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규연의 시시각각] ‘사랑의 온도탑’ 창안자를 찾다

    [이규연의 시시각각] ‘사랑의 온도탑’ 창안자를 찾다

    이규연논설위원 이상한 온도계가 있다. 바람은 자꾸 추워지고 길은 얼음으로 위태로운 한겨울에도 자꾸만 높은 눈금으로 올라가는 온도계가 있다… 한 번도 신문에 나지 않은 저 4백만 명

    중앙일보

    2014.11.21 00:03

  •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작 ⑦ 시 - 이원 '의자에…' 외 21편

    의자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 곧추 세운 등뼈 아래로 엉덩이를 엉거주춤 유지해야 하는 이 포즈는 도대체 무엇입니까 각자의 배후를 전적으로 위탁하는 포즈를 우리는 언제부터 배워

    중앙일보

    2014.08.21 21:27

  •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작 ③ 시 - 나희덕 '그날 아침' 외 17편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작 ③ 시 - 나희덕 '그날 아침' 외 17편

    “깊고 따스한 품 속에서 오랫동안 숙성시킨 정갈한 시를 쓴다”는 평(시인 최두석)을 듣는 시인 나희덕씨. “몇 년 단위로 내 시의 리듬이 바뀌는데 요즘은 노래적 특성이 강해지고 있

    중앙일보

    2014.08.08 00:59

  • 겉만 멀쩡한 우리, 그 텅 빈 속을 찾아

    겉만 멀쩡한 우리, 그 텅 빈 속을 찾아

    백민석은 유독 장마가 길었던 지난해 여름 ‘수림’을 썼다. 그는 “장마는 죽을 때까지 매년 반복될 거다. 다만 장마가 끝나면 다음 장마가 올 때까지 고통을 대비할 기회가 생긴다”고

    중앙일보

    2014.08.06 01:47

  • 이 철학잡지, 26년간 살아남은 비결은 …

    이 철학잡지, 26년간 살아남은 비결은 …

    ‘철학의 대중화’를 표방하는 계간지 ‘철학과 현실’이 통권 100호를 맞는다. 본격적인 민주주의와 자유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던 1988년, 부정기적인 무크지로 첫 호가 나

    중앙일보

    2014.03.17 00:28

  • 창비에 북한 인권 다룬 글 … 진보 대표지, 금기 깨다

    창비에 북한 인권 다룬 글 … 진보 대표지, 금기 깨다

    "진보는 그간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반면 보수는 북한 인권문제를 너무 과장한다는 인상이 짙었다. 논의가 건강한 쪽으로 흐르길 바라는 마음

    중앙일보

    2014.02.20 00:20

  • 이성으론 설명 안 된다, 들끓는 한국 사회

    이성으론 설명 안 된다, 들끓는 한국 사회

    강신주(左), 강준만(右)출판가에서 ‘감정’이 주목받고 있다. 철학자 강신주의 『감정수업』, 강준만(전북대 신문방송학) 교수의 『감정 독재』, 번역서인 『탈감정사회』 등 감정을 공

    중앙일보

    2014.02.07 00:23

  • 문학은 질문의 연속… 신념의 반대말이죠

    문학은 질문의 연속… 신념의 반대말이죠

    신경숙은 “소설가가 되지 않았다면 결격 사유가 많은 인간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내 작품이, 누군가에게 다시 한 번 읽고 싶은 책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중앙일보

    2013.05.20 00:52

  • 18세기 한양 묘사한 시 “배우들 옷차림 망측”

    18세기 한양 묘사한 시 “배우들 옷차림 망측”

    19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 옛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진 8폭 병풍이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상품 거래 마쳤으니 연희(演戱)를

    중앙일보

    2013.03.06 00:01

  • [배명복 칼럼] 탄허 가라사대

    [배명복 칼럼] 탄허 가라사대

    배명복논설위원·순회특파원 내년은 탄허(呑虛) 스님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다. 유불선(儒佛仙)에 통달한 철승(哲僧)이자 학승(學僧)으로 이름 높았던 스님을 기리는 다채로운 행사가

    중앙일보

    2012.04.19 00:00

  • 문학, 다문화 한국을 껴안다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다문화 가정 어울림 생활체육대회’. 이처럼 다문화 가정은 우리 이웃으로 자리잡았다. 문학이 다문화 사회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이유다. [중앙포토] 한

    중앙일보

    2012.03.14 00:00

  • [브리핑] 인산문학상 수상자 이영춘 시인

    [브리핑] 인산문학상 수상자 이영춘 시인

    춘천에서 활동하는 이영춘(사진) 시인이 제1회 인산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문학상은 죽염발명가이자 한방암의학 창시자인 인산 김일훈선생의 뜻을 기려 사단법인 우리시진흥회와 지리

    중앙일보

    2011.11.29 01:09

  • [제11회 미당·황순원 문학상] 본심 후보작 지상중계 ①

    [제11회 미당·황순원 문학상] 본심 후보작 지상중계 ①

    미당(未堂) 서정주(1915∼2000) 시인과 황순원(1915∼2000) 작가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미당·황순원문학상이 올해로 11년째를 맞았습니다. 올해 후보작을 지상 중계합니다.

    중앙일보

    2011.07.21 00:19

  • 조용환 “안보란 말은 이성적 사고 마비시키는 마취제”

    조용환 “안보란 말은 이성적 사고 마비시키는 마취제”

    조용환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지난달 2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이 추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 조용환(52) 변호사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이 국

    중앙일보

    2011.07.01 01:22

  • 오영수문학상 소설가 전성태씨

    오영수문학상 소설가 전성태씨

    소설가 전성태(42·사진)씨가 제19회 오영수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문학상운영위원회(위원장 이동하·김병길)는 전씨의 단편소설 ‘국화를 안고(세계의 문학 2010 봄호)’를 수

    중앙일보

    2011.06.13 00:20

  • 실내서도 ‘황사능’ 주의보

    실내서도 ‘황사능’ 주의보

    황사능 비상이다. 황사능은 황사와 방사능을 합친 말로, 일본 대재난 후폭풍인 방사성 물질 확산 우려에 봄철마다 찾아오는 황사에 대한 걱정이 더해져 생겨난 신조어다. 실내 공기 관

    중앙일보

    2011.05.24 01:33

  • [출판가] ‘상상에 빠진 인문학 시리즈’ 출간 外

    ◆상상력을 일상적인 소재와 결합시켜 인문학적으로 풀어낸 ‘상상에 빠진 인문학 시리즈’가 출간됐다.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21세기북스 공동 프로젝트다. 『몸, 멈출 수 없는 상상의

    중앙일보

    2011.04.09 00:52

  • [팝업] 이상 서정주 박목월 … 시인들에게 영향 준 시인

    현역 한국 시인들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시인은 이상(1910~37)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계간지 ‘시인세계’ 봄호가 유력 시인 16명에게 자신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시

    중앙일보

    2011.02.14 00:05

  • ‘내부회람용 문학은 가라’ 제호 빼고 몽땅 바꿨다

    ‘내부회람용 문학은 가라’ 제호 빼고 몽땅 바꿨다

    소설가 박상우·김형경·정길연·신경숙·이만교·박금산, 시인 하재봉·유하·문태준·김민정…. 계간 ‘문예중앙’을 통해 등단한 문인들이다. 1977년 창간된 문예중앙은 단순히 좋은 문인을

    중앙일보

    2010.08.27 00:52

  • 영국선 연 50건 안 되면 암 수술 금지

    암을 비롯한 난이도가 높은 수술은 의사 또는 의료기관의 경험과 숙련도가 진료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영국에서 1년에 식도암 환자 10명을 수술하는 의사한테 수술

    중앙일보

    2010.07.19 01:45

  • [팝업] 아들이 본 아버지 김동인

    [팝업] 아들이 본 아버지 김동인

    한국 문학에 큰 족적을 남긴 소설가 김동인(1900~1951·사진)의 죽음은 쓸쓸했다. 작가의 차남인 김광명(67) 한양대 명예교수가 아버지의 죽음을 둘러싼 정황을 계간 ‘대산문

    중앙일보

    2010.03.05 00:41

  • [style&] 패션의 금기 허물고 기괴한 아름다움 끌어내다

    [style&] 패션의 금기 허물고 기괴한 아름다움 끌어내다

    “알렉산더 매퀸은 우리가 패션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뒤집어놨다.” 그의 천재성을 맨 처음 알아본 영국 패션계의 대모 이사벨라 블로의 말이다. 11일 세상을 떠난 디자이너 알렉산더

    중앙일보

    2010.02.17 09:11

  • 2010 시사 총정리 ②

    2010 시사 총정리 ②

    ①1804년 식민주의를 몰아낸 최초의 흑인 독립국 ②30년간 부자 세습 독재로 최빈국 전락 ③인구의 75%가 하루 2달러 이하로 연명 ④진흙에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진흙과자가 간

    중앙일보

    2010.02.03 02:23

  • 시인도 알 수 없는 시, 그저 한때 소나기였으면 …

    시인도 알 수 없는 시, 그저 한때 소나기였으면 …

    서정시인들은 “난해시가 시대를 앞서갈 순 있겠으나 소통이 안 돼 시 독자를 잃어서는 곤란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16일 이경철씨의 시선집 『시가 있는 아침』 출간기념회에서다.

    중앙일보

    2010.01.18 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