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제가 쓴 고종실록, 명성황후 시해범도 편찬 참여했다”

    “일제가 쓴 고종실록, 명성황후 시해범도 편찬 참여했다”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집필에 참가한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오른쪽)와 서영희 한국공학대 지식융합학부 교수. 일제 식민사학을 이기백의 연구 등으로 상당 부분 극복했

    중앙일보

    2022.07.11 00:02

  • "일제 편찬 『고종실록』 다시 써야...명성황후 시해범도 참여"

    "일제 편찬 『고종실록』 다시 써야...명성황후 시해범도 참여"

    8권짜리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집필에 참가한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오른쪽)와 서영희 한국공학대 지식융합학부 교수. 비판 총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5년

    중앙일보

    2022.07.10 16:21

  • [2004.06.02] 국사학계 1세대 사학자 이기백 교수 별세

    [2004.06.02] 국사학계 1세대 사학자 이기백 교수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기백 전 서강대 교수가 2004년 6월 2일 80세로 별세했다. 광복 후 역사학계 1세대로서 한국 고대사와 한국 사학사 분야를 대표했던 이기백 교수는 1960~70

    아워히스토리

    2017.03.10 18:20

  • [학계논쟁] YS 묘소 논쟁과 풍수의 존재 이유

    [학계논쟁] YS 묘소 논쟁과 풍수의 존재 이유

    YS 묘역에서 나온 알돌은 ‘봉황포란형’의 완성… 박정희·김대중·김영삼 대통령의 묘소 위치는 국운 융성의 길조 공중에서 바라본 국립현충원의 전직 대통령 묘역. 전직 대통령의 묘소는

    온라인 중앙일보

    2016.02.09 00:01

  • [차(茶)와 사람] 백성 추앙받던 점필재, 백성 땅 수용해 차밭 일군 까닭…

    [차(茶)와 사람] 백성 추앙받던 점필재, 백성 땅 수용해 차밭 일군 까닭…

    차와 더불어 사는 선비의 삶을 그린 이상좌(1485~?)의 ‘군현자명도’. [간송미술관 소장] 김종직(金宗直·1431~1492)은 시에 능했던 인물로 평소 차를 즐겼다. 그의 자

    중앙선데이

    2014.11.16 02:45

  • ‘한국을 가꾼 50인’ 이승만·박정희·김대중, 그리고 …

    ‘한국을 가꾼 50인’ 이승만·박정희·김대중, 그리고 …

    한국 역사학계의 사랑방 역할을 해온 잡지 ‘한국사 시민강좌’(일조각)에 마침표가 찍혔다. 1987년 8월 제1집을 낸지 25년 만에 마지막 50호를 냈다.  ‘한국사 시민강좌’는

    중앙일보

    2012.02.29 00:31

  •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4일 오후 충남 홍성군 홍동면 운월리 ‘밝맑도서관’에서 이 마을 어린이들이 책을 보고 있다. 현재 이 도서관에는 3개 층에 걸쳐 2만여 권의 책이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충남

    중앙일보

    2011.12.06 01:43

  • 한·중·일 이어줄 ‘100권의 책’

    한·중·일 이어줄 ‘100권의 책’

    한·중·일의 출판인이 한자리에 모여 ‘동아시아 100권의 책’을 선정했다. 동아시아출판인회의(회장 김언호 한길사 대표)는 29일 전북 전주에서 각국의 지적 성과물을 대표하는 ‘현대

    중앙일보

    2009.10.30 03:31

  • 역사학자 이광린 교수 별세

    역사학자 이광린 교수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광린 서강대 명예교수가 11일 오후 2시 30분 노환으로 타계했다. 82세. 학술원 회원이기도 한 고인은 한국 근대사 연구의 개척자로 손꼽힌다. 1925년 평안남

    중앙일보

    2006.04.12 05:25

  •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고통과 죽음은 인생의 한 부분'이라는 격언처럼 살아 있는 그 누구도 죽음을 피할 길은 없다. 세상을 휘어잡았던 권력가도, 노벨상에 빛나는 학자도, 은막의 전설이라 불리던 스타도

    중앙일보

    2004.12.29 17:50

  • "정부, 인터넷상 역사 오류에 무관심"

    한국 역사 왜곡의 최대 진원지로 미국 컬럼비아대 온라인 백과사전과 중앙정보국(CIA)이 꼽힌다. 야후나 팩트몬스터 등 미국의 주요 포털.학습.관광 사이트는 두 기관의 자료를 기초로

    중앙일보

    2004.08.23 05:26

  • [사람 사람] '한국사의 진실 찾기' 가르친 참 스승

    이기백 선생님께서 세상을 떠나셨다니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선생님의 고고하고 청초한 모습을 더 이상 접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서글프고 애통한 느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선생님

    중앙일보

    2004.06.03 17:55

  •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기백 전 서강대 교수가 2일 오전 5시45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0세. 광복 후 역사학계 1세대로서 한국 고대사와 한국 사학사(史學史) 분야를 대표했던 고인은

    중앙일보

    2004.06.02 18:50

  •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 윗줄 왼쪽부터 조순.박영숙.김동진.이규태.이인호.이기백.김백봉.김동길.유현목.한운사.정원식씨.지난 3일 오전 11시쯤의 풍경이다. 서울 서소문에 자리잡은 명지빌딩 20층 세미나

    중앙일보

    2004.03.11 15:45

  • '신편 한국사' 53권 11년만에 완간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이만열, 이하 국편)가 우리 민족의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기술한 '신편 한국사'전 53권을 완간했다. 이는 지난 1993년 편찬작업을 시작한이후 11년만이다

    중앙일보

    2003.12.01 08:33

  • "고구려史 남북 시각差 좁히자"

    분단 50년은 민족 이산의 아픔 못지않게 학술·문화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역사분야에서는 같은 민족의 역사인데도 남북 간에 서로 다른 역사 인식이 날이 갈수록 굳어져 가

    중앙일보

    2002.12.03 00:00

  • [미시사의 도전]30년대 조선 지식인 사회 조명

    신간은 일제시대 한 보통 지식인이 1937년부터 40년까지 만 3년에 걸쳐 '동아일보'등 일간지들의 주요 기사들을 모은 신문 스크랩북 일곱권을 텍스트로 해서 당시 '지식인들의 세

    중앙일보

    2002.08.17 00:00

  • 역사 서술의 새 주류 '微視史'-역사와 문학의 새로운 포옹

    ◇미시사(微視史)탄생의 배경=불편부당(偏不黨)한 자세와 과학적 방법이라는 무기로 '과거를 재구성한다'는 고결한 신념에 찼던 랑케의 믿음 덕분에 근대 역사학이 만들어졌지만, 80년

    중앙일보

    2002.08.17 00:00

  • [삶과 추억] 와그너 전 하버드대 교수

    지난 7일 오후(미 현지시간) 77세를 일기로 타계한 에드워드 와그너 전 하버드대 교수. 그는 한국학 개척과 발전에 헌신해온 미국 내 한국학 연구의 대가다. 서강대 백승종(역사학)

    중앙일보

    2001.12.10 00:00

  • [같은길 다른삶] 9. 강만길-조동걸

    분단 극복을 위한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67.고려대 명예교수)과 한국독립운동사와 한국현대사학사의 개척자 조동걸(68.국민대 명예교수). 두 학자가 걸어온 길과 학문을 소개한 '학

    중앙일보

    2000.07.05 00:00

  • [20세기 명저] 국내 20선

    맑고 깨끗한 지성으로 한 시대의 길을 밝혀 주는 것은 책. 본지 문화부 출판팀은 한 세기의 마감을 기려 20세기의 국.내외 명저 20편씩을 선정했다. 영국 로고스 출판사의 '20세

    중앙일보

    1999.12.23 00:00

  • [논쟁서평] 번역출간 신라 '화랑세기' 진위논란

    '위작 (僞作) 이냐, 아니냐. ' 신라 김대문 (金大問.생몰연대 미상.신라귀족으로 '고승전' '악본' '한산기' 등 저술 있음) 이 681~687년 사이 저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앙일보

    1999.06.17 00:00

  • [인터뷰] 한국사학사학회 발기인대표 조동걸 교수

    "역사연구는 실증 (實證) 을 바탕으로 하지만, 거기에 그쳐서는 안됩니다. 실증적 연구의 성과를 학문으로 정립시키는 일이 역사학자들의 과제이지요. 학문영역에까지 일제.독재정권 등

    중앙일보

    1999.03.26 00:00

  • [뉴스퀴즈]TV시청률 조사하는 기계는 外

    1.상상의 동물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그린 사신도 (四神圖) 벽화로 유명한 북한 삼묘리 (三墓里) 강서 큰무덤. 이 무덤의 벽화는 기법과 묘사력이 뛰어나 어디에 내놔도 부끄

    중앙일보

    1998.07.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