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백 해리 전관수역·12해리 영해|8월께 대통령령으로 선포할 듯

    정부는 4일 해양법 대책위원회 자문위원회를 열고 12해리 영해 및 2백 해리 어업 전관수역의 선포시기·방법과 외무부가 마련한 관계법안의 시안을 검토했다. 회의는 12해리 영해 법

    중앙일보

    1977.05.04 00:00

  • 일측 해역에도 예외조치 없다

    일본정부가 한일대륙붕 공동개발 협정 비준 안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 2백 해리 경제수역 조기선포를 준비중인 정부는 한국·중공 쪽 해안에 대해서는 실시를 보류한 일본의 「2백

    중앙일보

    1977.04.26 00:00

  • (2)연안대국의 텃세

    73년5월「아이슬란드」의 수도「레이캬비크」에 있는 영국 대사관에 군중들이 몰려들어 돌팔매질을 하며「데모」를 했다. 이들은『신이여, 우리의 대구를 보호하소서』라는「플래카드」를 흔들었

    중앙일보

    1977.03.05 00:00

  • (5)한국에의 파장

    금년부터「비교우위」나 국제경쟁력이란 말이 갑자기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한마디로 말해 한국경제도 이제 좌표설정이 필요하다는 뜻이 된다. 이제까지 한국경제는 고도성장으로만 질주해

    중앙일보

    1977.02.03 00:00

  • 새 해양법시대

    이제 싫든 좋든 우리는 해양분할의 시대에 살게 되었다. 넓은 공해와 해양의 자유를 구가하던 선진해양국들마저 이제는 해양에 대한 폭넓은 국가관할권이란 개발도상국들의 주장에 동조하고

    중앙일보

    1977.01.12 00:00

  • 한·일 어업협정 폐기 불가피

    정부는 2백해리 경제 수역의 조기 선포를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을 세워 이 경우에 불가피해질 한·일 어업 협정의 전면 개정 또는 폐기 등의 사전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

    중앙일보

    1976.12.14 00:00

  • 75%가 노 젓는 어선|해난사고 계기로 본 동해안의 어로실태

    14척의 어선과 3백25명의 인명피해를 낸 동해 해난사고는 우리나라 어느 어장에서나 볼 수 있는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선박 력의 약소, 항만시설의 부족, 말로만 그치는 어로지

    중앙일보

    1976.11.12 00:00

  • 박 대통령 시정연설 요지

    우리는 이제 그동안 쌓아 올린 성과와 경험과 자신을 토대로 하여 내년부터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출범시키게 되었다. 이 계획이 끝나면 1981년에 가면 우리 경제규모는 크게

    중앙일보

    1976.10.04 00:00

  • 어획코터 특별배려

    【워싱턴=김영희특파원】한국과 미국은13일 미국의2백「마일」경제수역 선포에 따른 새 어업협정에 완전 합의했다. 두 나라 어로협상대표들은 이날 7일간의 협상을 마치면서 전문16조와 부

    중앙일보

    1976.08.13 00:00

  • 해양법회의 대비|정부 대위를 구성

    정부는 「뉴요크」에서 열리고 있는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 제5기 회의에서 새로운 해양질서가 확립될 것에 대비하여 정부가 취할 법령경비 및 관계국과의 여러 문제 등을 다루기 위한

    중앙일보

    1976.08.03 00:00

  • 경제수역 내 입어권 논의

    한미어업실무자회담이 8월5일부터 11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린다고 외무부가 31일 발표했다. 한미양국은 이 회담에서 한미어업협정개정문제와 미국의 2백 해리 경제수역 선포 및 수산자

    중앙일보

    1976.07.31 00:00

  • "「치어잡이」단속 시급하다"

    【충무=이성백기자】고기새끼가 돈이된다. 경남통영군한산도 산양면 일대의 어민들은 갯가 수초사이에 뛰노는 삼치·방어·참돔·황돔등 수출전략어종의 치어를 잡기에 여념이 없다. 일본양어업자

    중앙일보

    1976.06.28 00:00

  • 불안 속에 위축된 동지나해 출어|중공선박 위험 일·중공 공동 규제 수역 30마일 밖으로 후퇴|조기·병치·갈치 떼 등 눈앞에 두고도 못 잡아|"공해상조업방해는 불법" 어부들 대책 촉구

    우리나라 근해어선들의 황금어장인 동지나 해장에서 조업중인 어선들이 잇달아 중공선박들에 납치되고 있다는 소식에 이 해역을 주 어장으로 삼고있는 안강망·대형기선저인망업계는 중공의 부당

    중앙일보

    1976.06.16 00:00

  • 치어까지 마구 잡다니

    한치도 안 되는 새끼고기까지 잡아야만 수출목표가 달성된다면 차라리 수산물 수출은 안 하는 편이 낫다. 겨우 2㎝도 못 자란 치어들이 헐값으로, 그것도 일본업자들에게 넘겨지고 있다는

    중앙일보

    1976.05.28 00:00

  • 남해안 ?어 훑어가는 일 양어업자들

    【충무=이성백기자】 요즘 통영군 한산도등 남해안일대에는 일본양어업자들이 대규모로 몰려들어 영세어민들에게 미리 자금을 뿌려 삼치· 참돔· 광어등 수출전략어종의 치어(치어)를 잡도록해

    중앙일보

    1976.05.27 00:00

  • 미에 대한 수입규제 완화요청-한미 상공장관 회담 개막

    한미 양국간의 통상 및 경제협력 증진에 관한 현안문제 등을 폭넓게 협의하기 위한 제7차 한미 상공 장관회담이 22일, 상공부 회의실에서 열렸다. 한국 측에서 장예준 상공부장관, 미

    중앙일보

    1976.05.22 00:00

  • 폐수.기름으로 연안오염

    인천항을 비롯, 온산만.진해.마산만.부산항등 주요연안해역의 대부분이 각종 공장에서 흘러나오는 폐수로 수질이 크게 오염돼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수산진흥원이 조사, 농수

    중앙일보

    1976.01.27 00:00

  • 수자원보전지구 확대

    정부는 서 남해를 중심으로 수자원보전지구(블루벨트)를 대폭적으로 확대 지정할 방침이다. 25일 건설부와 수산청에 의하면 임해공업단지로부터 흘러나오는 각종 폐수 등 유기물질로 인해

    중앙일보

    1975.12.25 00:00

  • 47개면, 1월에 읍 승격-국회, 33개 법안 통과 15%이하 농지엔 다년생 식재 금지

    국회는 17일 본회의에서 「호적법개정안」「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개정안」「농지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개정안」등 33개 법안을 상정, 일사천리로 통과시켰다. 국회는18일에도

    중앙일보

    1975.12.17 00:00

  • 특정해역내 내외국선 어업 규제

    정부·여당은 현행 수산업법을 대폭 고쳐 국가안보나 어업의 보호조정을 위해 특정해역 안에서의 내외국선박의 어업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번 국회에 제출될 이 개정안은 국가

    중앙일보

    1975.10.25 00:00

  • 해양 오염 방지법 제정키로

    정부는 공장 폐수나 유해 물질 및 하수 폐기물에 의한 수산 공해가 날로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제도적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수산청이 21일 국회 농수산위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

    중앙일보

    1975.10.21 00:00

  • 어로장비의 과학화

    한·일간 어업협정이 체결된지 10년이 되도록 공동 규제 수역에서의 양국 근해어로 경쟁의 격차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우리측 연근해 어업의 영세성에 따른 어로장비

    중앙일보

    1975.09.05 00:00

  • 한산만을 「블루 벨트」지정

    정부는 한산만 해역 5백 68㎢를 수산자원 보전지구(블루 벨트)로 지정, 각종 공장건설과 공유 수면매립 등 해양 오염 행위를 규제했다. 13일 건설부에 의하면 국토이용관리법에 따라

    중앙일보

    1975.05.13 00:00

  • 미역 채취 제한 폐지

    매년 12월부터 다음해 2월말까지 미역채취를 금지해오던 제한이 폐지됐다. 2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수산자원보호령 개정안은 미역채취금지기간을 폐지하는 대신 꽃게는 10㎝미만의 것은

    중앙일보

    1974.12.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