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화태 교포의 구출 문제

    전후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소련령으로 할양된 망각의 땅 화태(사할린)에 약 4만 명의 한국인이 살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지 오래다. 그 중 일부는 북한 공산괴뢰나 소련의 시민

    중앙일보

    1967.02.27 00:00

  • 3월말 방한?

    【동경=강범석특파원】좌등 일본 수상의 방한이 이루어지면 그 시기는 오는 3월말이 될 것 같다. 좌등 수상의 방한은 재작년 말 한·일 국교 이후 좌등 수상이 전반적인 외유계획과 천연

    중앙일보

    1967.02.06 00:00

  • 재일 교포 영주 신청 2만7백49명

    【북경 = 강범석 특파원】「재일 한국인의 법적 지위 및 처우에 관한 협정」은 17일로써 발효 한돌을 맞는다. 일본법무성 「협정실」에 의하면 이 협정에 의거한 영주권 신청은 지난 1

    중앙일보

    1967.01.16 00:00

  • 일본종단기 (정종직·본사정치부장)

    재일교포의 고민은 한·일국교가 정상화한후 구체화하여 가는것같다. 국교 회복후 두드러진 혜택이 아직까지 눈에띄지않고 개중에는 일본측의 「차별대우」가 여전하거나 심한 경우가 있는가하

    중앙일보

    1966.10.22 00:00

  • 국적과 부호|재일교포 이적의 안팎

    일본정부는 지난 12일 외국인등록증의 「국적란」에 「한국」이라고 된 것을 「조선」으로 고칠 것을 바라는 「니이가다」재일교포 23명의 신청을 받아들였다. 이와같이 「국적란 수정」이

    중앙일보

    1966.07.19 00:00

  • 신청 만명 넘고 허가 2천여 명|재일 교포 영주권

    【동경13일 동화】지난 1월17일부터 일본 전국 각지에서 실시되고 있는 재일교포의 영주권 신청상황은 6개월 동안에 1만 명을 돌파했다. 이 가운데 영주권이 허가된 사람은 2천l백3

    중앙일보

    1966.07.14 00:00

  • 재일교포 등록증을 갱신

    [동경=강범석 특파원] 22일 열린 주일 8개 영사관장 회의는 오는 7월 1일부터 재일교포에 대해 「재외국민등록법」에 의한 국민등록증을 일제히 갱신 교부키로 결정했다. 안광호 공사

    중앙일보

    1966.06.23 00:00

  • 5천명 신청에 6백 70 명 허가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지난 1월17일부터 신청을 접수하기 시작한 재일 교포의 영주권 신청자 수는 23일 현재 5천23명이며 이 중 일본정부로부터 영주권이 허가된 수는 6백70

    중앙일보

    1966.04.27 00:00

  • 17년만의 해외국민등록증갱신과 앞으로의 교민정책

    아버지는 「한국」, 어머니는 「조선」, 「조선」으로 되어있던 것을 첫째 아들은 「한국」으로 바꿨는가하면 「한국」으로 바꿨던 둘째 아들은 다시 「조선」으로 바꾸기를 원하고…. (재일

    중앙일보

    1966.04.16 00:00

  • 일 영주권 허가 제1호 재일교포 세가구 20명에

    【동경=강범석 특파원】일본법무성은 8일 하오 5시 동경·대판·복강의 재일교포 3가구 20명에게「법적지위협정」발효 후 처음으로「협정상의영주」를 허가했다. 이른바 협정상의 영주권획득의

    중앙일보

    1966.04.09 00:00

  • 청구권계획 등|본격 대일 접촉

    【동경=강범석 특파원】주일대사관은 정부의 제53해양환 석방조치를 계기로 한·일 조약 및 제 협정 실시관계에서 드러난 여러 문젯점 해결을 위한 본격적인 대일 교섭을 시작했다. 김동조

    중앙일보

    1966.03.30 00:00

  • 서독간 광부, 「캐나다」로 탈출

    【토론토=김충림 통신원】서독 탄광에 파견되었던 한국 광부 2명이 최근 「토론토」로 옮겨가 이민국의 문젯거리가 되고 있다. 서독「에센」탄광에서 일하던 제2차 파견 광부 박시원(경북)

    중앙일보

    1966.03.21 00:00

  • 영주권신청 간소화운동

    【동경=강범석 특파원】재일 거류민단은 10일 밤 「처우대책위원회」를 구성, 영주권신청 간소화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중앙일보

    1966.02.11 00:00

  • 재일 교포-「대한민국」으로 처우

    60만 재일 교포의 법적 지위를 규정하고 있는 「재일 한국인의 법적 지위와 대우에 관한 협정」이 17일부터 발효했다. 한·일간에 체결된 조약 및 제 협정 중에서 기본 조약 등 다른

    중앙일보

    1966.01.17 00:00

  • 비민단계 포섭 쉬운 일 아니다

    【동경=강범석 특파원】재일 한국인의 법적 지위 협정이 발효한 17일 권일 민단장은 『민단 단원은 물론 해당되는 전 재일 교포가 하루속히 등록을 마치도록 민단의 조직력을 활용하겠다』

    중앙일보

    1966.01.17 00:00

  • 재일교포 영주신청|불법 입국자에 비자

    김동조 주일대사는 11일 하오 『법적지위 협정의 발효에 따라 실시될 재일교포의 영주권신청을 앞두고 대통령성명으로 공표된 전후 불법출국자 및 일본에의 밀입국교포에 대한 면소조처와 때

    중앙일보

    1966.01.12 00:00

  • 한일국교 정상화에 따르는 국민의 법적구제

    정부는 21일에 있을 예정인 한·일조약비준서 교환을 전후해서 전후 일본에 입국하여 거주하고 있는 교포중 불법출국자에 대한 구제책으로 이들에 대한 출입국관리법 위반의 공소권 소멸조처

    중앙일보

    1965.12.08 00:00

  • 어차피에 맡긴 과제|한·일 비준서 교환까지 남은 고비들

    우리 나라 국회에 이어 일본중의원에서도 파란 속에서 한·일 조약 비준안을 통과시켜 참의원으로 이송했다. 참의원의 심의가 착실한 일정 속에서 진행되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이송 후 3

    중앙일보

    1965.11.18 00:00

  • 재일교포|[수교전야]그 실태|일본땅에 [남과 북]

    [동경=심상기특파원]한·일 국교정상화를 눈앞에 보는 재일교포들의 마음은 착잡하다. 그들이 건너야 할 강은 아직도 갈래갈래 찢겨져 있다. 일본전국에는 약 58만명의 한국교포가 살고

    중앙일보

    1965.11.04 00:00

  • 한·일 국교 정상화 후에 펼칠 일본의 속셈(3)

    【동경=심상기 특파원】일본에 살고있는 재일 교포는 57만. 재일 외국인의 88%를 점하고 있는 이 많은 교포가 한·일 국교정상화 후에 일본정부로부터 어떤 대우를 받아가며 살아갈 것

    중앙일보

    1965.10.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