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적십자 마틴 슈엡 국장 "인도주의 위기에 손 내밀어준 한국민께 감사"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새벽 기습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오는 7일로 3개월째를 맞는다. 지난 24일부터 7일간의 일시 휴전으로 숨통을 틔운 것도 잠시, 추가
-
"어린놈" "금수" 더 세진 막말…美英선 "You Lie"도 징계받는다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법무부 장관. 뉴시스·뉴스1 정치권에 ‘막말 망령’이 배회하고 있다. 21대 국회 들어 의원의 품격이 떨어졌다는 지적은 꾸준했지만 최근
-
“강진까지 덮친 아프간, 1500만명이 끼니 걱정하는 상황”
지진으로 폐허가 된 아프가니스탄 서부 헤라트주 한 마을에서 11일(현지시간) 한 여성이 건물의 잔해를 치우고 있다. 이 지역은 지난 7일 규모 6.3 지진이 강타한 데 이어 11
-
“잊혀진 비극 아프간, 굶주림에 강진까지…우리가 마지막 생명줄”
샤웨이 리 세계식량계획(WFP) 아프가니스탄 국가사무소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지난 7일 오전(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서부
-
동생 묻은 소년 울고, 2살 아기 건물 깔렸다…아프간 지진 현실
어린 동생을 잃은 소년은 무덤가에서 목놓아 울었다. 건물 잔해에 깔린 두살 아기가 시름하고 있지만 의료진은 없다. 잔해를 파헤칠 도구도 없어 무너진 건물은 그대로 수백명의 무덤이
-
치매 조부 '옛여인' 찾으러 나선 손자…그앞에 나타난 여인 정체
추석 연휴가 끝나면 곧 부산영화제다. 4일 개막하는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69개국 209편의 공식 초청작에 커뮤니티 비프 상영작 60편까지 총 269편이 상영된다.
-
한국계 첫 美상원의원 나오나…앤디 김, 뇌물혐의 중진에 도전장
앤디 김 미국 뉴저지주 하원의원이 지난 7월 27일 미국 워싱턴 하원 건물에서 열린 '한국전쟁 참전용사와 정전의 날 기념 리셉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뉴저지주(州)
-
한중관계 개선 열쇠는 중동에 있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2022년 12월 사우디를 방문해 빈 살만 왕세자와 만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2월 중국 외교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베이징을 방문하려던 토니 블링컨
-
푸틴 ‘가짜 깃발 작전’ 펴자, 바이든 기밀 흘려 ‘김빼기’ 맞불
━ [제3전선, 정보전쟁] 전쟁사 변곡점 우크라 정보전 〈하〉 러시아 군인들이 우크라이나 군인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군복에 러시아 국기와 휘장을 모두 떼어 냈다. [AP=
-
중국은 어떻게 아프간을 자기 편으로 만들려 하나
지난해 중국에 새로이 골치 아픈 숙제로 떠오른 나라가 있다. 아프가니스탄이다. 사진 셔터스톡 중국은 동아시아의 중심에 자리해 있다. 거기에 땅덩이까지 커서 무려 14개 나라와 국
-
[세컷칼럼] “7사단 철수 때 위기…박정희·존슨, 이명박·부시 최상 조합”
"소련의 수소폭탄은 파괴된 우리나라의 도시 위에 떨어지기보다도 오히려 먼저 미국의 대도시에 떨어질는지도 모를 일인 것입니다." "한국 전선은 우리가 승리하고자 원하는 싸움, 아시
-
"미7사단 철수와 촛불시위 때 동맹 최대 위기…박정희·존슨 찰떡 케미"[장세정 논설위원이 간다]
장세정 논설위원 "소련의 수소폭탄은 파괴된 우리나라의 도시 위에 떨어지기보다도 오히려 먼저 미국의 대도시에 떨어질는지도 모를 일인 것입니다." "한국 전선은 우리가 승리하고자 원
-
尹 "한국 '자유의 나침반' 역할 하겠다" 美의회 영어 연설 전문
윤석열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통해 “대한민국은 미국과 함께 세계시민의 자유를 지키고 확장하는 ‘자유의 나침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세컷칼럼] 한·미 동맹 70주년…믿음이 강화돼야 할 시간
동맹 70주년의 미국이 이번 주 윤석열 대통령을 국빈 초청했다. 141년 전 조미수호통상조약(1882년)의 1조는 ‘거중조정’ 약속이었다. “양국은 영원히 화평우호를 지키되 타국
-
[LIVE] 방미 귀국 尹, "한미동맹은 미래에 넘길 값진 유산"...바이든 "공통의 신념"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5박 7일간의 방미 일정을 위해 24일 출국, 30일 귀국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번 국빈 방문은 한국 대통령으로선
-
[최훈 칼럼] 한·미 동맹 70주년…믿음이 강화돼야 할 시간
최훈 주필 동맹 70주년의 미국이 이번 주 윤석열 대통령을 국빈 초청했다. 141년 전 조미수호통상조약(1882년)의 1조는 ‘거중조정’ 약속이었다. “양국은 영원히 화평우호를
-
바이든 정부 "아프간 철군 사상자는 트럼프 탓"…언론 "책임 전가"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 UPI=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과정에 대한 사후 검토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다. "미군을 아프간에서 철군시킨 바이든
-
교실 난입해 151명 인간사냥…"자업자득" 말 나온 테러의 땅 [지도를 보자]
아래는 한 국가의 지방 도시입니다. 어디일까요?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 힌트 「 ①소설 『연을 쫓는 아이』
-
탈레반 치하 '기적 탈출' 압둘…조선소 직원 된 그의 한국살이 1년
공항 앞에서 노숙, 생사를 건 탈출 한국살이 1년. 약사에서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직원으로 변신한 압둘씨. 김윤호 기자 압둘 와히드 아흐마디(50)는 2021년 8월 아프가니스
-
해리 왕자 "탈레반 25명 사살"…탈레반 “국제법정 회부해야”
영국 해리 왕자. 로이터 영국 해리 왕자가 자서전을 통해 아프간전에서 25명의 탈레반을 사살했다고 밝히자 탈레반 정부는 해리 왕자를 국제법정에 회부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
유럽 안보 전문가들 관측…“우크라전 올여름 휴전 가능성 있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푸틴 러시아 대통령. EPA=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의 휴전이 연내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독일군의 한 퇴역 고위장성이 내
-
[비즈 칼럼] 난민들의 새해 소원
조명환 한국월드비전 회장 우크라이나에서 온 나탈리아와 아이들은 올해 처음으로 크리스마스를 할머니 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보냈다. 매년 온 가족이 모였지만 이번 크리스마스는 그럴
-
탈레반 연계 수감자 33명, 파키스탄서 인질극 벌이다 사살
파키스탄 특수부대가 20일(현지시간) 반누에 위치한 대테러센터 앞을 총을 든 채 지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 파키스탄 탈레반(TTP)과 연계된 수감
-
美 대통령, 러 공작원 되다…트럼프가 부른 ‘라쇼몽 효과’ 유료 전용
하나의 사실을 서로 다른 입장에서 본질과 달리 해석하거나 인식하는 걸 ‘라쇼몽 효과’라 한다.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 감독의 영화 ‘라쇼몽(羅生門)’에서 유래했다. 요즘 미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