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승만전대통령 사저 이화장,금반지등 유품 2점 도난

    22일 낮12시쯤 서울종로구이화동 이승만 (李承晩) 전대통령의 사저였던 이화장 (梨花莊) 입구 진열장에 들어있던 태극문양 2돈짜리 순금반지와 진주반지등 유품 2점이 없어진 것을 관

    중앙일보

    1997.11.24 00:00

  • 22일부터 난연합회 창립전 개최 - 제주시민회관

    청초한 자태.그윽한 향기.고고한 기품. 예로부터 사군자(四君子)중 하나로 선비들이 눈을 떼지 않았던 난초의 은은한 향기와 자태가 사람들을 손짓한다.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제

    중앙일보

    1997.03.21 00:00

  • 고려청자등54점 韓人이훔쳤다 日수집가,서울지검 수사요청

    일본에 사는 일본인 도자기 수집가가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등 국보급 도자기 54점을 한국인이 훔쳐갔다고 주장하며 한국 검찰에수사를 의뢰했을 경우 수사권 발동은 정당한 것일까. 서울지검

    중앙일보

    1996.12.30 00:00

  • 古文書 싹쓸이 절도 설쳐-지방門中.개인소장 괸리소홀 틈타

    최근 농촌지방의 고가옥(古家屋)을 대상으로 고서적이나 그림. 골동품등을 싹쓸이하는 전문절도범들이 설치고 있다. 피해품은 조상대대로 내려오는 물건들을 문중이나 개인이 보관해온 비지정

    중앙일보

    1996.12.22 00:00

  • 실종된 스트라바디우스를 찾아라

    20세기의 명바이올리니스트중 한사람으로 꼽히고 있는 미국의 에리카 모리니(91)여사가 지난 1일 사망하기 직전 그녀가 평생을 함께 해오다시피한 세계적 명바이올린 다비도프 스트라디바

    중앙일보

    1995.11.13 00:00

  • 日 미술系 지진대책 부심

    효고(兵庫)縣 남부 지진이 일어난지 한달이 되어가면서 엄청난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속속 밝혀지는 가운데 미술품도 상당한 피해를 본 것으로 밝혀져 일본의 각종 미술관.박물관들이 새삼

    중앙일보

    1995.02.16 00:00

  • 희귀문화재 2백점 도난-장서가협회장 소장품

    지난달 30일 서울성동구금호동1가1030 한국장서가협회장 辛永吉씨(70)집에 도둑이 들어 조선시대 고서화등 문화재 2백여점을 훔쳐갔다. 辛씨에 따르면 이날 오후3시쯤 외출후 집에

    중앙일보

    1994.07.02 00:00

  • 性관계땐 에이즈 통보해야/러 박물관 소장품 도난

    ■…미국 테네시주 채터누가의 한 법원은 8일 에이즈에 전염된사실을 알면서도 4명의 여자와 동침,이중 한명을 감염시킨 리처드 루이스 윌리엄스(27)에 대해『앞으론 섹스파트너에 서면으

    중앙일보

    1993.12.09 00:00

  • 이탈리아 예술품 도둑들 활개-매년 박물관 1개분량 증발

    이탈리아정부가 빈발하는 예술품 도난사고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매년 박물관 1개씩이 이탈리아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이야기될정도로 박물관.미술관.화랑.개인소장품등을 노린 전문절도범들의

    중앙일보

    1993.09.09 00:00

  • 향수로 미술품도둑 잡는다(지구촌화제)

    ◎불 경찰견이 잘 찾아내는 향개발/작품에 뿌려도 화학반응 안일으켜/소장가들 세금이 무서워 사용기피 그림도둑이 설치고 있는 프랑스에서 도난방지용 향기가 개발돼 미술품 도난수사에 세관

    중앙일보

    1992.08.30 00:00

  • 옥중서도 수억들여 “관리”/화제뿌린 이·장 골동품 반환

    ◎분신처럼 여겨 사람고용해 수시점검/“미술품 훼손된다” 습도장치까지 가동 이철희·장영자씨 부부에게 10년만에 반환된 서화·골동품 가운데엔 일왕성무의 친필을 비롯해 고려청자,운보·의

    중앙일보

    1992.05.15 00:00

  • 개인이 문화재 도록 펴냈다

    『발길에 채는 돌 하나, 풀 한 포기에도 선현들의 숨결이 스며든 것 같아 예사롭게 보이지 않습니다.』 2O여 년간 생업을 뒤에 두고 전국의 산하를 누비며 문화재 출토지를 일일이 현

    중앙일보

    1991.08.23 00:00

  • 퍼스컴·워드프로세서 보급확산|육필 원고 사라진다

    내필 원고가 사라져 가고 있다. 퍼스컴의 보급이 확산되고 전자 출판이 일반화되면서 절대이하의 작가·교수들이 대부분 육필대신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로 원고를 작성하기 때문. 출판사 입

    중앙일보

    1991.04.14 00:00

  • 국가관리 문화재 보험가입 외면|화재·도난사고에 "무방비"

    국가지정 문화재가 대부분 화재·도난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사고에 무방비상태이며, 때문에 사고후 복원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화재관리국은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보험가입에 필요한

    중앙일보

    1990.05.28 00:00

  • "미술품 보험 서두를 때 됐다"

    보험을 통한 미술품 보호가 사각 속에 갇혀있다·화랑 등 미술품 소장자 들은 보험가입에 크게 관심이 없고 보험회사는 그들대로 미술품을 대상으로 한 상품개발은 커녕 고객이 원하는 경우

    중앙일보

    1989.04.03 00:00

  • 역광선

    전두환씨, 속죄 사과 헌납 서울 떠나. 떠나가는 「전 삿갓에」 막 내리는 5공 역사. 국회청문회의 효과 또 하나 있어. 사의 속출로 요직 인사 숨통 트일 듯. 농협인들, 농협법개정

    중앙일보

    1988.11.23 00:00

  • 홍대박물관에 도둑|보물 등 39점 훔쳐가

    홍익대박물관에 17일 새벽 도둑이 들어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의사의 유묵(유묵)등 미술품과 도자기류·민속공예품 등 모두 39점의 소장품을 무더기로 털어 달아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중앙일보

    1988.11.23 00:00

  • 무방비 미술품 도난

    원로서양화가 남관씨(76)의 작품이 86년 네다바이 당한데 이어 최근 또다시 전시장에서 도난당하는 불운을 겪었다. 지난달 29일부터 예화랑에서 초대전으로 열리고있던 「푸른 회상」전

    중앙일보

    1987.11.05 00:00

  • "후세에 산 증거로 보존"

    전두환 대통령은 15일 상오 국립중앙박물관을 시찰한 자리에서『일제의 총독부청사였던 이곳 중앙청을 당초에는 헐어 버리자는 주장도 없지 않았지만 국민들에게 역사의식을 심어 주는 교육장

    중앙일보

    1986.08.16 00:00

  • 세계 미술품 한해 4만여점 도둑 맞는다 | 보험 가입 악용 돈 타내려 절도 많아 | 최근엔 테러 단체들의 "정치 흥정물" | 수집가·투기꾼 낀 범행도 잇달아

    【파리 주원상 특퍄원】 지난달 27일 파리 마르모탕미술관의 거액 미술품 도난 사건(싯가 약 1백 10억원 추산)은 테러리스트들의 소행일 가능성이 짙어져 파리 경찰이 바짝 긴장하고

    중앙일보

    1985.11.01 00:00

  • 래넌 사랑행위 사진|미섹스잡지 곧게재|부인 오노경고불구

    ■…미국의 성인용 잡지 스웡크지는 비틀즈의 리더로서 팬들의 우상으로 군림했던 고 「존·레넌」이 부인 「오노·요오꼬」와 사랑의 행위를 갖는 장면을 찍은 사진을 법적인 조치를 취하겠다

    중앙일보

    1983.07.28 00:00

  • 회화·도예사 연구에 큰 몫 기대-헌납한 동원미술관 소장품과 고 이홍근씨

    한국 3대 고 미술품 수장가의 한 사람인 고 이홍근씨의 동원미술관 소장 문화재 2천9백여점의 국가헌납은 한국문화사상 처음인 일대의 쾌거였다. 헌납문화재는 아직 정리되지 않은 것들까

    중앙일보

    1980.12.23 00:00

  • 백자등 17점 도난 관동대 박물관서

    【강릉】 이달들어 관동대학박물관에 도둑이 두번이나들어 청화백자난화문병등 모두 17점의 값진 소장품 (싯가5천만원)을 훔쳐갔다.

    중앙일보

    1979.12.19 00:00

  • 천금의 유산 「호남 문화」가 한자리에…|6일 문을 연 또 하나의 문화명소 국립 광주 박물관

    숱한 시인·묵객을 배출한 남도 서정의 본산 광주에 또 하나의 문화 명소가 모습을 드러냈다. 6일 문을 연 국립 광주 박물관-. 광주 시내를 한눈에 굽어보며 진산 무등산을 왼쪽으로

    중앙일보

    1978.12.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