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당·광장 등 백56동 2829일 18시간 단수

    노량진수원지·구의 수원지의 시설물 정비사업으로 11개구 1백56개 동의 수돗물 공급이 28일 오전 9시부터 29일 오전 3시까지 18시간동안 중단된다. ◇중구=신당5·6, 황학동

    중앙일보

    1991.06.26 00:00

  • 서울 녹번·북가좌 등 57개 동 23일 12시간 단수

    영등포 수원지 확장 공사로 녹번동 등 서울 시내 57개 동에 2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2시간 동안 수돗물 공급이 중단된다. 단수 지역은 다음과 같다. ◇은평구=녹번 불

    중앙일보

    1991.06.22 00:00

  • 수도물 정수처리 강화

    올해부터 96년까지 팔당등 서울시내 모든 수원지에 임상 활성탄 여과지가 설치되는 등 수원지의 정수처리과정이 대폭 개선된다. 서울시는 14일 상수도의 수질향상을 위한「맑은물 공급 종

    중앙일보

    1991.05.14 00:00

  • 급수난 심한 고지대 상수도관 교체

    서울시는 8일 여름철을 앞두고 급수난이 예상되는16개 고지대와 상수도관이 낡거나 가는 11개 지역 등 모두 27개 지역의 상수도관 교체 및 가압 펌프 증설 등을 통해 6월말까지 급

    중앙일보

    1991.05.08 00:00

  • 올 여름 수돗물 파동 우려

    서울시가 가정용 수돗물 사용량의 기하학적인 증가추세를 감안하지 않고 올해상수도 생산시설용량을 지난해에 비해 소폭 늘리는데 그쳐 올 여름에도 수돗물 파동이 예상된다. 15일 서울시에

    중앙일보

    1991.03.15 00:00

  • 수도꼭지 물도 수질 검사

    지금까지 상수도 수원지 (정수장)에서만 실시되던 수질 검사가 이달부터 최종 사용처인 서울시내 각 가정의 수도꼭지에서도 실시된다. 서울시는 5일 음용수로서 수도물에 대한 시민들의 신

    중앙일보

    1991.03.05 00:00

  • 하수처리장 7곳 연내 착공/「국민생활과 환경개선」 보고내용

    ◎저소득 자녀 실업계고까지 학비/수도권전철 올해 4백44량 늘려/4개 광역 상수도 건설 93년 완공 정부는 경제능력 범위내에서 국민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시책을 적

    중앙일보

    1991.01.15 00:00

  • 용산·마포·구로·영등포구 45동 27∼28일 18시간 단수

    서울 용산·마포·구로·영등포 등 4개 구 45개 동 20만7천4백21가구에 대한 수돗물 공급이 27일 오전9시부터 28일 오전3시까지 18시간 동안 중단된다. 이는 암사 수원지 확

    중앙일보

    1990.12.25 00:00

  • 지하철·도로건설에 33% 집중 투입

    서울시 새해 예산이 총4조1천7백64억원으로 확정됐다. 서울시는 8일 일반회계 2조2천5백81억원, 15개 특별회계 1조9천1백83억원으로 91년 예산을 편성, 총리실에 승인 요청

    중앙일보

    1990.12.08 00:00

  • 경찰 빛과 그림자/경찰청 발족 앞두고 추적한 실태와 문제점:1

    ◎경관 74% “이 직업 후회한다”/맞선땐 공무원이라 얼버무려/격려는 없고 질책만 빗발/「상전」들 많아 「지팡이」 휘어져 현재 진행되고 있는 범죄와의 전쟁과 내년으로 예정된 경찰청

    중앙일보

    1990.11.30 00:00

  • 중병 앓는 환경오염

    서울의 환경은『인간이 얼마나 열악한 환경에서까지 살아갈 수 있나』시험하는 흡사「생체 실험장」이다. 1천만 명이 넘는 인구가 몰려 사는 서울의 하루 쓰레기 배출량은 3만7백86t.

    중앙일보

    1990.11.26 00:00

  • 물난리 이중고 서울은 목마르다|팔당 등 주요수원지 침수로 가동제한

    물난리 속에 서울은 목이 마르다. 대홍수로 서울이 온통 수중도시가 돼 흔하디 흔한 것이 물이지만 정작 마실 물, 생활용수는 기근인 것이다. 이는 서울의 주요 물 공급원인 팔당수원지

    중앙일보

    1990.09.15 00:00

  • 남는 구호품 이웃 수재민에 전달/수재 뒤끝… 구호ㆍ복구 현장

    ◎대학병원 긴급의료반 순회진료 나서/침수지역 여관비 2∼3배 바가지/시민이 고무모터보트 동원 65명구조 수재를 당한 이재민들이 묵고있는 대피소마다 어려움을 함께 나누려는 온정이 밀

    중앙일보

    1990.09.13 00:00

  • 장대비에 터진 모래흙둑/한강의 제방들 안전한가

    ◎수위 높아지면 압력 못견뎌/일산둑 홍수위 여유부분 겨우 72㎝ 갑자기 불어난 강물은 호안블록 윗부분 좁은 흙둑을 치면서 깎아내렸다. 자연히 약한 부위가 자꾸 깎이면서 구멍이 뚫렸

    중앙일보

    1990.09.13 00:00

  • 시 추경예산 4,055억원 확정

    지하철 및 도시고속화 도로망의 조기 건설에 중점을 둔 서울시의 90년도. 추가경정 예산규모가 4천55억원으로 확정됐다. 추경규모의 결정으로 서울시의 올해 전체예산은 3조4천6백39

    중앙일보

    1990.09.04 00:00

  • 수도물서 DDT 검출/서울시 수원지/라듐등도… 기준치엔 미달

    기형아ㆍ암 등을 유발시키는 등 인체에 치명적인 DDT를 비롯,라듐ㆍ스트론륨 등 방사능물질이 서울시 5개 수원지의 상수도(정수)에서 모두 검출돼 충격을 주고있다. 서울시가 14일 평

    중앙일보

    1990.08.14 00:00

  • 수도물 공급 한계점

    7월 들어 고온 다습한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수돗물 사용량이 급증, 일부 고지대 주민들이 물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10일의 경우 수도물 생산 시설을 1

    중앙일보

    1990.07.12 00:00

  • 폐수ㆍ쓰레기로 위협받는 “원수”(수도물 마셔도 되나:중)

    ◎4대강 고기 못살 정도로 오염/정부의 “맑은물 공급”공약으로 수도물 원수가 위협을 받고 있다. 산업화 진전에 따라 각종 공해물질ㆍ폐수 등이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채 우리의 식수원인

    중앙일보

    1990.07.05 00:00

  • 시설 낡고 전문인력 부족/정수장 관리 엉망(초점)

    ◎감사원이 조사한 17곳 운영실태/기준미달 약품ㆍ모래 사용하기 일쑤/응집기ㆍ침전 찌꺼리 제거장치등 고장난채 방치/청원경찰이 정수장을 관리하기도 감사원이 조사한 전국 17개 정수장의

    중앙일보

    1990.07.03 00:00

  • 수도물 여과지 “중금속 투성이”/환경연구원 조사

    ◎10개 정수장서 다량 검출/응용 기준 2백48배 넘기도/마실 물에 들어갈 위험 높아/세척기 관리소홀 원인 서울 영등포ㆍ선유ㆍ노량진 등 전국10개 상수도 정수장여과지에서 인체에 치

    중앙일보

    1990.07.03 00:00

  • 은평·서대문구 10만 가구 아침 단수소동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수원지 시설보수를 위해 28일 서울 74개동에 대해 13시간동안 단수를 한다고 발표했으나 24개동에서는 26시간이 지나도록 수돗물이 나오지 않아 10만가구가

    중앙일보

    1990.06.29 00:00

  • 구의·보광동 수원지 원수서|합성세제 검출

    서울시 수도물의 원수에서 면역성감퇴등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수 있는 합성세제성분이 허용치이내 이기는 하지만 계속 검출되고 마시는 정수에서도 미량의 발암물질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중앙일보

    1990.06.01 00:00

  • 가양동에 배수지 건립

    서울시는 31일 그동안 수원지와 주택가사이에 수도물 저장시설이 없어 단수때 마다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격어온 가양 .공항동일대의 안정적인 급수를 위해 가양동 궁산 1만3천2백25평에

    중앙일보

    1990.01.31 00:00

  • '90 서울시 주요사업노량진 등 취수장 3곳 상류이전

    전국민을 불안 속에 몰아 넣으며 나라안을 발칵 뒤집어 놓았던 상수도 수질오염을 없애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데 역점이 주어진다. 수질이 나쁜 영등포·선유·노량진 등 한강하류 취수장의

    중앙일보

    1989.12.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