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구획정리사업 재검토해야-서울시

    서울시가 최근 5년 동안 역점사업의 하나로 벌인 총 19개 구획정리사업지구 중 12개 지구가 이번 폭우로 침수, 서울시의 구획정리사업은 하수시설 등 내수처리문제를 다시 검토하지 않

    중앙일보

    1972.08.24 00:00

  • 기습폭우에 허 찔린 한강치수 47년만의 대홍수…그 수방대책의 문제점

    18일 한강범람의 대홍수는 한강연안의 수해대책에 대한 안이와 요행의 허를 찔렀다. 한강은 항상 마음놓을 수 없게 수도서울과 그 일대를 위협하고있다. 중부지방에 대한 강우량의 특성으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영등포만 32명 사망

    ▲19일 상오 8시40분쯤 서울 영등포구 노량진동 산12 조을보씨(58)집 뒷산이 무너져 조씨의 2살 된 아들이 죽고 부인 안춘자씨(40) 등 4명이 중상. ▲19일 상오 4시쯤

    중앙일보

    1972.08.19 00:00

  • 동?인부 돈뜯어온 폭력단9명을 입건

    서울동부 경찰서는 25일 한강변 모래채취장 인부로있으면서 폭력단을 조직, 다른 인부들에게 주먹을 휘두르며 돈을 뜯어온 「압구정」파 두목 이희준(52·서울 영등포구 잠원동1)과 김정

    중앙일보

    1972.05.25 00:00

  • 미지근한 수방 대책 위험축대 등 210개소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예상되는 침수지역 위험축대 낙반사태 위험지구 도괴우려건물 등이 수방 당국의 미지근한 처사 때문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서울의 경우 비 피해가 예상되는 각종 위

    중앙일보

    1971.06.28 00:00

  • 하동의 함정…하상 웅덩이|잇따른 익사사고의 예방과 문제점

    수영 철에 접어들면서 한강 일대의 웅덩이에서 어린이들이 빠져 죽는 일이 잦아 대책이 시급히 바라지고있다. 이 같은 웅덩이는 업자들이 모래나 자갈을 채취하기위해 한강 밑바닥을 벌집처

    중앙일보

    1971.06.09 00:00

  • (2)급수

    서울 시내의 현재 급수전 수는 모두 33만1천8백22전. 이중 가정용은 29만6천3백22전이고 영업용이 2만9천1백84전, 나머지는 공업용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하는 수도전이다. 지

    중앙일보

    1971.04.15 00:00

  • 변두리도 시내 집 배구로

    체신부는 서울시 변두리 지역의 우편 배달 업무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시외 우편 집 배구 1백12구를 시내 집 배구로 편입, 1일 2회 배달키로 했다. 집 배구 개편 대상 지역은

    중앙일보

    1971.03.16 00:00

  • (4)흐려진 고발정신, 검거 늦어지는 원인

    뺑소니 운전사가 늘어나는 것은 일단 사고 현장을 벗어나면 잘 잡히지 않는다는 생각이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생각은 일반적으로 시민의 고발정신이 흐려 직접 이해 관계자가 아니

    중앙일보

    1971.01.23 00:00

  • 구별 새마을 가꾸기 사업 내용

    ◇노량진l동 ▲1백99 (13통) 도로포장 ▲2백13∼산8 도로포장 ▲2백13∼2백14 도로포장 ▲공동 수도 보수 ▲공동 우물 보수 ▲2백14 하수도 보수 ▲2백15 (3통) 도로

    중앙일보

    1970.12.16 00:00

  • (11)성동구 사평 지구

    경기도 언주면 신사리·학리·논현리·압구정 리가 지난 63년부터 서울시성동구로 편입되면서 신사동·학동·논현동·압당정동이 되었다. 이 4개의 동을 합쳐 사평 동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중앙일보

    1970.11.03 00:00

  • 57개 지역 확정

    서울시는 8일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변두리 57개 지역 9천7백10가구에 올해 안으로 전기를 가설키로 했다. ◇성동(19개 지역 2천7백3호) ▲명일동 ▲고덕동 ▲상일동 ▲하일동

    중앙일보

    1970.09.09 00:00

  • 70년대를 향하는 남서울|영동2지구·잠실섬 개발 청사진

    인구 분산을 위한 남서울 개발계획이 확정, 발표되었다. 양탁식 서울시장은 16일 영동 제2지구와 잠실지구 5백41만평을 4개년과 2개년에 걸쳐 각각 개발, 현대적인 타운을 세우겠다

    중앙일보

    1970.06.18 00:00

  • 투기장화 강남|[남서울 계획] 바람 타고

    서울의 인구 분산, 남서울 계획등의 바람을 타고 최근 제3한강교로 연결되는 말죽거리 일대, 제6한강교 건설후보지로 소문난 뚝섬 건너편 청담·삼성동일대서 부동산 업자들 끼리의 이익

    중앙일보

    1970.01.23 00:00

  • 위기 가득…서울의 나루터|이수교사고의 교훈

    서울의 나루터에는 이수교익사 사고와 같은 위험을 항상 안고 있었다. 서울시가 한강의 지류에 다리를 놓아야할 곳은 50여군데. 나루터만 10여군데. 나룻배를 타야만 도심에 들어오는「

    중앙일보

    1969.08.09 00:00

  • 전국 사망·실종 백20명

    중앙재해대책본부는 지난7월30일부터 내린 폭우로 4일하오3시 현재 사망1백3명,실종 17명,부상69명,이재민2만5천9백24명이 생겼으며 재산손실은 총13억8백만원에 이르렀다고 발표

    중앙일보

    1969.08.04 00:00

  • 중부·영동에 수해|33명 사망 7명 실종

    30일과 3l일새벽 사이 서울을 비롯한 중부·영동지방에 집중폭우가 내려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에서 13명이 익사하는등 33명이 죽고 7명이 실종, 20여명이 부상, 5천5백49명의

    중앙일보

    1969.07.31 00:00

  • 어제하루 5명 익사…서울

    일요일인 14일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날씨는 시원했으나 많은 시민들이 한강으로 몰려 5명이 빠져죽고 39건의 교통사고가나 3명이 죽는 등 어수선 했다. ▲13일 하오2시쯤 김철환씨(

    중앙일보

    1968.07.15 00:00

  • 배뒤집혀 노인익사

    24일하오1시쯤 서울용산구과성동39앞 한강에서 모래와 자갈을 나르던 나룻배가 뒤집혀 김만석씨 (55·영등포구 잠원동187)가 빠져 죽었다.

    중앙일보

    1968.04.25 00:00

  • 6개 동 구획정리

    서울시가 계획중인 영등포구동작동·서초동·양재동·반포동·잠원등·방배동 등 6개 동 일부지역에 대한 구획정리가 15일 기공됐다. 총 11억원의 규모로 착수된 남서울개발계획은 우선 3억

    중앙일보

    1967.12.15 00:00

  • 규모·노선 재조정|경부고속도로

    서울∼부산간 고속도로 건설착공(2월초 계획)을 2개월 앞둔 14일 현재까지 정부는 이 사업의 규모, 노선 등을 확정짓지 못하고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0월7일 박 대통령의

    중앙일보

    1967.12.14 00:00

  • 남서울 구획정리에 착수

    서울시는 오는15일을 기해 시내 영등포구동작동·서초동·양재동·반포동·잠원동·방배동등 6개동 일부지역에대해 도시건설토지구획정리사업에착수, 이날부터 대상지역에대한 지목변경행정을 동결한

    중앙일보

    1967.12.13 00:00

  • 한강하류, 연중 위험지 설정

    서울시는 다가오는 봄철과 여름철의 수해를 방지하기 위해 한강 하류지역의 상습범람 지역을 연중 위험지역으로 설정, 비가 시간당 1백「밀리」이상 내리면 경계태세에 들어가도록 하는 올해

    중앙일보

    1967.05.03 00:00

  • 전화없는 동사무소 없애

    체신부는 서울시 내에 1백 2개 동이나 되는 전화 없는 동사무소를 없애기로 결정, 그중 우선 오는 6월 안으로 65개 동에 전신·전화 취급소 또는 공중 전화를 시설키로 했다. 또한

    중앙일보

    1967.03.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