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피플@비즈] “교수도 능력 모자라면 중도퇴직 시킬 것”

    [피플@비즈] “교수도 능력 모자라면 중도퇴직 시킬 것”

     “우리나라처럼 얼마 되지 않는 연구비를 각 대학에 골고루 나눠줘서는 세계 일류 대학을 만들기 어렵습니다. 세계에서 제일 잘 나가는 대학은 미국에 몰려 있는데 연간 예산만 2조원이

    중앙일보

    2007.07.10 19:40

  • [르포]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세계 빅3로 성장한 비결은

    [르포]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세계 빅3로 성장한 비결은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보스턴 연구개발센터 전경.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 공대(MIT)를 앞세운 보스톤 바이오 클러스터가 세계 바이오 원천기술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198

    중앙일보

    2007.05.24 18:53

  • KAIST '창조적 리더십' 교육

    KAIST '창조적 리더십' 교육

    "과학지식 탐구에만 몰두하는 '공부기계'는 곤란하다. 리더십과 인성을 갖춰야 창조적인 미래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 과학기술 인재 양성 기관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서남

    중앙일보

    2007.04.27 04:35

  • "KAIST 신입생 선발 성적순 아니라 인성·창의력으로"

    "앞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신입생은 성적순이 아니라 인성과 창의력을 보고 뽑겠습니다." 서남표 KAIST 총장은 19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리더스 포럼에

    중앙일보

    2007.04.20 04:46

  • KAIST 교수님의 'IT 혁신 실험'

    KAIST 교수님의 'IT 혁신 실험'

    KAIST 조동호(사진) 교수 겸 IT융합연구소장은 요즘 새로운 실험을 하고 있다.'연구 특공대' 격인 IT융합연구소를 최근 설립,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정보통신 신기술 개발에

    중앙일보

    2007.04.20 04:41

  • 대학 영어강의 몸살 앓는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의 2007학년도 신입생 600여 명 중 280명은 1월 말까지 2개월간 해외 영어연수를 다녀왔다. 학교 측이 마련한 어학연수 프로그램이었다. 캐

    중앙일보

    2007.02.15 17:09

  • KAIST 첫 명예박사 학위 4명의 공통점은 …

    KAIST 첫 명예박사 학위 4명의 공통점은 …

    정문술(68) 전 미래산업 회장이 2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위 수여식에서 KAIST 개교 이래 첫 명예 박사학위를 받는다. 이종문(78) 미 암벡스 회장, 박병준(72)

    중앙일보

    2007.02.02 04:58

  • "지식은 실패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지식은 실패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사회 = 박방주 중앙일보 과학전문기자 최근 한국 정부 관료와 화상 토론을 벌였던 잭 웰치 GE 전 회장은 "한국에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이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꼬집었

    중앙일보

    2007.01.02 04:35

  • 중앙일보 선정 2006 새뚝이 과학기술

    중앙일보 선정 2006 새뚝이 과학기술

    올해 과학계는 우울한 소식으로 시작했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가짜라는 사실이 최종 확인되면서 한국 과학계의 신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그러나 재미동포

    중앙일보

    2006.12.22 04:37

  • "바이오 연구 근면한 한국인에 적합"

    "바이오 연구 근면한 한국인에 적합"

    왼쪽부터 임상규 과기부혁신본부장, 정재웅 하버드의대 교수, 서남표 KAIST 총장, 김우식 과기부총리, 데니스 최 보스턴대 교수, 김신제 루이빌대 교수, 신희섭 KIST 박사, 강

    중앙일보

    2006.12.09 04:55

  • KAIST 12년 만에 실업계 학생 뽑아

    KAIST 12년 만에 실업계 학생 뽑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12년 만에 실업 계열 학생이 입학하게 됐다. 성적만이 아니라 '가능성'까지 보고 신입생을 선발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경기도 하남시 한국애니메이션고

    중앙일보

    2006.11.30 04:34

  • [JERIReport] 과학기술계 실속없는 논문 건수 늘리기

    통계와 그래프는 참 묘하다. 똑같은 현상인데도 어느 부분을 추려 통계를 잡고, 어느 부분을 강조해 그래프를 그리느냐에 따라 해석과 느낌이 크게 달라진다. 마치 달동네를 개발하기

    중앙일보

    2006.10.10 19:28

  • [바로잡습니다] 9월 25일자 33면 월요 인터뷰 기사 중

    9월 25일자 33면 월요 인터뷰 'KAIST 확 바꾸는 서남표 총장' 기사 중 서 총장이 미국으로 이민 가기 전 2학년까지 다닌 고교는 '경기고'가 아니라 '서울사대부고'입니다.

    중앙일보

    2006.09.26 04:43

  • 위·아·자 나눔장터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 서울=▶강현석 고양시장 ▶권영진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기춘 서울시 환경국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미화 방송인 ▶김보연 탤런트 부부 ▶김순직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김영선

    중앙일보

    2006.09.25 04:41

  • [월요인터뷰] KAIST 확 바꾸는 서남표 총장

    [월요인터뷰] KAIST 확 바꾸는 서남표 총장

    한국의 대표적인 이공계 대학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서남표(사진) 총장 취임 후 개혁바람에 휩싸였다. 그가 학교운영의 책임을 맡은 지 두 달여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가 이

    중앙일보

    2006.09.24 20:42

  • "내년 신입생부터 모든 수업 영어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들은 앞으로 임용 10년 뒤 종신 교수가 될 수 있을지 없을지 학교 당국으로부터 심사를 받는다. 거기서 탈락하는 사람은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다른

    중앙일보

    2006.09.20 04:33

  • "봉사하는 지도자 양성에 힘써야"

    "봉사하는 지도자 양성에 힘써야"

    이장무 서울대학교 신임총장(左)과 정운찬 전 총장이 1일 오전 서울대 문화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서울대 이장무 총장은 1일 취임식에서 "서울대

    중앙일보

    2006.08.02 04:49

  • 52년 만에 한국 복귀 KAIST 서남표 신임 총장 "교수들 대충 연구하면 진급 없어"

    52년 만에 한국 복귀 KAIST 서남표 신임 총장 "교수들 대충 연구하면 진급 없어"

    청소부와 대학 기숙사 전화 교환수,도서관 사서 보조 등 세 가지 아르바이트를 한꺼번에 하면서 대학을 고학으로 마쳤던 서남표(70) 전 MIT 석좌교수가 한국을 떠난 지 52년 만

    중앙일보

    2006.07.13 20:49

  • KAIST 신임 총장에 서남표 MIT교수 선임

    KAIST 신임 총장에 서남표 MIT교수 선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3일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이사회를 열어 새 총장으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서남표(70.사진) 석좌교수를 선임했다. 서 신임총장은

    중앙일보

    2006.06.24 04:15

  • [이코노 피플] 포틀랜드 기술경영학회 코커글루 회장

    [이코노 피플] 포틀랜드 기술경영학회 코커글루 회장

    "연구.개발(R&D)의 값진 열매는 실패 끝에 찾아오는 달콤함이다. 그런데 한국 기업은 실패를 받아들이는 '위험감수 문화'가 부족하다." 포틀랜드국제기술경영학회(PICMET)의

    중앙일보

    2004.08.03 18:11

  • 30개국 참여 '혁신경영' 심포지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미국 포틀랜드 국제엔지니어링기술경영학회는 31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서울 리츠칼튼 호텔에서 '기술중심 사회에 있어서 혁신경영'이라는 주제로 국제심포

    중앙일보

    2004.07.30 18:58

  • [알림] '기술주도 혁신관리' 국제 심포지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포틀랜드 국제엔지니어링.기술경영학회(PICMET)가 공동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기술 주도 세계에서의 혁신관리' 주제의 국제 심포지엄이 오는

    중앙일보

    2004.07.21 18:11

  • [나의 우유전쟁] 41. 과기대 설립 꿈

    1997년 나는 새로운 구상을 했다. 민족사관국제고와 과학기술대 설립이었다. 민족사관고를 운영해 보니 외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학교가 필요하다는

    중앙일보

    2004.01.26 19:12

  • 과기원 쌍둥이 박사 배출

    쌍둥이 형제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게 됐다. 주인공은 김일민(逸民·32)·일용(逸勇·(左))형제. 동생 일용씨는 15일 기계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는다.

    중앙일보

    2002.02.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