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관장하는 기초기술연구회가 최근 NAP 5대 과제를 선정해 드림팀을 구성,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들어갔다. 2015년까지 산·학·연 과학자 299명의

    중앙일보

    2009.03.11 11:27

  • [인사] 기획재정부 外

    ◆기획재정부▶사회예산심의관 김규옥▶대변인 박철규▶복권위원회 사무처장 이재구▶성장기반정책관 주형환▶기획재정부 진양현▶장관실 비서관 민경설▶혁신인사과장 송인창▶홍보담당관 최호천▶기획재

    중앙일보

    2009.02.20 00:53

  • “2 ~ 3년 지원해도 성과 안 나와 일부선 속았다는 지적도 있었죠”

    “2 ~ 3년 지원해도 성과 안 나와 일부선 속았다는 지적도 있었죠”

     “10년 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또 고위험 고수익 전략이 주효했다고 봐요. 앞으로도 정부의 프런티어사업 같은 획기적인 연구개발 사업이 이어져야 한국 과학기술

    중앙일보

    2009.01.16 01:38

  • [중앙 시평] 쇠고기 파동서 본 세계화와 민주주의

    세상은 참 빨리 변한다. 너무 빨리 변해서 사람들의 생각이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 한국 사회는 10여 년 전에 비해서 너무나 변해버렸다. 10여 년 전까

    중앙일보

    2008.06.09 01:06

  • “직선 총장은 교수 눈치 보느라 대학 개혁 못해”

    “직선 총장은 교수 눈치 보느라 대학 개혁 못해”

    “교수들이 총장을 선출하면 선거 과정에서 대학 사회가 분열되고, 총장이 교수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 대학 개혁을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이언 처브(64) 호주국립대 총장은

    중앙일보

    2008.05.22 01:45

  • 우주선에 ‘태양광 돛’ 달고 명왕성 도전

    우주선에 ‘태양광 돛’ 달고 명왕성 도전

    플라스마로 우주선을 움직이게 한다는 가상도. 왼쪽이 플라스마를 쏘는 우주정거장이며, 오른쪽이 우주선이다. [워싱턴대 제공]한국 첫 우주인인 이소연씨가 우주에 머문 지 11일째다.

    중앙일보

    2008.04.18 01:36

  • 2008년 호암상 수상자

    2008년 호암상 수상자

    과학상 김필립 박사, 차세대 신소재 물질 연구 선도 김필립(40·사진) 박사는 차세대 신소재 물질로 각광받는 저차원 탄소나노 구조의 분석·응용 분야에서 세계 과학계를 선도하고 있는

    중앙일보

    2008.04.15 01:13

  • [양재찬이 만난 사람] “뻔한 연구는 안하는 게 낫다”

    국내 최고의 이공계 대학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개혁 태풍이 몰아쳤다. 테뉴어(tenure·정년보장)를 신청한 교수 35명 가운데 15명을 탈락시켰다. 07학번 학생부터 영

    중앙일보

    2008.04.04 12:09

  • 양자컴퓨터의 위력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김재완 교수가 23일 오후 3시부터 국립서울과학관에서 개최되는 ‘과학기술 명사와의 만남’에서 ‘양자컴퓨터’라는 제목으로 대중강연을 한다.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중앙일보

    2008.02.22 05:30

  • '내가 무슨 병에 걸릴까' DNA는 알고 있다

    '내가 무슨 병에 걸릴까' DNA는 알고 있다

    학술지 사이언스 20일자는 '인간 유전자 변이'를 올해 가장 뛰어난 연구 성과로 꼽는 등 '올해의 10대 과학'을 발표했다. 인간 유전자 변이는 개인 간의 차이를 만들고 질병에

    중앙일보

    2007.12.21 06:11

  • '달의 여신' 달에 보낸 중국 … 우주강국 자부심 가득

    '달의 여신' 달에 보낸 중국 … 우주강국 자부심 가득

    24일 오후 6시5분(한국시간 오후 7시5분). 중국의 첫 달탐사선 창어(嫦娥)1호가 쓰촨(四川)성 시창(西昌) 우주발사센터에서 발사됐다. 창어1호를 실은 '창정(長征)3호 갑(

    중앙일보

    2007.10.25 04:15

  • 재료공학·생명공학 … 미래의 삶을 바꾸는 '꿈의 기초기술'어디까지

    재료공학·생명공학 … 미래의 삶을 바꾸는 '꿈의 기초기술'어디까지

    "노트북만 한 수퍼컴퓨터, 한 달 동안 당뇨 주사를 맞지 않아도 되는 캡슐형 알약, 미사일처럼 암 세포만 찾아가 죽이는 항암제, 사람 체질에 따른 맞춤 의학…." 이틀간 일정으로

    중앙일보

    2007.10.05 05:16

  • [BOOK책갈피] 전쟁과 평화 양쪽에 기여하는 과학

    [BOOK책갈피] 전쟁과 평화 양쪽에 기여하는 과학

    갈릴레이 딜레마 장 자크 살로몽 지음 박지현 옮김, 이후 238쪽, 1만2000원  전쟁은 정치인이 결정하고 군인이 수행한다. 하지만 그 기반인 살상 기술은 과학자가 제공한다. 핵

    중앙일보

    2007.08.10 18:40

  • 세계를 변화시킨 혁신 기술은?

    "양자컴퓨터, 인터넷, 내연엔진, 항공여행, 무선기술, 헤지펀드…". 미국 최고의 전문가들이 꼽은 혁신을 가져온 놀라운 기술들이다. 혁신 기술들은 인류의 생활 모습을 근본적으로 변

    중앙일보

    2007.07.10 13:13

  • 나노컴퓨터의 두 얼굴

    나노컴퓨터의 두 얼굴

      시공을 초월한 정보통신환경을 뜻하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우리들 앞에 전개되고 있다. 이제까지 인간 속에 컴퓨터가 있었다면 앞으로는 영화 ‘매트릭스’에서처럼 컴퓨터 속에 인간

    중앙선데이

    2007.04.24 05:02

  • [과학칼럼] 빛에 얼어버린 원자

    아이들은 초능력으로 악당을 무찌르는 만화 주인공들을 좋아한다. 그중에는 번개같이 빨리 움직일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플래시맨(Flash Man)'도 있다. 이 만화에서는 악당이

    중앙일보

    2007.03.16 18:56

  • 족집게 역술 예언가 10인 丁亥年 國運 말한다

    족집게 역술 예언가 10인 丁亥年 國運 말한다

    ■ 누가 대통령 될 것인가? 이명박 우세 속 陰기운이 변수로 등장… 의외 인물 등장 가능성 낮아 ■ 경기 살아날까? 무늬만 ‘황금돼지 해’… 2007년 말 지나야 경제는 겨우 숨

    중앙일보

    2007.01.02 10:49

  • [송호근칼럼] 우리, 살아 남을까 ?

    [송호근칼럼] 우리, 살아 남을까 ?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의 대상 국가로 한국을 우선 선택했다. 협상을 애걸하는 몇몇 국가를 제쳐 두고 한국을 지목한 이유는 자명하다. 갖출 것을 제법 갖췄기 때문이다. 도하회

    중앙일보

    2006.07.31 20:59

  • [바둑 소식] 조대현 9단 새 기사회장에 外

    [바둑 소식] 조대현 9단 새 기사회장에 外

    *** 조대현 9단 새 기사회장에 조대현(사진) 9단이 27대 한국기원 기사회장에 당선됐다. 9일 한국기원에서 열린 프로기사 정기총회에서 조 9단은 78표를 얻어 66표를 얻은 서

    중앙일보

    2005.11.11 05:38

  •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5차] 현대경제연구원 김중웅 원장 개회말씀 안녕하십니까. 회장 김중웅입니다. 2

    중앙일보

    2005.09.24 10:46

  • [과학] '암호 전쟁' 뛰는 암호 위에 나는 해독 기술

    [과학] '암호 전쟁' 뛰는 암호 위에 나는 해독 기술

    ▶ 양자암호통신시스템을 최근 개발한 KIST 문성욱(右) 박사가 양자암호 전송 중 도청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보고 있다.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977년 8월호에는 전

    중앙일보

    2005.08.11 19:09

  • [이슈 인터뷰] 로버트 로플린 KAIST 총장

    [이슈 인터뷰] 로버트 로플린 KAIST 총장

    로버트 로플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은 가족과 떨어져 교내 총장 관사에서 홀로 생활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관사에 피아노를 들여놓았다. 여러 곡을 작곡할 정도의 음악 실력이

    중앙일보

    2004.09.06 06:28

  • [과학으로 세상보기] 기초과학 왜 중요한가

    올해는 전자공학 100주년이다. 영국의 과학자 존 앰브로즈 플레밍이 2극 진공관을 발명한 것이 1904년인데, 이것은 곧 정류.증폭.발진이 가능한 3극 진공관으로, 3극 진공관은

    중앙일보

    2004.03.18 18:32

  • [클릭] 휴대전화 인터넷, 韓·美 뜨거운 '표준 논쟁'

    [클릭] 휴대전화 인터넷, 韓·美 뜨거운 '표준 논쟁'

    위피(WIPI★)와 브루(BREW★)라는 이름도 생소한 무선인터넷 플랫폼(구동소프트웨어)을 둘러싼 한.미간 논쟁이 뜨겁다. '위피'를 개발한 '한국무선인터넷 표준화 포럼'과 브루를

    중앙일보

    2004.03.07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