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삽살개 土種 논-尹信根회장,서양개 개량종 천연기념물 재고

    천연기념물 368호 삽살개가 진짜 토종인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일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구회 윤신근(尹信根)회장은 최근 『삽살개가 순수토종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92년

    중앙일보

    1995.08.31 00:00

  • "삶의 현상" 로이 포터.레슬리 홀 共著

    성도착.그룹섹스.수간(獸姦).시간(屍姦).자위행위.이성애.동성애.양성애….성이 개방된 지금은 포르노잡지가 아닌 여성지에도 이런 성관련 용어들이 별다른 저항없이 등장하지만 서구에서도

    중앙일보

    1995.05.28 00:00

  • 美 대학사회 풍자소설 "무" 호평

    순수한 학문과 이상을 추구하는 대학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다른 어느 곳보다 탐욕과 오만이 가득찬 장소라는 것을 풍자한 소설 『무』(원제 Moo.Knopf刊.$24)가 최근 미국에서

    중앙일보

    1995.04.08 00:00

  • 土種돼지 원형복원 성공-富.多産상징새해의 吉兆

    멸종위기에 놓였던 토종돼지가 되살아나 그 맥을 잇게돼 을해년(乙亥年)아침의 길조(吉兆)가 되고있다. 부(富)와 다산(多産)의 상징인 토종돼지는 경제성이 뛰어난 개량종돼지에 밀려 8

    중앙일보

    1995.01.01 00:00

  • 인종 그실체-흑.백인 결정짓는 유전자는 없다

    「편협한 민족주의에서 코스모폴리턴의 세계로.」바야흐로 지구촌이 한가족되는 세계화의 시대다.과연 피부색과 언어를 달리한다는이유만으로 민족간에도 생물학적 우열의 차이가 존재하는가.미국

    중앙일보

    1994.11.25 00:00

  • 토종닭 사육으로 많은 수익올리는 율산농장 대표 권기봉씨

    『우리 입맛에 알맞은 토종닭을 보존하고 길러 내는 일에 평생을 바칠껍니더.』 10년째 재래종 닭을 길러내는 일에 몰두하고있는 경북안동군남후면광음리 율산농장 대표 權奇奉씨(35).

    중앙일보

    1994.08.27 00:00

  • 16.제주 조랑말

    한때 멸종위기를 맞았던 우리나라 유일의 토종말인 제주조랑말의혈통 정립을 위한 연구가 천연기념물 지정(86년2월8일.제347호)을 계기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한국마사회

    중앙일보

    1994.02.04 00:00

  • 10.산양-생산비 적어 국제경쟁력 충분

    90년 1차 농산물 수입자유화이후 올 7월까지 국내에는 외국산 양 2만4천8백70마리와 고기 3천7백8t이 호주와 뉴질랜드.미국등지로부터 수입돼 시판되고 있다. 수입 농.축산물의

    중앙일보

    1993.12.03 00:00

  • 6.닭-보존된 순수혈통 연산 오골계뿐

    원형을 잃은 토종 가축중 재래닭만큼 복원 사업.운동이 활발한것도 별로 흔치 않다. 서민과 친숙한 가축이면서도 가장 손쉬운 고기 공급원으로 애착이 깊숙이 스며 있기 때문일 것이다.

    중앙일보

    1993.11.05 00:00

  • 28.구티에레스 저,해방신학

    1971년 구스타보 구티에레스가『해방신학』이란 책을 출간했을때 전세계 신학계는 크나큰 충격을 받았다.왜 그의 책이 이토록큰 충격을 주었는가를 추적해 보는 것이 이 책이 어떻게 쓰였

    중앙일보

    1993.10.19 00:00

  • 3.한우 사라진 칡소.청정소.부덕소..

    리 한우의 고기맛이나 질이 세계적으로 뛰어나다는 사실을 아는사람은 그리 흔치 않다. 이 한우로 인해 한때 한국과 호주 사이에 통상외교마찰을 빚을뻔한 적까지 있었다. 쇠고기 수출국인

    중앙일보

    1993.10.15 00:00

  • 뛰는 직장인 - 곰팡이·효모기르는 "세균의 보모"

    유전공학 연구소의 연구기사 이문수 씨(31)는 세균의 보모요, 곰팡이 유치원의 원장이다. 그의 슬하에서 보살핌을 받는 미생물은 세균·곰팡이·효모 등 무려 7천여종. 이들은 세계각국

    중앙일보

    1993.01.07 00:00

  • 첨단과학기술 연구현장을 찾아서

    대덕연구단지내 한국화학연구소의 제3연구동 1층에는 국내 화학공업의 꽃이자 반도체로 불리는 촉매연구실이 자리잡고 있다. 촉매란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특정 화학반응의 경로를 선택해

    중앙일보

    1991.12.09 00:00

  • 일서 뿌리내린 한국도예 첫선

    임진왜란때 강제로 일본에 끌려간 조선도공의 후예 심수관씨(64). 4백년 가까이 우리의 혈통과 성을 지키며 도자기예술을 꽃피워온 심씨가계에 대해선 국내에 잘 알려져있지만 실제로 그

    중앙일보

    1990.06.12 00:00

  • 재소 한민족 동질성 보존 앞장

    【파리=홍성호 특파원】소련 중앙아시아 지방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한인사회에서 발간되는 순수 한글신문「레닌기치」가 지난 l5일 창간 50주년을 맞았다. 이란· 아프가니스탄·중공과 국경

    중앙일보

    1988.05.17 00:00

  • (166)남원 양씨

    동아시아의 패권을 놓고 한족의 대고구려와 지나족의 수·당 두왕조가 반세기에 걸쳐 혈전을 벌인 서기 7세기. 지나족이 낳은 일세의 영걸 당태종을 요동의 작은성 안시성에 30만 대군과

    중앙일보

    1986.11.27 00:00

  • 런던의 경사

    『골인! 찰즈, 하나만 더] 군중들의 환호 속에 이런 축구응원가도 있었다. 스페인에서 열리고 있는 월드컵 축구경기장의 외침이 아니다. 런던의 성 마리아 병원에서 태어난 왕자의 탄생

    중앙일보

    1982.06.23 00:00

  • 「조물주의 영역」을 노크하는 「양날의 칼」|GENETIC ENGINEERING 유전공학과 인류의 미래|철학과 과학의 대화

    김태길=흔히들 20세기를「과학의 세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과학으로 일관해 오신 이 교수께서도 그 점에는 동감이 신지요. 이태령=많은 과학자들이 금세기에 과학적인 업적이 대단했었

    중앙일보

    1982.01.01 00:00

  • 「가계수」교육

    미국작가 「앨릭스·헤일리」의 소설 『뿌리』 가 세계적인 선풍을 불러일으켰던 기억이 새롭다. 그것은 단순히 『재미있는 소설』의 경지를 넘어 인간의 근원적인 향수를 일깨웠던 점에서 그

    중앙일보

    1981.06.18 00:00

  • 진도 개 인공수정 성공|진도 문재창·김상일 교사,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는 진돗개의 인공수정에 성공, 순수 혈통보전에 한 걸음 다가갔다. 인공수정은 진도에서 근무하는 문재창(33·진도군 조도면 관사국교)김상일 (3

    중앙일보

    1978.08.01 00:00

  • 멸종위기…삽살개

    긴털이 눈을 가리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토착견 삽살개가 자연소멸, 멸종위기에 있다. 이 개는 70년부터 2년동안 한국토착견 혈통고정연구 「팀」(대표 탁련빈교수·전경북대·현서울대농

    중앙일보

    1975.10.17 00:00

  • 한국 백두루미 인공수타을 제의

    세계적 회귀조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202호인 두루미의 혈통을 계승시키겠다고 미국에서 창경원에 제의해왔다. 두루미의 범세계적 연구기관인 국제두루미재단 (ICF·미「위스콘신」주) 은

    중앙일보

    1974.05.09 00:00

  • 한국인과「멕시코」인은 같은 핏줄인가

    【멕시코시티=김영희 특파원】「멕시코」의「에체베리아」대통령은 김용식 외무부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먼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면 한국인과「멕시코」인들은 같은 핏줄을 이어 받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1973.09.04 00:00

  • 멸종위기의 한국 토종견 삽살개 혈통 고정에 성공|경북대학교 농대 연구반서

    경북대 농대 토착견 혈통고정 연구반은 멸종 위기의 토종견 삽살개를 조사, 그 혈통을 고정시키는데 성공했다. 69년이래 전국적으로 산간 벽지에서 수종의 삽살개 50여 마리를 조사한바

    중앙일보

    1972.07.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