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영국교수의LOVETOOTH] 튀어나온 입 교정하려면

    미의 기준이 서구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몽골계 동양인이 ‘부당한 눈총’을 받는 부위가 입이다. 기능적으로는 전혀 이상이 없는데도 우리의 심미적 기준은 돌출입을 꺼려한다. 아름다

    중앙일보

    2008.04.04 00:53

  • 오래 사용할 임플란트, SCRP 즉시임플란트 유리해

    오래 사용할 임플란트, SCRP 즉시임플란트 유리해

    사고 등으로 치아를 잃어 임플란트를 하는 젊은이들이 의외로 많다. 젊은이가 임플란트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사용기간과 시술 시간에 대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2008.01.24 12:14

  • 입속 세균을 잡아라 - ③ 구강청결제

    입속 세균을 잡아라 - ③ 구강청결제

    입안 구석구석 플라크·치은염 제거 리스테린 등 구강청결제 사용 늘어 최근 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칫솔과 치실만 사용하던 사람에게 구강청결제를 추가로 사용하게 한 결과 플라크는 52

    중앙일보

    2007.12.18 16:53

  • [Family건강] 보철 재료 ‘눈부신 진화’ 인조다이아몬드 어떨까

    [Family건강] 보철 재료 ‘눈부신 진화’ 인조다이아몬드 어떨까

    금속에 세라믹을 입힌 보철은 잇몸 경계부위가 검게 보인다. 이에 비해 인조다이아몬드로 만든 보철은 자연니에 가깝다.  ‘싼프라치’. 아버지 세대에선 익숙한 치과 용어다. 썬프래티늄

    중앙일보

    2007.10.30 21:08

  • 개학.입학 전 입속건강 이것만은 챙기자

    개학.입학 전 입속건강 이것만은 챙기자

    3월은 입학과 개학을 시작하는 동시에 봄철 환절기이다. 이 때 춘곤증 등 학업 집중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많으므로 건강체크를 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황사와 꽃 알러지 등으로 인

    중앙일보

    2007.03.02 10:58

  • 도로 경계석 하나도 미관 고려, 행인 배려

    도로 경계석 하나도 미관 고려, 행인 배려

    볼라드(bollard)는 본래 부두에 정박한 배를 묶어두기 위해 설치된 나지막한 기둥을 일컫는 말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보행 구간으로의 차량 진

    중앙일보

    2006.12.06 04:25

  • 안깨지는 자연치아색 新임플란트

    안깨지는 자연치아색 新임플란트

    왼쪽은 생체 다이아 임플란트 시술 전, 가운데는 시술 후, 오른쪽은 임플란트 보철 완료 상태다. (뉴시스) 이가 빠진 자리의 턱뼈에 티타늄제 기둥을 심은 다음 그 위에 인공 치아를

    중앙일보

    2006.10.31 08:02

  • 황쏘가리도 팔자가 다르네

    황쏘가리도 팔자가 다르네

    같은 황쏘가리라도 한강에서 잡으면 천연기념물을 잡은 것이어서 처벌을 받지만 임진강 등 한강 외의 하천에서 잡은 황쏘가리는 좋은 매운탕거리다. 천연기념물 제190호인 황쏘가리(사진)

    중앙일보

    2005.05.20 05:54

  •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궁금증 I.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 되면서 일반인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2회에 걸쳐 치과에서의 임플라트 시술에 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1. 치과 임플란트란 어떤 것인가? 치

    중앙일보

    2004.12.02 09:37

  • 임플란트, 잘하면 생니 안 부럽다

    임플란트, 잘하면 생니 안 부럽다

    임플란트는 '제3의 치아'로 불린다. 틀니에서 시작된 인공치아가 보철에 이어 임플란트 시대로 넘어오는 것. 임플란트는 이의 구조를 흉내내서 개발됐다. 이뿌리에 해당되는 기둥(매식체

    중앙일보

    2003.06.10 13:27

  • 임플란트, 잘하면 생니 안 부럽다

    임플란트는 '제3의 치아'로 불린다. 틀니에서 시작된 인공치아가 보철에 이어 임플란트 시대로 넘어오는 것. 임플란트는 이의 구조를 흉내내서 개발됐다. 이뿌리에 해당되는 기둥(매식

    중앙일보

    2003.06.09 14:53

  • 치아수복의 새로운 혁명, 임플란트

    물이나 산소와 같이 중요하지만 그것을 잃어버리고 사는 것처럼, 우리는 흔히 치아의 중요성을 모르고 사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옛 사람들은 치아를 오복중의 하나 라고 하여 매우 중요

    중앙일보

    2003.04.04 13:45

  • 이런 분들께 임플란트를...

    ▣ 인공치아 관심, 고대부터 시작돼… 인공치아 이식에 대한 관심은 고대 이집트 유물에서도 발견되듯이 그 역사는 오래전 부터의 일이나 20세기초에 접어들면서 생체적합성 연구와 더불어

    중앙일보

    2001.12.18 16:22

  • 추리소설 읽으며 철학 지식 '쏙쏙'

    신간 『알도와 떠도는 사원』은 추리.환상소설의 얼개 속에 서양 근대 철학의 핵심 개념과 철학사적 지식을 녹여낸 국내 저자의 혼합형 소설이다. 현실과 환상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팬터지

    중앙일보

    2001.07.07 07:48

  • [신간 리뷰] '알도와 떠도는 사원'

    신간 『알도와 떠도는 사원』은 추리.환상소설의 얼개 속에 서양 근대 철학의 핵심 개념과 철학사적 지식을 녹여낸 국내 저자의 혼합형 소설이다. 현실과 환상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팬터지

    중앙일보

    2001.07.07 00:00

  • 왜 치아교정을 해야할까

    일반적으로 교정이라 함은 미적인 개선을 위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잇몸 건강과 구강의 기능 회복이라는 더 중요한 목적이 있다. 최근에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치아교정

    중앙일보

    2001.05.17 10:56

  • 인공치아매식술

    이가 빠지게 되면 우선 생각하는 것이 틀니와 같은 고정식 의치입니다. 그러나 틀니는 넣었다 뺐다 해야하며 음식물을 씹는 힘이 약하다는 불편함이 있어 왔습니다. 임플란트라 불리는 인

    중앙일보

    1999.05.04 10:45

  • 미래엔 어떤 의료기술 나올까 (상)

    1999년 ▶불소 필요없는 충치예방 백신 등장 ▶정상유전자 뇌세포 알츠하이머 환자들에게 삽입 ▶실험실서 모낭 배양 대머리에 이식 2000년 ▶암발생 35%, 사망율 50%감소 ▶부

    중앙일보

    1998.01.01 00:00

  • 치료계획-심미성.기능등 고려 우선순위결정

    우리가 건축을 하려면 그 기본설계가 중요하듯 치과 영역에서의치료는 진료의 특성상 섬세성과 예술적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기에합리적인 치료계획은 매우 중요하다.미국에서는 근자에 와서 많

    중앙일보

    1995.06.08 00:00

  • 금가거나 부러진 이

    수년 전 20대 초반쯤 되어 보이는 여자 환자가 내원했다.어느 튀김닭 체인점에서 닭을 먹다 이가 부러졌다는 것이다. 환자 생각에는 체인점의 부주의로 이가 부러진 것이 아닌가 해서

    중앙일보

    1995.06.01 00:00

  • 크라운 下.

    크라운을 씌운후의 치아형태는 앞니의 경우 그 사람의 얼굴 인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그리고 앞니는 크라운 끝부분이 일부회색빛처럼 비칠 수 있는데 이는 금속에 사기나 플라스틱을 입

    중앙일보

    1995.04.01 00:00

  • 크라운 上.

    크라운이란 말뜻 그대로 치아를 보호하거나 다른 보조적인 이유로 치아 상부를 어느정도 깎아낸뒤 금속이나 다른 재료를 써서 씌워주는 것을 의미한다. 크라운을 씌우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중앙일보

    1995.03.25 00:00

  • 전체틀니 下.

    전체틀니에 있어서도 그 환자의 얼굴형태나 연령.피부색등 여러가지 심미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 웃을 때의 선이나 환자의 교합상태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필자가 80년대 중반

    중앙일보

    1995.03.11 00:00

  • 전체틀니 上.

    치아를 전부 상실한 경우 전체틀니를 하게 되는데 악골의 흡수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치아가 다 있는 경우에 비해 대략25%가량 씹는 힘을 발휘한다.물론 심미성과 발음 개선에도

    중앙일보

    1995.03.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