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삶과문화] 뉴요커와 서울라이트

    [삶과문화] 뉴요커와 서울라이트

     오늘의 조리법을 소개한다. 스키니 진과 스타벅스 커피, 홍대 클럽 하우스와 이태원 브런치 카페 수지스, 보잉 선글라스와 모토로라 휴대전화. 오늘의 요리는 그러니까 뉴욕 스타일이다

    중앙일보

    2007.06.29 19:40

  • [금융Plaza] 한국투자증권 外

    ◆한국투자증권은 미술품에 투자하는 80억 원 규모의 '서울아트사모특별자산2호'를 설정했다. PB고객 30명이 투자한 이 펀드는 서울자산운용이 운용을 맡는다. 서울자산운용은 국내 1

    중앙일보

    2007.06.06 19:31

  • [중앙시평] 국가 브랜드를 많이 만들자

    모유명 디자이너는 '이태'라는 말 뒤에 '리'자가 붙으면 핸드백 가격이 몇천 달러, '원'자가 붙으면 몇십 달러가 된다고 우스갯소리를 한 적이 있다. 사회교육 담당 기관의 어느 여

    중앙일보

    2007.05.03 20:15

  • '주식회사 미국'이 돌아왔다

    '주식회사 미국'이 돌아왔다

    2001년 말 에너지 거래 기업 엔론의 초대형 회계 부정 스캔들 이후 미국에 번졌던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가 상당 부분 걷히고 친(親)기업 정서가 되살아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2007.05.02 04:48

  • [글로벌아이] 자금성서 백기 든 스타벅스

    중국 베이징(北京)의 최고 명물이라면 천안문(天安門) 광장과 자금성(紫禁城)을 우선 꼽을 만하다. 특히 자금성은 명나라 3대 영락제(永樂帝)가 1407년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중앙일보

    2007.04.24 19:19

  • [흥미기획] 뜨는 포차, 지는 포차

    ▶늦은 밤 종로 거리를 가득 메운 포장마차와 젊은이들. 차가운 거리에 온기를 불어넣는 포장마차. 가장 서민적인 먹을거리를 제공한다는 포장마차의 아이템도 참 다양해졌다. 시시각각

    중앙일보

    2007.02.11 13:19

  • [새책] 호모 코레아니쿠스 外

    [새책] 호모 코레아니쿠스 外

    인문·사회 ◆호모 코레아니쿠스(진중권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304쪽, 1만3000원)=일제 시대부터 지금까지, 시대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하길 강요받았던 한국인의 자화상 변천

    중앙일보

    2007.01.20 06:28

  • [부자들이 공부하는 미국 경제의 비밀⑤] '아메리칸 드림'이 깨지고 있다

    ▶노동절인 올 5월 1일 미국에서는 히스패닉계를 중심으로 수백만 명이 참가하는 반(反)이민법 반대 시위가 벌어졌다. 현재 전체 인구의 3분의1이 유색인종이다. 미국은 정치와 경제라

    중앙일보

    2006.12.01 14:35

  • 스페인, 너는 자유다

    스페인, 너는 자유다

    작가로서 첫 도전장을 낸 손미나 아나운서 을 진행하면서 재기발랄한 ‘미나 공주’로 시청자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던 손미나 아나운서가 갑자기 텔레비전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1년 후,

    중앙일보

    2006.08.10 16:57

  • 된장녀, 뉴요커, 브랜드에 관한 진실

    요즘 '된장녀'라는 단어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다. 혹자는 허영에 대한 일침이라 말하고, 혹자는 흔해빠진 여성 비하의 하나로 치부한다. 트렌드의 한복판에서 우리나라를 볼 때, 어쩌

    중앙일보

    2006.08.09 16:57

  • [할리 미 대륙횡단기⑤] 몬타나 사막,더위와의 싸움

    [할리 미 대륙횡단기⑤] 몬타나 사막,더위와의 싸움

    오늘은 더위와 싸움이다. 엿새째 접어드는 미국 대륙 횡단에 모두들 지친 모습이 역력하다. 음식에, 시차에, 그리고 더위와 비바람이라는 자연과 싸워야 했다. 낭만 어린 정경을 감상

    중앙일보

    2006.08.02 10:38

  • 세계 휩쓰는 스타벅스 '커피 한잔'

    세계 휩쓰는 스타벅스 '커피 한잔'

    그는 뉴욕 브루클린의 빈민가 출신이다. 다닥다닥 집들이 붙어있는 공영아파트에서 남동생.여동생과 한 방을 쓰면서 케네디공항의 여객기 소음을 듣고 자랐다. 노동 일을 하던 아버지가 사

    중앙일보

    2004.01.28 17:52

  • [교양] '뉴욕 타임스 기자의 대당서역기'

    여행의 종착역은 어디일까. 번잡한 일상에서 잠시나마 벗어나는 여행의 기착지는 언제나 자신이다. 천하절경의 명승지로 떠나든, 사람들의 땀과 피가 엉켜있는 유적지로 향하든, 나그네는

    중앙일보

    2003.12.05 17:07

  • 금요일밤의 댄스 유혹 '라이브 바'

    앉아서 듣기만 하는 라이브는 재미가 없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외국 라이브 밴드 공연과 들썩이는 몸을 마음껏 흔들 수 있는 댄스가 가능한 라이브 바 베스트. ▶[갤러리] 유후~ 밤의

    중앙일보

    2003.10.16 17:28

  • [U대회 플라자] 하회탈 선물로 불티

    선수촌 쇼핑몰에서 가장 붐비는 곳은 스타벅스 커피숍이다. 두어평 남짓한 공간은 하루 일과가 끝나는 저녁이면 발을 들여놓을 틈이 없을 정도로 선수들에게 인기다. 선수들이 선수촌장에게

    중앙일보

    2003.08.28 18:39

  • [취업·창업] 희망업무 '맞춤 전략' 세워라

    [취업·창업] 희망업무 '맞춤 전략' 세워라

    CJ 인사팀의 신입사원 한지호(25)씨는 '직무중심' 취업전략으로 치열한 취업전쟁에서 살아남았다. 직무중심 취업전략이란 특정기업을 목표로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강점

    중앙일보

    2003.04.13 16:09

  • [일터] 江南北빌딩 자존심 대결

    [일터] 江南北빌딩 자존심 대결

    호텔 분위기 나는 대형 인텔리전트 빌딩들이 서울시내에 속속 들어서면서 일터 문화가 바뀌고 있다. 재래식 빌딩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 된 서울 강남의 스타타워 빌

    중앙일보

    2003.04.06 16:45

  • 美서 카드형 상품권 붐

    '기프트 카드(선물권), 너만 믿는다'. 경기둔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요즘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와 체인 레스토랑들이 선물권 영업에 거는 기대는 어느 때보다 크다. 선물권은 상

    중앙일보

    2003.03.13 18:01

  • 월드컵경기장서 영화 보고 쇼핑 하고

    2002 월드컵의 감동을 간직한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이 대형 할인점.복합상영관.휴식광장 등 쇼핑과 놀이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공간 '월드컵몰'로 재단장해 오는 5월 개장한다. 주

    중앙일보

    2003.03.12 19:00

  • [이코노 서가] '브랜드 마스터스'

    브랜드 마스터스/낸시 F.코엔 지음, 브랜드 앤 컴퍼니 옮김/ 세종서적, 1만6천원 "이것도 오렌지이고, 저것도 오렌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소비자의 80%가 오렌지라는 이

    중앙일보

    2003.02.23 16:54

  • [애드/마케팅] 인테리어 마케팅 전쟁

    파파이스 송파점의 김영미(29)점장은 요즘 얼굴에서 미소가 사라지질 않는다. 지난해 11월 매장 내부를 '헤리티지'형으로 바꾼 뒤 매출이 30% 가량 뛰었기 때문이다. 헤리티지는

    중앙일보

    2003.02.13 16:23

  • 미국 제일 일하기 좋은 기업 투자금융 '에드워드 존스'

    투자금융업체인 에드워드 존스가 경제전문지 포천이 선정한 미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업체로 선정됐다. 포천은 최신호(1월 20일자)에서 미 주요 기업 직원 4만여명을 대상으로 근무하

    중앙일보

    2003.01.08 18:43

  • [美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커피만 파는게 아니라 문화공간을 판다"

    12일 오전 9시 서울 역삼동의 '스타벅스' 매장. 낯선 외국인이 현관 문을 열고 들어서자 모닝커피를 마시던 고객 한 명이 물끄러미 쳐다보다가 선뜻 다가가 사인을 요청했다. 매장

    중앙일보

    2002.12.18 00:00

  • 기다린 그대… "떠나라"

    스키와 스노보드의 시즌이 돌아왔다. 강원도 평창의 용평·휘닉스파크 스키장이 지난주 개장했고 다른 스키장들도 12월 초까지 잇따라 문을 연다. 개장은 지난해보다 일주일에서 열흘 가

    중앙일보

    2002.11.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