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람사람] "한국사 처음 접하는 외국인 눈높이에 맞춰"

    [사람사람] "한국사 처음 접하는 외국인 눈높이에 맞춰"

    뉴욕문화원장과 주미 대사관 공보공사를 역임한 김준길(65) 명지대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가 최근 영어로 한국사 책을 펴냈다. 한국 역사를 전혀 모르는 영어권의 고등학생 이상 일반인

    중앙일보

    2005.01.12 18:25

  • [사람 사람] 광복군 아들이 보훈처장 됐다

    [사람 사람] 광복군 아들이 보훈처장 됐다

    국가보훈처 창설 이래 처음으로 독립유공자의 후손이 보훈처장에 내정됐다. 노무현 대통령은 20일 장관급으로 격상된 국가보훈처장에 박유철(66) 전 독립기념관장을 내정했다. 박 보훈

    중앙일보

    2004.09.20 18:25

  •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순례] 11. 중국 지안(集安)의 고구려 돌무지무덤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순례] 11. 중국 지안(集安)의 고구려 돌무지무덤

    이번 국토박물관 순례는 무대를 잠시 중국 지린성 지안에 있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으로 옮긴다. 사실 나는 국토박물관 순례기를 마치면 뒤이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해외편으로 중국과 일

    중앙일보

    2004.01.29 17:58

  • 114상담원들 에피소드 모아 책으로

    전화선을 타고 이어지는 세상사를 엿볼 수 있는 114 상담원들의 현장 에피소드집이 발간돼 화제다. KT의 자회사인 한국인포데이터(KOID)는 114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크고 작은

    중앙일보

    2002.10.15 00:00

  • 제2부 薔薇戰爭제4장 捲土重來:30년에 걸친 장미 전쟁 끝나

    왕위에 즉위한 신무왕은 즉시 자신의 할아버지인 예영을 추존하여 혜강대왕(惠康大王)이라고 하고,아버지 균정을 성덕(成德)대왕, 어머니 박씨를 헌목(憲穆)태후라 하였고, 아들 경응을

    중앙일보

    2002.07.10 00:00

  • 나를 울리는 챠트

    나를 울리는 챠트

    의사들에게 챠트는 환자의 모든 것을 기록하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그 챠트는 환자를 볼 때 뿐 아니라, 임상기록을 토대로 논문을 작성할 때 필수입니다. 몇 년의 세월이 흐르고, 어떤

    중앙일보

    2002.01.09 16:44

  • [꾸러기 책광장] 눈은 왜 내릴까요? 外

    ◇ 눈은 왜 내릴까요?(김정흠 글, 유진희.이준섭 그림, 다섯수레, 7천5백원) =올 겨울엔 또 얼마나 많은 눈이 내릴까. 이 세상의 눈을 처음 인지하는 아이들, 눈싸움을 하면서

    중앙일보

    2001.12.15 10:06

  • [꾸러기 책광장] 눈은 왜 내릴까요? 外

    ◇ 눈은 왜 내릴까요?(김정흠 글, 유진희.이준섭 그림, 다섯수레, 7천5백원)=올 겨울엔 또 얼마나 많은 눈이 내릴까. 이 세상의 눈을 처음 인지하는 아이들, 눈싸움을 하면서 하

    중앙일보

    2001.12.15 00:00

  • [이 달의 문화인물]16세기 동아시아 언어학의 대가 최세진

    잠깐 다녀가는 뜬구름 같은 인생 70 노인이(逆旅浮生七十翁) / 친한 이 모두 사라진 채 혼자 남아 있구나(親知凋落奇孤躬) / 과거급제해 이름을 올린 지도 40년, 그동안 변을 당

    중앙일보

    1999.10.11 16:01

  • [북녘산하 북녘풍수]6.개성과 만월대의 풍수 비보책

    다시 만월대로 얘기를 돌린다. 자세히 살펴보니 송악산은 형세와는 달리 그 지기지세 (地氣之勢 : 산 모양이 아니라 성격으로 산의 흐름을 살피는 일)가 만월대 쪽으로 휘어져 있다.

    중앙일보

    1998.03.14 00:00

  • [내마음속의 문화유산]34.삶에 용기를 주는 전래 이야기들

    지난 70년대 이야기다. 수사기관에 잡혀가 문아무개라는 수사관한테 여러날 닥달을 받았는데 갑자기 혐의 사실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엉뚱한 질문을 한다. "장준하 (선생이란 말을 안썼

    중앙일보

    1997.10.25 00:00

  • 성혜랑.이한영母子 마지막 통화내용-95년10월~96년1월

    북한 김정일(金正日)의 전 동거녀 성혜림(成蕙琳.59)씨의 외조카 이한영(李韓永.35)씨는 어머니 성혜랑(成蕙琅.61)씨와 수십통의 서울.모스크바간 국제전화로 설득작업을 벌여 이번

    중앙일보

    1996.02.17 00:00

  • 세계화와 외국인근로자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는 병자호란당시 청나라에 포로로 잡혀가 중국에 정착한 한국인촌에 대한 기록이 있다. 마을의 위치는 만리장성의 동쪽끝 산해관(山

    중앙일보

    1995.01.11 00:00

  • (4479)|경성야화(14)조용만|독립선언문

    학생들이 공원 대문을 나와 동대문·종로 쪽으로 만세를 부르며 행진하고 있었고 사람들은 이 행렬을 보고 박수를 보냈다. 거리가 온통 흥분의 도가니 속이었다. 나는 겁이 나서 동무들과

    중앙일보

    1991.07.27 00:00

  • 국가 안녕·풍년 위해 제사 지낸 곳 자녀 역사교육장으로 안성맞춤

    「종묘사직」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종묘는 누구나 알지만 「사직」이 국토신인 사신과 곡물신인 직신에서 유래됐다는 것은 잘 모르는 것 같다. 현재의 사직공원도 조선 태조가 한양으로

    중앙일보

    1990.11.09 00:00

  • 여름방학 어린이 한문 교실 "인기"

    교장 선생님을 지내다 정년 퇴임한 할아버지·할머니들이 가르치는 한문·교양·예절 강좌가 삼복 더위 속에서 진행돼 인기를 끌고 있다. 서울 시내 17개 구청별로 운영되고 있는 「할아버

    중앙일보

    1990.07.27 00:00

  • 오늘 이 겨레의 신명 통일로 잇자

    마침내 우리는 가슴을 열었다. 세계를 향하여, 인류를 향하여, 우리의 영원한 미래를 향하여 우리의 넉넉한 품을 하늘처럼 바다처럼 활짝 열었다.「세울 꼬레아!」 바덴바덴에서 그 소

    중앙일보

    1988.09.17 00:00

  • 한학 조예 깊은 위도 태생의 한량

    어어와 슬배야 슬배로구나 미끄런 조구야 코코에 걸려라 서해 한가운데 칠산 바다의 조기 떼가 그물코마다 가뜩 걸리라는 노랫소리다. 금년의 풍어를 기원하는 굿판의 선소리 뒷소리. 온

    중앙일보

    1988.04.05 00:00

  • (169)|청주 정씨

    청주 정씨는 춘곡 정탁 (세종·우의정), 백곡 정곤수 (선조·좌의정), 약포 정탁 (선조·좌의정), 한강 정구 (광해·대사헌·학자) 등 당대의 석학과 명신을 낳았다. 이들은 청주

    중앙일보

    1987.03.10 00:00

  • 성씨의 고향(167)-우주 황씨

    우리 나라 황씨는 우주(우주)·장수·평해·창원·회덕·덕산 등 10여 본이 있으나 모두 한 할아버지에서 갈라진 자손. 도시 조는 중국 후한의 학사 황낙이다. 그는 신라 나리왕 4년

    중앙일보

    1986.12.11 00:00

  • 「우리」에서 「나」로…삶의 질을 높인다.|하이테크사회…우리생활 어떻게 달라질까

    지난 월초의 신문을 보면 1면톱에 『2001년까지 집집마다 단말기 보급』 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우리는 정보화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2000년이 되면 오늘날 우리가 뇌화를 쓰듯 컴퓨

    중앙일보

    1986.09.22 00:00

  • 성씨의 고향(글 사진 김방원기자)

    남양 전씨의 시조는 전흥이다. 그는 원래 조선왕조의 개창에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큰 몫을 한 태종 이방원의 집 종이었다. 그러나 그는 남다른 두뇌와 용기와 뱃심의 소유자였다. 그의

    중앙일보

    1986.03.08 00:00

  • (155)예천 권씨

    예천 권씨는 본래는 권씨가 아니라 흔씨였다. 고려중엽 보승별장을 지낸 흔적신이 시조다. 그는 안동 권씨 집안의 딸을 아내로 맞아 외아들 득규를 낳았다. 2세 흔득규는 예천고을의 원

    중앙일보

    1986.03.01 00:00

  • (127)고흥유씨|항일의병대장 유인석·유중화, 유관순등 독립사에 의로운 자취남겨

    고흥유씨는 한국독립운동사에 의로운 자취를 남겼다. 굴욕적인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었던 1875년대, 의병대장으로 피의 항쟁을 벌였던 유인석과 유중화, 3·1독립만세 사건에서 빛나던

    중앙일보

    1984.1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