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중국·일본서도 추앙한 실력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중국·일본서도 추앙한 실력

    초정(艸丁) 권창륜 선생. [사진 초정서예연구원]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이 지난 1월 27일 새벽에 작고했다. 오는 15일 선생을 영원히 떠나보내는 49재의

    중앙일보

    2024.03.13 00:11

  • 박완서 글, 김점선 그림…부채가 예술이로다

    박완서 글, 김점선 그림…부채가 예술이로다

    소설가 박완서(글)·화가 김점선(그림)의 작품(2002년작). [사진 영인문학관] ‘나에게 말을 몇 필 다오/올해의 첫 배가 갖고 싶소/아직 태어나지 않은 당신의 말 중/가장 순

    중앙일보

    2023.05.03 00:02

  • 부채 위에 그려진 박완서 글과 김점선 그림…영인문학관 ‘선면화’전

    부채 위에 그려진 박완서 글과 김점선 그림…영인문학관 ‘선면화’전

    이어령(글)·이석조(그림)의 작품(2002년작). 사진 영인문학관 ‘닭은 울지 않는다. 다만 빛을 토할 뿐이다.’  펼쳐진 흰 부채 왼편에 고(故)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이 쓴

    중앙일보

    2023.05.02 17:01

  • 추사 잇고자 했던 소지도인, 마지막 작품은 ‘아름다울 미’

    추사 잇고자 했던 소지도인, 마지막 작품은 ‘아름다울 미’

    2012년 LA자택에서 본지가 만난 소지도인. 1970년대 이민 간 선생은 세속을 멀리하며 일생 붓글씨에 전념했다. [중앙포토] “온전히 글씨를 배워옴이 이미 70여년, 비록 역

    중앙일보

    2021.06.08 00:03

  • 글씨, 글이 되고 그림이 되고 마음도 되고

    글씨, 글이 되고 그림이 되고 마음도 되고

    일본 서예가 다카키 세이우(高木聖雨)의 ‘유예(遊藝)’(2017). 가로 3m, 세로 4m에 달하는 대작으로 ‘예술에서 놀다’라는 의미를 노는 아이의 모습으로 표현했다. “한국은

    중앙선데이

    2018.03.24 02:00

  • 붓·종이·먹물·몸이 서로 힘을 주고 받아…

    붓·종이·먹물·몸이 서로 힘을 주고 받아…

    한글 궁체 흘림체. 붓이 이동하고, 붓끝이 벌어졌다 모아지고, 붓털이 뒤틀리는 움직임을 눈으로 추적하기 위해 화선지에 먹물 대신 모조지에 물감으로 쓴 글씨다. 옛 표기법을 따랐다.

    중앙선데이

    2017.08.13 02:00

  • 찬바람 부는 한·중·일 … 붓 들어 녹여보세

    찬바람 부는 한·중·일 … 붓 들어 녹여보세

    ‘동아세아 서예가 4인전’에 선보일 하석 박원규씨의 ‘독실(篤實)’. 『주역(周易)』의 한 구절인 독실(인정있고 성실하다)을 한간체(漢簡體)로 썼다. [사진 박원규] 21세기에 한

    중앙일보

    2013.12.03 00:23

  • 보이는가 부처의 얼굴 … 서예가 이른 '득도의 경지'

    보이는가 부처의 얼굴 … 서예가 이른 '득도의 경지'

    대만의 서예가 황창밍은 ‘손과정 서보’의 한 대목을 옮겼다. 서예가들에게는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이 텍스트를 갖고 먹의 농담을 조절해 부처의 얼굴이 떠오르도록 했다. 글을 가장 잘

    중앙일보

    2013.10.17 00:42

  • "서예 연구로 문화 공통분모 모색, 내년 중국회의서 시작하자"

    "서예 연구로 문화 공통분모 모색, 내년 중국회의서 시작하자"

    8일 열린 한·중·일 30인회의에선 각국 대표들 사이에 진솔한 의견이 오갔다. 특히 본회의장에선 역사·영토분쟁 등을 둘러싼 갈등이 일부 노출되기도 했다. “(역내) 정치 상호신뢰가

    중앙일보

    2013.07.09 00:56

  • 김구 선생, 전주 한옥마을서 단체사진 찍었네요

    김구 선생, 전주 한옥마을서 단체사진 찍었네요

    전주문화원의 ‘역사 유물 찾기 공모전’에는 105점의 희귀한 자료들이 쏟아졌다. 아래쪽은 1800년에 발간된 창암 이삼만의 『화동서법』. 후세의 서예가들이 글씨를 배울 때 교본으로

    중앙일보

    2012.09.13 00:53

  • “법정 스님은 흔들어 깨우면 금방 일어날 듯한 표정이었다”

    “법정 스님은 흔들어 깨우면 금방 일어날 듯한 표정이었다”

    ‘대통령 염장이’ 유재철씨의 사무실은 서울 종로구 누하동 주택가 한 빌딩의 지하공간에 있었다. 그가 마네킹을 눕혀 놓고 염습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조용철 기자 ‘대통령 염장이’

    중앙선데이

    2011.09.18 01:06

  • 큰스님·대통령 염했던 염장이 유재철

    큰스님·대통령 염했던 염장이 유재철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대통령 염장이 유재철씨의 사무실은 서울 종로구 누하동 주택가 한 빌딩의 지하공간에 있었다. 그가 마네킹을 눕혀 놓고 염습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중앙선데이

    2011.09.18 00:58

  • ‘대한민국 글씨 1번지’ 광화문 현판 죽은 글씨? 곳곳서 새로 쓰자는 소리

    ‘대한민국 글씨 1번지’ 광화문 현판 죽은 글씨? 곳곳서 새로 쓰자는 소리

    금간 광화문(光化門) 현판을 다시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이 참에 글씨 자체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서예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광화문 현판은 1866년 고종 중

    중앙일보

    2011.01.13 00:22

  • [내 생각은…] 광화문 현판, 글씨까지 바꿀 이유 있다

    [내 생각은…] 광화문 현판, 글씨까지 바꿀 이유 있다

    전정우서예가·심은미술관장 지난해 광복절 행사에 맞춰 복원된 광화문 글씨를 보고는 너무 놀랐었다. 그 현판이 앞으로 수백 년 이상 그곳에 걸려 있을 것을 생각하니 서예가의 한 사람

    중앙일보

    2011.01.01 00:19

  • NIE[신문활용교육] 가훈의 유래와 가치

    NIE[신문활용교육] 가훈의 유래와 가치

    가훈은 온 가족이 지키는 가족 헌법이다. 3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에서 서예가들이 방문객들에게 가훈을 써주는 행사가 열렸다. [연합뉴스]“작은 일이라도 착한 일을 할 기회를 놓치지

    중앙일보

    2010.01.20 00:15

  • “고난과 희열을 잘 아는 기러기는 실패 두려워 않고 날아오른다”

    “고난과 희열을 잘 아는 기러기는 실패 두려워 않고 날아오른다”

    황링이 작성한 작문 원고(왼쪽)와 현대 중국어로 고쳐 쓴 글. 관련기사 대입 답안지에 등장한 갑골문자 “기러기는 나는 걸 배우면서 겪는 온갖 어려움과 하늘로 날아오르는 희열을 잘

    중앙선데이

    2009.07.11 00:01

  • "서예 통해 아시아 하나되는 자리 만들 터"

    "서예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이 단합하는 자리를 만들겠습니다." 오는 18일부터 일주일간 서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에서 제6회 국제서법교류대전을 여는 권창륜(權昌倫.62)국제서법예술연

    중앙일보

    2003.06.15 21:21

  • 부드러운 운필 중후한 울림…원로 서예가 김충현 회고전

    40년 전 얘기다. 1958년 창덕궁 앞 2층 작은 건물에는 매일 서예가.화가들이 모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서예 사숙 (私塾) 이었던 동방연서회가 57년 관수동에서 시작해

    중앙일보

    1998.03.17 00:00

  • 붓글씨로 보는 반야심경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를 포함한 유명 서예가와 학자들이붓글씨로 남긴 『반야심경(般若心經)』만을 모은 『반야심경 명품선』(청산刊)이 출판됐다.불교의 지혜를 담은 『대반야경(大般

    중앙일보

    1995.03.11 00:00

  • 이리원광대 국내 찻 서예료 설치

    우리나라 대학에도 서예료가 생겨났다. 서예과신설의 깃주자로 나선학교는 원불돈 종립대학인섭비 이리소재의 원광대학교. 원광대는 지난달 문교부의 정식승인을 받아 1989학년도부터 미술대

    중앙일보

    1988.11.03 00:00

  • 동물원·중앙박문관 새모습 첫선

    ○…일제에 의해 고궁으로서의 품위를 잃고 놀이터로 바뀌었던 창경궁이 51억원을 들인 3년여동안의 복원공사끝에 고궁으로서의 위엄과 아름다움을 되찾아 23일 일반에 새로운 모습으로 공

    중앙일보

    1986.08.21 00:00

  • 전각|자신의 낙관 새기려 시작

    돌에 글자를 새긴다. 그러나 글자만이 아니다. 마음과 점성을 새기는 것이다. 『전각과 도장(인)은 격이 다릅니다. 이발관에 아무렇게나 붙어있는 그림이 도장이라면 전각은 「각고의 예

    중앙일보

    1981.08.25 00:00

  • 제2회 한·중 서법련의전

    동방연서회와 중국회법학회가 공동 주최한 제2회 한·중서법련의전이 5일 하오 2시 안국동 미술회관에서 개막됐다. 한국측에서 검여 유희강·일중 김충현·청곡 윤길중·남전 원중식·김기승·

    중앙일보

    1975.07.07 00:00

  • 아의 경지 되찾은 섬광…우남 유묵전

    역대 제왕의 필적이라면 「어필」이라 하여 무조건 귀히 여기는 경향이 있다. 치자 내지 인물에 대해 우러르는 마음이 거기에는 앞서 있다. 이러한 유풍은 오늘날의 정치가에도 답습되어

    중앙일보

    1971.07.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