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월간중앙] 최초공개 | 흥선대원군 외손녀이자 이회영 며느리 조계진의 일제 강점기 회상

    [월간중앙] 최초공개 | 흥선대원군 외손녀이자 이회영 며느리 조계진의 일제 강점기 회상

    “백범은 내게 영친왕을 알아볼 수 있느냐고 물었다”   ■청나라서 귀국한 대원군 외면한 고종… “두 사람은 말 한마디 없었다” ■백범, 조계진에게 “사실은 내가 국모 살해한 자를

    중앙일보

    2023.08.25 14:30

  • “의친왕의 상해 임시정부 망명 성공했더라면 대한제국 이어졌을 것”

    “의친왕의 상해 임시정부 망명 성공했더라면 대한제국 이어졌을 것”

    이석 총재가 17일 전주 한옥마을에 있는 '황손의 집' 승광재를 나서고 있다. 전주=프리랜서 오종찬왜 조선이 그렇게 힘 없이 망했나요? 고종 황제 할아버지를 친일파가 '무능한 임금

    중앙일보

    2016.08.22 00:01

  • 의친왕의 상해 임시정부 망명 시도 성공했다면 대한제국 이어졌겠죠

    의친왕의 상해 임시정부 망명 시도 성공했다면 대한제국 이어졌겠죠

    이석 총재가 17일 전주 한옥마을에 있는 ‘황손의 집’ 승광재를 나서고 있다. 전주=오종찬 프리랜서 “왜 조선이 그렇게 힘 없이 망했나요? 고종 황제 할아버지를 친일파가 ‘무능한

    중앙선데이

    2016.08.21 01:15

  • 문화재청·문화유산국민신탁·카툰캠퍼스가 함께하는 역사통(通) 기자단 2기

    문화재청·문화유산국민신탁·카툰캠퍼스가 함께하는 역사통(通) 기자단 2기

    [영녕전. 사진=장진영 기자·문화재청·중앙포토]정전 서문 → 영녕전 | 정전의 서문을 나와 서쪽으로 올라오면 ‘영녕전’이 보인다. 종묘의 별묘인 영녕전은 건국 이후 모셔야 할 왕은

    온라인 중앙일보

    2015.10.25 00:03

  • 영친왕 유품 44점 고국에…일본 소장가 기증

    고종의 셋째아들이며 황태자인 영친왕 (英親王) 이은 (李垠.1897~1970) 과 영왕비 (英王妃) 이방자 (李方子.1901~1989) 여사의 의류.장신구 등 유품 44점이 일본인

    중앙일보

    1999.05.19 00:00

  • 李方子여사 추모 韓日합동獻茶會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妃였던 英親王妃 李方子여사를 추모하는 韓日합동 獻茶會가 7일 낮 서울플라자호텔에서 열렸다. 한국전승도예협회(회장 柳光烈 海剛도자미술관장)와 日本茶道協會(단

    중앙일보

    1994.09.08 00:00

  • 왕조의 비운 짊어진 파란의 일생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였던 영친왕비 이방자 여사가 30일 타계함으로써 정략결혼까지 해야했던 한일간 얼룩진 역사의 한 장이 조용히 막을 내렸다. 20세기 초 한일합방이라는 거대한 역

    중앙일보

    1989.05.01 00:00

  • 이방자 여사

    운명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16세가 되던 어느 여름날 아침, 대기에 있는 별장에서 무심히 집어든 신문에 이은 왕세자 전하의 사진과 자신의 사진이 나란히 있는 것을 보고 이방자 여사

    중앙일보

    1989.05.01 00:00

  • 80대가 말하는 나의 인생 나의 건강|이방자 여사

    『타고난 건강한 체질에 소식, 항상 무엇엔가 몰두하는 규칙적인 생활』 이 3가지 요소가영친왕비 가혜 이방자 여사가 80이 넘어서도 깨끗한 피부, 꼿꼿하고 단아한 몸매를 지닌 채 건

    중앙일보

    1984.11.08 00:00

  • 『최후의 왕비』병마에-서울대병원 입원한 방자여사의 80평생

    일본의 왕녀로 태어나 한국의 마지막 왕비가 되었던 영친왕 이은공 미망인 방자여사가 노환으로 서울대학병원에 입원했다. 한일현대사의 비극을 한몸으로 상징하며 두나라의 참된 이해와 우정

    중앙일보

    1983.11.19 00:00

  • 비운의 두 여성...40년만의 상봉|홀가분하게 만날 수 있게 되어 다행

    일본제국주의의 야망을 위한 정략결혼의 희생물이 되어 비극의 왕비로 불린 영친 왕비 이방자 여사 (79)와 만주 국 황제부의 의동생부걸(75)의 부인「아이신가꾸라·히로」(애신각나호·

    중앙일보

    1980.11.17 00:00

  • (147)해방에서 환국까지|김 을한

    그러므로 소위 왕실에서 세웠다는 세 학교 중에서「숙명여중」은 제일 재단이 풍족하여 해마다 황해도 농장에서 들어오는 수입만으로도 학교를 운영하고도 남았으므로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중앙일보

    1970.10.27 00:00

  • (143)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 내외분은 l945년 4월에 은혼식을 거행하였으므로 꼭 4반세기만에 금혼식을 하게된 셈인데 1945년은 태평양전쟁 말기 즉 해방이 되던 해로 동경은 B-29의 공습으로 폐허가

    중앙일보

    1970.10.23 00:00

  • (141)해방에서 환국까지

    창덕궁의 낙선재는 헌종12년(1846)에 헌종의 후궁인 경빈김씨를 위하여 지은 것인데 경빈김씨의 별세 후에는 한때 고종이 편전으로 사용하였다고 하나 그곳에서 제일 오래 산 분이 바

    중앙일보

    1970.10.21 00:00

  • (140)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비록 중병의 몸으로나마 귀국하여 다시 조국의 품에 안기게 된 것은 박대통령의 특별한 배려와 정일권·김종필씨 등 정부요인들의 비상한 노력으로 비로소 이루어진 것이지만 그때까

    중앙일보

    1970.10.20 00:00

  • (139)해방에서 환국까지

    동경에 돌아온 영친왕비는 즉시 귀국준비에 착수했다. 서울에 사는 윤대비는 물론 박대통령으로부터도 영친왕을 왜 어서 모셔오지 않느냐고 재촉을 받았을 뿐더러 일반 민중도 이 가엾은 왕

    중앙일보

    1970.10.19 00:00

  • (138)해방에서 환국까지

    덕혜옹주는 비행기 속에서 발작을 할까봐 몹시 걱정을 했었는데 도중 아무일도 없이 귀국하였다. 38년만에 옹주를 맞이한 본국에서는 너무나 격변한 옹주의 모습을 보고 동정하지 않는 사

    중앙일보

    1970.10.17 00:00

  • (136)해방에서 환국까지|영친왕이 찍은 사진(1)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일이 없이 묵묵히 평생을 살았던 영친왕은 난 재배와 사진촬영에 남다른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한때 3천여 종의 난초를 기르고 있었고, 적판 저택에 마련된

    중앙일보

    1970.10.15 00:00

  • (135)해방에서 환국까지

    성로가병원의 주치의 「히노하라」(일야원)박사의 말을 들으며 영친왕의 병환은 뇌혈전에 의한 뇌연화증 때문에 운동신경이 마비돼서 언어장해와 수족이 자유롭지 못하지만 입원으로 우선 위기

    중앙일보

    1970.10.14 00:00

  • (127)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4·19 혁명당시 필자는 서울에 있었는데 하루는 미국에 계신 영친 왕비로부터 한 장의 편지가 왔다. 내용은 오래간만에「뉴요크」에 와서 아들(구)내외의 신혼생활을 보고 매우 즐거웠다

    중앙일보

    1970.10.05 00:00

  • (123)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그토록 조국을 그리워하고 대비마마를 사모하는 지성에 감동하여 방자 부인도 남편을 따라서 한번은 마음먹었던 일본에서의 영주를 단념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결심을 하였는데 그때

    중앙일보

    1970.09.30 00:00

  • (122)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은 마땅히 본국으로 돌아가셔야 될 것이라는 그날의 결정은 안동 부인을 통하여 즉시 영친왕 내외분에게 전달되었는데 그런 일이 있은지 수일 후에 이번에는 방자 부인이 우리들을 초

    중앙일보

    1970.09.29 00:00

  • (121)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의 국적을 다시 한국으로 바꾸고 본국으로 돌아오는 데에는 한일 양국의 수많은 사람들이 선의의 원조를 아끼지 않았거니와 그 중에 우에무라·겐따로오(상촌건태낭)라는 사람이 있다.

    중앙일보

    1970.09.28 00:00

  • (107)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동경에 있는 영친왕의 저택이 국 유니까 즉시 반환케 하라는 이대통령의 성화같은 독촉에도 불구하고 김용주 공사나 신성모 대사는 당시 일본정부의 견해나 스캡(연합국최고사령부)의 바임이

    중앙일보

    1970.09.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