독특한「한글서법」만든 서예계 원로|15일 작고한 소전 손재형씨

    15일 작고한 소전 손재형씨는 우리 고유의 한글을 전획필법으로 전개시켜 독특한「한글서법」을 창출해낸 우리 서예계의 원로다. 무리가 없는 자획과 구성, 단아하면서도 문기가 넘치는 소

    중앙일보

    1981.06.16 00:00

  • 하태진 작품전

    동양화가 석운 하태진씨의 11회 작품전은 색채보다 수묵을 많이 쓰는 그의 독창적인 화풍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11월3일까지 현대화랑). 대담하고 자유분방한 운필로 독특한 수평배

    중앙일보

    1975.10.28 00:00

  • 이퇴계 그 사상과 예술관

    이조시대 최고의 학자인 퇴계 이황의 사랑과 예술관을 되새기는 학술강연회가 그의 4백주기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14일 성균관명륜당에서 열렸다. 한국철학연구회와 성대유학대학이 공동으로

    중앙일보

    1970.11.18 00:00

  • 민족의 횃불|3·1운동 반세기에 펼치는 특집시리즈(7)

    일제의 침략기간중에 우리의 독립을 갈망치 않은 사람이 없고, 우리의 독립운동이 안 일어난 곳이 없다시피 하지만 그 열의가 한꺼번에 터져 대규모의 시위를 벌인 것을 들자면 역시 3·

    중앙일보

    1969.0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