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단장(斷腸)

    [분수대] 단장(斷腸)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난중일기』에 나오는 이순신 장군의 독백이다. ‘애’는 창자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끊는다라는 말이 붙었으니 한자어로 표현하자면 ‘단

    중앙일보

    2007.08.01 19:01

  • [week&쉼] 억새의 춤바람

    [week&쉼] 억새의 춤바람

    경남 창녕군 화왕산(火旺山.757m) 정상부의 억새 벌판에 갈 때는 이른 새벽 동 트기 전부터 산에 올라야 한다. 낙동강 물기운으로 산허리는 물론 정상의 하늘마저 안개에 휩싸여

    중앙일보

    2006.11.02 14:48

  • [들판에 서서 마을을 보네] 3. 끝없는 편력

    [들판에 서서 마을을 보네] 3. 끝없는 편력

    고려 선종 때의 시인이었던 김황원의 일화를 소설의 실마리로 잡았다. 당시 중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어서 누구나 다 기억하고 있던 일화였다. 김황원과 저 유명한 부벽루송(浮碧樓頌)이

    중앙일보

    2005.05.09 17:57

  • [김영택의 펜화기행] 장성 백양사 쌍계루

    [김영택의 펜화기행] 장성 백양사 쌍계루

    그동안 들러 본 절집 누각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물을 손꼽으라면 주저하지 않고 백양사 쌍계루를 들 것입니다. 백암산의 두 계곡이 합쳐지는 곳에 자리잡은 쌍계루가 백암산 정상의

    중앙일보

    2004.06.10 15:52

  • [인문·지성] 詩 빼앗으려 살인까지

    [인문·지성] 詩 빼앗으려 살인까지

    『논어』『맹자』만큼 잘 알려진 책은 아니지만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고전을 많이 번역해내는 사람이 있다. 임동석(53·건국대 중어중문학) 교수가 그인데, 이번엔

    중앙일보

    2004.04.30 21:06

  • 竹香 그윽한 소쇄원 '태평가' 한가락 제맛이로다

    竹香 그윽한 소쇄원 '태평가' 한가락 제맛이로다

    ▶ 담양 소쇄원 제월당 마루에 앉아 목청을 가다듬는 가객들. 앞줄 왼쪽부터 김광섭.김병오.이동규.문현.박문규.조일하.황숙경.이선경.홍창남씨, 뒷줄 왼쪽부터 김영기.이준아.이정규씨.

    중앙일보

    2004.04.20 17:16

  • [week& Leisure] 땅끝 해남, 春色에 물들다

    [week& Leisure] 땅끝 해남, 春色에 물들다

    지난주 후반 충청도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 때아닌 폭설이 내리고 한겨울 같은 추위가 몰아닥치는 바람에 계절이 잠시 거꾸로 가는 듯했다. 말 그대로 '봄이 왔으나 봄답지 않았다'(春來

    중앙일보

    2004.03.11 15:17

  • "황혼酒는 일상의 장엄한 잔치"

    "그대여 황하의 물이 하늘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보지 못했나/미친듯이 바다로 흘러 돌아오지 못하는 것을/그대여 거울 앞에서 백발에 탄식하는 것을 보지 못했나/아침에 파랗던 머리가

    중앙일보

    2002.09.04 00:00

  • 기암괴석·울창한 솔밭·은모래… 속초서 울산까지 '비경 릴레이' 7번국도 드라이브 코스로 최고

    속 초에서 울산까지 이어지는 동해안은 어디를 가나 맑은 바닷물에 고운 모래가 바닷가에 펼쳐져 있다. 특히 포항에서 영덕~울진~삼척~동해~강릉~양양군을 거쳐 속초까지 연결되는 국도

    중앙일보

    2002.07.10 00:00

  • 詩로 해가 뜨고 달이 지는 나라

    하늘이 높푸르다거나 산과 물에 꽃수를 놓은 비단이라거나 그래서 우리의 국토가 금수강산인 것은 아니다. 꽃피고 잎지고 눈 내리는 사시사철, 아침 해 저녁 노을, 차고 기우는 달빛까

    중앙일보

    2002.06.03 00:00

  • 소나무

    소나무는 우리 민족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나무다. 어디서나 눈에 띄는 소나무는 우리의 친근한 벗이었다. '소나무 아래서 태어나 소나무와 함께 살다가 죽는다'는 말이 과장이

    중앙일보

    2002.03.14 00:00

  • [펜화 기행] 선교장 활래정

    전국의 명승지마다 중심이 되는 곳에는 정자나 누각이 있으니 이는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 속에서 삶의 즐거움을 찾을 줄 아는 우리 민족의 특성입니다. 강릉 경포호수가 지금의 몇 배로

    중앙일보

    2001.06.15 07:51

  • 누각·정자 무더위 싹 가시는 쉼터로 각광

    무더위와 가뭄에 지친 농심(農心).이럴 때면 조상들은 경관이 좋은 계곡에 세워진 누각과 정자를 찾았다.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더위를 씻고 오순도순 정담을 나누다보면 피로가 싹 가신다

    중앙일보

    2001.06.15 00:00

  • [펜화 기행] 선교장 활래정

    전국의 명승지마다 중심이 되는 곳에는 정자나 누각이 있으니 이는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 속에서 삶의 즐거움을 찾을 줄 아는 우리 민족의 특성입니다. 강릉 경포호수가 지금의 몇 배로

    중앙일보

    2001.06.15 00:00

  • [즐거운 책읽기] 잔잔하고 묵직하게

    이번 주엔 읽기 편하고, 잔잔하면서도 묵직한 감동을 주는 책들을 골랐습니다. 다섯 권의 산문집과 한 권의 소설인데요. 이 한 권의 소설 역시 깊이 있는 에세이처럼 읽히는 글이랍니다

    중앙일보

    2001.05.15 16:34

  • '남도답사 1번지' 해남 매실농원 볼거리 풍부

    남도는 지금 봄이 한창이다. 유채꽃.개나리.목련.벚꽃 등 제주에서 시작된 화신(花信)이 다도해를 징검다리 삼아 남해안에 상륙했다. 중부지방에는 봄을 시샘하듯 꽃샘추위가 지나가곤 하

    중앙일보

    2001.03.28 00:00

  • [신간 리뷰] '나의 북한문화유산…'

    "천하의 금강산도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 '답사 9단' 유홍준(영남대.미술사) 교수가 아는 것이 오히려 병일 수도 있는 북한 답사에 대해 '제대로 알기' 의 원력을 담아 『나의

    중앙일보

    2001.02.17 10:02

  • [신간 리뷰] '나의 북한문화유산…'

    "천하의 금강산도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 '답사 9단' 유홍준(영남대.미술사)교수가 아는 것이 오히려 병일 수도 있는 북한 답사에 대해 '제대로 알기' 의 원력을 담아 『나의

    중앙일보

    2001.02.17 00:00

  • [삶과 문화] 서예 전통 시들어 가나

    예술의전당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서예 2천년전' (11일까지)은 근래에 보기 드문 대규모 서예전이다. 전시 제목 그대로 우리나라 서예의 전통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모처럼의 기획

    중앙일보

    2001.02.03 00:00

  • [삶과 추억] 서예가 고 은초 정명수 선생

    지난 9일 92세를 일기로 타계한 은초(隱樵)정명수(鄭命壽)선생은 추사체의 맥을 이어 온 한국 서예계의 거목이었다. 그가 60여년간 묵향(墨香)에 빠져 있었던 경남 진주시 상봉동

    중앙일보

    2001.01.12 00:00

  • [분수대] '서도(書道)정치'

    "퇴임후 강호를 유유히 넘나들며 묵향 속에서 글씨나 쓰면서 시인묵객(詩人墨客)처럼 살리라는 생각을 자주 했다. " 그제부터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자신의 서도전(書道展) 개막식에서

    중앙일보

    2000.12.06 00:00

  • YS "묵객으로 살려했지만 세상이 날 내버려두지 않아"

    김영삼(YS)전 대통령이 다음달 4~10일 부산(부산일보사 강당)에서 서도전(書道展)을 연다. YS는 '대도무문(大道無門)' '무괴(無愧)' 여민동락(與民同樂)' 등 퇴임 후 틈틈

    중앙일보

    2000.11.29 00:00

  • [부산은 지금… 축제의 바다]

    하얀 등대에서 내려다 보이는 바다는 나를 부른다. 깎아세운듯한 절벽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해안으로 굽이쳐 밀려오는 파도에 몸을 내맡기고 싶다. 그리고 한점 섬이 되고 싶다. 오늘

    중앙일보

    2000.10.18 00:00

  • [금주의 포커스] 문화와 예술로 보는… 外

    □ 문화와 예술로 보는… '조상의 음덕' 으로 잘 사는 나라는 단연 이탈리아. 어느 도시를 가나 고대 로마시대의 영광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곳, 그게 이탈리아다. 때문에 세계

    중앙일보

    2000.08.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