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리산 중턱의 마암국민교 씨름서 2연패|가야산 쌍백 국민교도 여자농구 정상차지

    멀리 섬에서 올라왔거나 지리산 줄기의 벽촌에서 자라난 어린 새싹들이「스포츠」소년대회에서 연전연승,기적의 승전보를 장식하고 있다. 전북 옥구군 미면의 낙도로 부터 뭍에 상륙한 비안국

    중앙일보

    1973.06.04 00:00

  • 낙도 어린이들은 외롭지 않다|전남률도문교 l9명 「어린이날」의 환성|서독광부 아저씨들의 뜨거운 선물 한아름|망원경 들곤 육지보인다

    『와! 육지가 코앞에 보인다』-난생처음 망윈경을 만져보는 섬마을 개구장이들은 손에잡힐둣 다가와 보이는 듯 육지의 모습이 신기한듯「렌즈」에 눈을 댄체 저마다 잇달아 환호성을 터뜨렸다

    중앙일보

    1973.05.04 00:00

  • 모범어린이 11명 본사 견학

    3일 재8회 전국 모범 어린이 표창식에서 대한교육연합회 박동묘회장으로부터 표창을 받은 전광호군 (12·서울창서국민교6년) 등 11명(모두22중 11명은 지방에서표창) 이 대통령부

    중앙일보

    1973.05.04 00:00

  • 두메학교 지원

    깊은 산 속의 두메마을과 섬 마을에도 내년부터 그곳 국민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문명의 혜택이 가속도적으로 미치게 되리라는 소식이다. 『농어촌 학교의 교육 여건 개선책』이라는 이름아래

    중앙일보

    1972.10.30 00:00

  • (1)그들과의 대화(상)

    3차 적십자회담의 취재를 위해 평양에 머무르는 3박4일 동안 일행 54명은 그들이 안내하는 곳만 다녀야했다. 상대방의 안내에 따른다는 것은 양측 적십자의 합의사항이다. 제한된 시간

    중앙일보

    1972.10.27 00:00

  • 일 유배지서 마친 비운의 생애|「줄리아」…순절의 한국 여인|동경 남쪽 백70km 절해 고도

    『역사상 가장 잔인하며 또한 이유 없는 전쟁』 이었던 임진란에 고아가 돼 원수의 나라로 건너와서는 다시 일본 천하를 가름한 「세끼가하라」싸움에서 양부 소서행장을 잃어 이번에는 승자

    중앙일보

    1972.10.17 00:00

  • (2) 마산|조세핀 조

    태어난 곳을 고향으로 한다면 마산은 내 고향은 아니다. 하지만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가장 생생한 소녀기를 나는 마산에서 살았다. 한마리 바닷고기처럼 인광 (비늘 빛)이 반짝이는 내

    중앙일보

    1972.07.22 00:00

  • (25)「황소이장」 24년|경남 창원군 진북면 이목리 홍순백씨

    산골마을의 온갖 궂은 일을 도맡아 보살피기 24년. 말썽 많던 동네를 협동의 새마을로 바꾸어 놓았다. 경남 창원군 진북면 이목리(배나뭇골) 홍순백씨(51)는 「황소」별명을 지닌 이

    중앙일보

    1972.03.08 00:00

  • (8)낙도 개발교장 가덕도 장항 국민교 윤원강씨

    뭍으로부터 뚝 떨어진 낙도에 묻혀 11년째 분필 가루를 마시고 사는 섬 마을 교장 선생님 윤원강씨(49). 섬 학교로만 밀려(?)다닌 탓으로 섬사람들 사이에 처음엔 『실력 없어 좌

    중앙일보

    1972.01.13 00:00

  • 해녀의 섬 울리는 식수난|40여일째 목이 타는 북제주군 우도

    해녀의 선이라는 북제주군좌천 향우도 섬 마을은 개인별 식수 「카드」를 들고 물을 받으러 온 아낙네들과 이를 확인하려는 긴급 식수대책 본부 요원이라는 마을 청년들 사이의 말다툼으로

    중앙일보

    1971.11.18 00:00

  • 제1회 목포 서울 중앙 대역전 앞두고 (1)|제1구간 목포∼광주

    제1회 목포∼서울간 중앙대역전경주대회가 6월9일부터 정서 어린 남쪽항구도시인 목포를 출발하여 5일간 호남평야를 종단하여 13일 서울에 골인한다. 곡창과 풍류로 이름높은 호남평야는

    중앙일보

    1971.06.02 00:00

  • 「5·25」주자…후보들 24시간

    8대 국회를 향한 입후보자의 길은 여야를 막론하고 고달프고 분주하다. 새벽부터 찾아오는 유권자들의 성화로 눈을 떠 선거전략의 일일점검을 끝내고 잠자리에 들기까지 후보자들의 일과는

    중앙일보

    1971.05.17 00:00

  • 교육 신풍을 가정으로|여교사들 4월을 「자세 확립의 달」로

    교육 풍토 개선 신풍 운동에 나선 서울 시내 각급 학교 여교사들은 신풍 운동의 구체적 실천 사항으로서 잡부금 안 걷기, 「미니·스커트」 안 입기, 매니큐어 안 바르기 등 경박한 퇴

    중앙일보

    1971.04.02 00:00

  • (126)김찬삼 여행기 화령 쿠라소도에서 제2신|성의 환락장마다 마리아 상이

    서울 빌렘스타드 시에는 미니를 걸친 이 섬의 본토박이 여성들이 활보하고 있다. 미니는 백인이나 흑인이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통된 현상인 듯. 이 도시는 중단 무역항으로서 상품 값이

    중앙일보

    1971.02.04 00:00

  • (261) 「바캉스」계절… 산하 천리 굽이를 따라

    바캉스의 계절. 산과 바다가 손짓하는 등 더위에 지친 도시인들의 가슴을 부풀게 한다. 한달째 계속되던 장마 전선이 물러나고 25일부터 각급 학교가 모두 여름방학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중앙일보

    1970.07.28 00:00

  • 실의에 잠긴 황금평야

    영남과 호남의 황금평야를 할퀴고 간 수해는 농민들에게 아물 수 없는 큰 상처를 안겨다주었다. 한창 자라는 벼가 흙탕물 속에 1주일씩이나 잠겨 벼농사를 망쳤다는 농민들의 한숨 섞인

    중앙일보

    1970.07.24 00:00

  • (24)뜨거운 2등선실의 신혼부부|김찬삼 여행기

    「파당」에서 잠깐 여독을 푼뒤 육로로 서해안을 따라「벤쿨루」로 내려가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이 지역은 지금 우기여서 도로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마지못해 선

    중앙일보

    1970.04.29 00:00

  • 벽촌에 희사한 여름방학

    학생들은 클럽활동을 통해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는 좋은 체험을 얻는다. 성인이 된 후에도 학생시절의 클럽활동은 그 사람의 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인상깊은 추억이 되기도 한다. 외국

    중앙일보

    1970.04.14 00:00

  • (238)대성동에 졸업식이 있던 날

    여기저기 가시 철망만이 널려져있는 비무장 지대 안, 육지 속의 섬인 대성동 마을 국민학교는 12일 가장 조그마하면서도 가장 화려하고 축복 받는 졸업식을 가졌다. 졸업식장은 마을 언

    중앙일보

    1970.02.14 00:00

  • 섬마을 선생

    전남 서해안에서 12킬로떨어진곳에 후오라는 섬이있고, 거기서 또 좀 떨어져서 하왕준도가 있다. 지도에서도 보이지 않는 코딱지만한 섬이다. 여기에도 국민학교 분교 하나가있다. 학생3

    중앙일보

    1968.03.02 00:00

  • 내고장 새 풍토기

    남도지방엔 「살기 좋은 강·해남」이란 말이 있다. 이는 남도의 낙원이라는 강진·해남 두 고을을 두고 하는 말. 강진군은 포근한 다도해를 청윈처럼 고을의 눈 앞에 안고있다. 강진 군

    중앙일보

    1966.08.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