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74)|경무대의 사계 (1)||프롤로그

    경무대-. 세종로 1번지 대통령 관저의 사라진 옛 이름이라기보다 오히려 이승만 박사와 그의 통치l2년이 연상되는 이름이다. 경복궁의 일부로 연무장·과거장 또는 왕의 친정 장소로 쓰

    중앙일보

    1972.02.04 00:00

  • (191)방송 50년(20)이덕근

    이승만 박사가 해방직후 시민의 자격으로 귀국했을 때는 방송을 누구보다 아끼고 방송에 대해 이해가 깊었다. 이 박사는 방송시간이 10분이라면 9분 45초로 끝날 때까지 두 번이고

    중앙일보

    1971.06.28 00:00

  • (101)양식 반세기(8)|이중일

    나는 열차 식당의「헤드·웨이터」로 만주와 부산·서울·청진을 오르내리면서 나라 잃은 설움과 일본 제국주의의 횡포를 목도하던 끝에 철마 위에서 8·15 해방을 맞았다. 만주사변이 나

    중앙일보

    1971.03.09 00:00

  • (84)창군전후(3)|이경석(제자는 필자)

    나는 스마트라 섬에서 해방을 맞았다. 제25군이 주둔한 이 섬에서 철도부대에 소속해 있었다. 우리가 패전을 알리는 일본천황의 방송을 들은 것은 8월16일이었다. 제25군에서는 전도

    중앙일보

    1971.02.17 00:00

  • (150일)-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우리들의 전하 ▲관 무사씨 담=이찌가야(시곡) 의 사관학교에서 전하와 나는 영어의 클라스·메이트(동급반) 가 되는 광영을 가졌었다. 층층대로 된 교실의 맨 앞줄 책상 자리가 지정되

    중앙일보

    1970.11.02 00:00

  • (149)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육군대학에서는 전하는 나보다 2년 선배였는데 가끔 마술 시간이 함께 되어 외양간에서 마장으로 가는 도중에 만나 뵐 기회가 많았다. 그럴 때면 반드시 무언가 은화 하게 말씀을 해주시

    중앙일보

    1970.10.30 00:00

  • (133)|해방에서 환국까지

    민병기교수의 덕택으로 벼락감투를 쓰게된 우리들은 곧 일본으로 떠날 준비를 하게되었는데 악선재 윤 대비과 운현궁 흥친왕 비는 너무나 기뻐서 어쩔 줄을 몰랐었다. 그 중에도 나와함께

    중앙일보

    1970.10.12 00:00

  • 주사 민병기씨 통해 박정희 의장에 딱한 사정 호소

    영친옥의 한국을 위해서 애를 쓴 사람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그중에서도 진명여고 이세정, 숙명여고 문남식, 양정고교 엄경빈씨 등 교장선생들의 노고와 정성이란 이만저

    중앙일보

    1970.10.10 00:00

  • (123)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그토록 조국을 그리워하고 대비마마를 사모하는 지성에 감동하여 방자 부인도 남편을 따라서 한번은 마음먹었던 일본에서의 영주를 단념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결심을 하였는데 그때

    중앙일보

    1970.09.30 00:00

  • (113)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일석 변형태씨는 본래 영문학자로 고려 대학교육로 있던 것을 이승만 대통령이 발탁하여 필리핀대사로 임명한 것이 시초가 되어 외무부장관, 국무총리까지 역임했는데 당시 자유당정권으로서는

    중앙일보

    1970.09.16 00:00

  • (109)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보통 일본군인 같으면 패전 후에도 은급(일종의 연금)이라는 것이 있어서 죽을 때까지 약간의 생활비를 받건만 영친왕은 50평생을 일본군에 봉사해 왔는데도 불구하고 외국인이라고 해서

    중앙일보

    1970.09.11 00:00

  • 해방에서 환국까지|인간 이근(105)

    전기한바와 같이 소위 「구 황실재산처리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된 후 이대통령은 초대사무총국장으로 전주 이씨의 자기파 종손인 이병위라는 노인을 임명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경찰관출신의 윤

    중앙일보

    1970.09.07 00:00

  • (103)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스즈끼」(영목일)씨는 그때까지 한국에는 한번도 가본일 없는 사람이었다. 그렇건만 초대「출입국 관리국장」이 되고 보니까 일본의 출입국 사무란 대부분이 한국 사람에 관한 일이요, 모

    중앙일보

    1970.09.04 00:00

  • (94)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그같이「지미·김」(길준) 이나 홍사익 중장의 불행한 최후는 영친왕에게 크나큰 타격을 주었거니와 그 보다도 더욱 영친왕을 놀라게 하고 또 슬프게 한 것은 상해 임시정부가 와해되고 그

    중앙일보

    1970.08.25 00:00

  • (57)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8·15 해방이 되어 독립만세의 우렁찬 소리가 3천리 방방곡곡에 소용돌이칠 때 무엇보다도 먼저 필자의 머리에 떠 오른 것은 해외에 있는 망명영수들의 모습이었다. 미국의 이승만 박사

    중앙일보

    1970.07.11 00:00

  • (55)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고 왕실에 지극히 충성된 충정공 민영환 선생이 세상을 떠난지 얼마 아니 되어서 한가지 전무후무한 기적이 발생하였으니, 그것은 선생이 자결하신 피묻은 옷에서 「혈

    중앙일보

    1970.07.09 00:00

  • (54)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05년 (광무 9년) 8윌8일에 미국 포트머드에서는 미국 대통령 「디어도·루스벨트」의 중재로 일로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는데 그 틈에 제2차 일영 동맹이 체결되어 그 조문에 한국

    중앙일보

    1970.07.08 00:00

  • (48)해방에서 환국까지

    민규수는 그후 해방되던 다음해인 1946년 5윌에 귀국하였는데 그 경위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그것은 바로 8·15해방 전날밤의 일이었다. 당시 상해는 폭격도 뜸하고 공습도 별

    중앙일보

    1970.07.01 00:00

  • (45)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일행이 구라파여행을 떠난 것은 1927년 5월이었는데 그보다 7년전인 1920년 6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발행되는 불문잡지 자유대한(La Coree Libre)에 『강제결혼』

    중앙일보

    1970.06.27 00:00

  • (44)해방에서 환국까지

    당시 상해에는 마침 민규수가 와 있었다. 민규수란 다시 말할 것도 없이 황태자비로 간택되어 영친왕과 약혼을 했다가 총독부의 등쌀로 파혼을 당한 민갑완여사인데, 나어린 사내동생(민천

    중앙일보

    1970.06.26 00:00

  • (43)해방에서 환국까지

    상해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 직후에 중국에 망명해있던 지사들이 모여서 만든 정부로, 말하자면 해외에서 조국의 독립을위해 싸우는 가장 큰 조직체였다. 초대대통령은 이승만박사였

    중앙일보

    1970.06.25 00:00

  • (24)해방에서 환국까지

    1907년은 구한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기가 된 해이니 역사상 유명한 해아밀사사건이 발생한 것이 그해 6월이요, 그 일로 말미암아 고종황제가 양위를 한 것이 7월20일이요, 영

    중앙일보

    1970.06.03 00:00

  • (12) 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내가 동경에 가서 처음으로 영친왕을 뵈었을 때 전기 「윤 대비와 피치박사」의 이야기를 하였더니 영친왕은 만면에 웃음을 머금고 『그럴 거야, 그럴 거야, 대비마마 같으면 그렇게 하실

    중앙일보

    1970.05.20 00:00

  • (9)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바로 그 무렵에 나는 볼일이 있어서 동경으로부터 임시수도 부산에 온 일이 있었는데 영친왕에 대한 일반의 인기는 대단한 바가 있었다. 그것은 미지수에 대한(호기심과 자칫하면 바닷속으

    중앙일보

    1970.05.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