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브라질의 한국인들-김영희 특파원, 「이민 10년」견문기록

    「콘데·데·사르제타스」가 너절한 언덕배기 뒷골목의 상오10시. 수십 대의 폭스바겐이 좁은 골목길을 빠져나간다. 운전대는 남편이 잡았고 옆자리에는 행상보따리를 든 아내가 앉아있다.

    중앙일보

    1973.09.15 00:00

  • (610)제28화 북간도(30)

    한인들이 노령에 이주한 것은 극히 오랜 역사가 있었다. 거슬러 올라가면 1884년에 한·노 통상수호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이주한 한인에 대한 국제조항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인들의

    중앙일보

    1972.11.15 00:00

  • (609)제자 이지택|북간도(29)

    일본 영사관 화재, 15만원 탈취사건 등 큰 사건이 잇달게 되자 일본관헌들은 젊은 학생들을 일제 검속하기 시작했는데 그 체포명단에 나도 끼게 되었다. 그래서 1920년4월에 할

    중앙일보

    1972.11.14 00:00

  • (9)그 전설과 관리 실태|서울 논현동 자작나무

    마을·시내·돌 이름 중에는 남녀간의 애정과 「스캔들」이 얽힌 사연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많다. 달래고개·달래강·하개동·망부석 등 옛 선조들이 남긴 해학의 산물이다. 고목 중에도 이

    중앙일보

    1972.08.14 00:00

  • (4) 서울 백련사 엄나무

    해마다 6, 7월이 되면 한 그루 엄나무 꽃향기가 백련사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321) 1만5천여평의 널따란 경내를 메운다. 엄나무는 흔히 부르는 이름으로 해동목. 수령 4백60

    중앙일보

    1972.08.04 00:00

  • (17)전농2동

    청량리역 주위에 위치한 동대문구 전농2동은 지저분하던 역전에 거대한 대왕코너가 들어서고 언덕배기에 진흙길이던 서울 농대앞 길은 답십리까지 산뜻한 포장으로 새로운 동을 이룩하고 있다

    중앙일보

    1970.06.29 00:00

  • (6)시정돼야 할점과 그 가능성|철거민들의 정착지 사당2동

    국립묘지를 지나 경기도 과천쪽으로 약 1㎞ 오른쪽 언덕배기에 자리잡은 영등포구사당2동. 9천2백가구 2만6천5백여명의 동민들은 마을에 차들이 다닐 수 있는 길이없어 청소차와 방역차

    중앙일보

    1970.06.03 00:00

  • (240)손병희 묘 곁으로 간 천도교 별관|봉황각-그날의 함성 되새기는 삼·일 운동|글 박현서|사진 구태봉기자

    삼·일 운동의 요람일. 왼편 한옥이 1919년1월5일부터 49일 기도회를 열어 이신환성의 정신으로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던 천도교의 도량인 봉황각. 오른편이 천도교 중앙총부 별관(붉

    중앙일보

    1970.02.28 00:00

  • (2)빽줄

    빽줄은 고무줄로 통했다. 일정한 힘줄없이 잡아당기면 늘어났다가도 늦추면 오무라드는 성질 때문이다. 그 빽줄의 신통력이 항상 탈이었다. 몇해전 서울M구S동의 땅값이 시세를 만난듯이

    중앙일보

    1969.12.02 00:00

  • 드높은 가을 연휴 만끽|국군의 날-에어·쇼-개천절로 수10만인파 거리 누벼

    연휴는 축제. 탁 풀어진 발길이 온 장안을 덮어 어디를 가나 인파-인파-. 높푸른 하늘처럼 연휴의 마음은 마냥 공중에 떴다. 국군의 날(1일). 「에어·쇼」(2일), 개천절(3일)

    중앙일보

    1966.10.03 00:00

  • 자유되찾은 분기점|15일은 「인천상륙」열여섯돌

    호수는 오늘도 인천항에 밀렸다. 밀물에 밀리어 인천은 살이찌고 영광과 곤경의 설화는 썰물에 씻기어갔다. 하지만 아무리 밀리고 씻기어도 질퍽한 감탕밭에 끈적하게 떠오르는 침전물-.

    중앙일보

    1966.09.15 00:00

  • 신문 배달 이색 지대

    쉰일곱살난 신문 배달원-그의 보조 배달원으로는 열일곱살 난 막내아들이 손을 거들고 있다. 이 부자 배달원은 중앙일보 청량리 보급소에서 일하는 우기명(57·용두동 238·10통 3반

    중앙일보

    1966.04.05 00:00

  • 남서풍의 경치 속엔 숨막히는 정적|열차속 냄새로 행선지느껴

    [홍콩]의 구룡역에 호역서 열차로 50분 달리면 나으면 여기서 내려 잠시 걸다리 하나가 나온다. 이 다리가 바로 [죽의 장막]속에 칩거하는 중공과 자유세계를 갈라놓은 역사적인 경계

    중앙일보

    1965.12.01 00:00

  • 수재민·판잣집 철거민|정착계획 제자리 걸음

    서울시는 금년안으로 무허가 판잣집 6천6백동과 지난여름 한강범람으로 생긴 이재민 3천9백42가구 1만9천2백72명을 영등포구 사당동과 봉천동등 변두리에 정착시킬 계획을 추진하고있으

    중앙일보

    1965.10.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