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노소간의 대화·게임

    한국노년생활연구소는 20일하오1시 서울동숭동 대학로에서 「노인과 젊은이의 만남」 을 실시한다. 대상은 50세이상 노인 3백명과 젊은이며 노소간의 대화· 포크 댄스·파트너 게임등의

    중앙일보

    1986.04.18 00:00

  • 민추의장단회의 참석 김영삼씨를 강제철수

    김영삼민추공동의장은 15일 서울동숭동「밀다원」찻집에서 민추협의장단 회의를 열려고 했으나 서울대학로 샘터사 앞길에서 경찰에 의해 강제철수조치를 당했다. 경찰은 이날 상오9시30분부터

    중앙일보

    1986.02.15 00:00

  • (4)문화공간이 분산된다

    지하철 개통과 함께 새로운 문화 예술의 거리가 곳곳에 들어서「문화공간」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새로 등장한 문화공간은 크게 나눠 신촌일대·동숭동대학로·관철동 및 종로2가·강남일대.

    중앙일보

    1985.10.08 00:00

  • 4317주년 개천절

    제4317주년 개천절 경축식이 3일 상오10시 세종문화회관에서 전두환대통령을 비롯, 이재형국회의장, 유태흥대법원장등 3부요인과 각계인사등 4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또 이날

    중앙일보

    1985.10.03 00:00

  • 가을문화마당"어찌하여 디스코·팝송만 판치나…"|우리문화를 찾자. 고교생들의 잔치 「샘물제」

    청소년들이 모여 팝송이나 브레이크댄스보다는 우리 민요를 부르고 탈춤을 추자는「우리 청소년문화」의 창조를 선언하고 나섰다. 초가을바람이 서늘하게 불어오는 8일 하오2시, 젊음의 거리

    중앙일보

    1985.09.10 00:00

  • 달아난 22명 수배

    서울동대문경찰서는 9일 서울동숭동 대학로를 무대로 남녀 중·고생과 부녀자들로부터 금품을 빼앗고 부녀자를 추행해온 10대 폭력단 마로니에파39명 가운데 최모군 (17·고2중퇴) 등

    중앙일보

    1985.07.09 00:00

  • 대학로 놀이판 여전

    김미영 이미 서울 동숭동「대학로」에서 젊은이들이 벌인 난잡한 행동파 편싸움 등이 신문에 보도된바 있다. 이 같은 것은 같은 젊은이로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난 일요일 밤

    중앙일보

    1985.06.10 00:00

  • 「풍류마당」의 문제점…Y논단 | "대학로가 「놀이판」이 돼서야"

    모처럼 마련된 서울동숭동대학로의 풍류마당이 오물과 악취가 진동하는 난장판이 될바에야 차라리 없애는게 낫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있는 가운데 서울YMCA는 20일 특별시민 논단을 열고

    중앙일보

    1985.05.23 00:00

  • 문화예술의 거리 대학로 1㎞|5일부터 일반에 공개

    혜화동네거리에서 이화동네거리에 이르는 1㎞의 대학로 일대가 「문화예술및 낭만의 거리」로 조성돼 어린이날인5일 개방된다.(관련기사10면) 서울시는 이를 위해 혜화동쪽 낙산가든과 이화

    중앙일보

    1985.05.02 00:00

  • 서울에 예술의 공간이 늘어난다|새문화명소 "우뚝우뚝"

    서울의 문화공간이 크게 늘면서 새로운 문화가 가 형성되고 있다. 올들어 개관되거나, 될 예정인 공연장·미술관·화랑등은 어림잡아 벌써10여 개가 넘는다. 공연장은 호암아트홀·산울림·

    중앙일보

    1985.05.02 00:00

  • 「명성」은 은행대리가 움직였다|의외의 "돈줄"로 풀린 「콘더재벌」 미스터리

    명성그룹 탈세사건 전모가 빌표되고 김철호회장등의 구속이 집행된 17일 대검 중앙수사부는 긴장감이 감돌았고 명성그룹 본사등은 침울한 분위기속에 철야간부회의를 여는등 부산하게 움직였다

    중앙일보

    1983.08.17 00:00

  • 전시회

    ▲제8회 대학로 서양화전 =6일까지 경운동 한국 아탑 미술관 ▲제1회 용마루모임 건축 작품전 =6일까지 종로2가 예총 회관 ▲오광태 사진전 =6일까지 부산 로타리 전시관 ▲하?직

    중앙일보

    1981.09.04 00:00

  • 연극

    ▲극단「실험」『들소』(이문열작 윤호진 연출)= 5일까지 (하오4시30분· 7시30분) 동숭동 문예회관 대극장 ▲극단「창고」『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베케트작 박은희연출)= 6일까

    중앙일보

    1981.09.04 00:00

  • 주한외국인 유학생실태|한국말 배우는게 최대의 난계

    67년 정부가 외국인 장학생을 초청하기 시작한 이래 우리 나라에 와서 석·박사과정을 이수하고 귀국했거나 이수중인 외국인은 모두 92명(자비유학생 제외). 이들 중 이제까지 학위를

    중앙일보

    1981.02.17 00:00

  • 「마로니에」문리대 터가|「문화의 거리」로 탈바꿈

    구 서울 문리대 자리에 들어선 문예진흥원 건물을 중심으로 동숭동일대에 새로운 문화시설이 잇달아 세워져 종로5가∼혜화동에 이르는 길은 문화가로 서서히 탈바꿈하고 있다. 19일에는 교

    중앙일보

    1979.05.19 00:00

  • "유서깊은 옛 대학가를 호화주택에서 보상하자"|서울시, 구 문리대·법대자리에 공원계획|"분할상환으로 인도"요청|좌절되면 재산세·취득세등 중과,「개발지구」지정취소

    주택공사가 전 서울대 문리대부지와 사대부지를 단독 주택단지로 조성, 일반공매할 방침을 세우자 서울시는 7일 동숭동 문리대자리와 서울대가 소유하고 있는 전 법대자리를「시민공원」으로

    중앙일보

    1975.11.07 00:00

  • 40여 일로 다가온 서울대 이전|관악 캠퍼스 얼마나 진보됐나

    서울대학교의 이전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섰다. 오는 12월이면 동숭동「캠퍼스」에서 관악「캠퍼스」로 옮겨가는 것이다. 국립서울대 설치 령에 따라 문을 연지 28년만에 이끼 낀 벽돌건

    중앙일보

    1974.10.21 00:00

  • 잃어버릴「마로니에」추억 찾는 행렬들

    샛노란 은행단풍의 아름다움이 절정에 다다른 서울대 문리대 교정 내년 봄부터는 폐쇄되는「캠퍼스」모습을 잊지 못해하는 학생·교수·선배들이 마지막 늦가을 풍경을 사진에라도 담으려고 기념

    중앙일보

    1973.11.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