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울한 일들은 가는 겨울과 함께…

    남녘으로부터의 화신이 삭막하게 건조해있던 우리네 얼굴에 잠시 푸근한 미소로 내려앉나 했더니 날씨는 아직도 겨울의 끝자락에 머무르고 있다. 봄은 언제나 자신 없는 몸짓으로 주춤주춤,

    중앙일보

    1981.03.05 00:00

  • 믿을 것은 각자의 성실성뿐

    『어디 계세요?』 아침 신문을 읽다가 갑자기 적의를 품고 그(남편)를 소리쳐 부르니까 그는 양볼에 비누거품을 잔뜩 묻히고 『왜 그래?』하는 얼굴로 나를 바라보았다. 『도대체 우리나

    중앙일보

    1980.03.20 00:00

  • 우수

    오늘이 바로 우수란다 오, 보름만 지나면 또 개구리가 봄소리에 놀라 잠을 깨는 경칩이고…. 시젯말로 하자면 여전히 계절의 「리듬」에는 가히 써 어긋남이 없는가 보오. 과연 아침부터

    중앙일보

    1979.02.19 00:00

  • 난동에 가뭄 겹쳐

    겨울가뭄이 극심하다. 이상난동으로 보리성장과 김양식 피해가 늘고 있는 가운데 가뭄까지 겹쳐 낙동강의 물줄기가 메말라 농·공용수와 식수난 마저 겪고 있다. 특히 장성·황지 등 석탄산

    중앙일보

    1979.01.09 00:00

  • (4) 임시교사의 인간선언

    충남 K군 D국민학교에서만 8년째 근무하고있는 L선생(32)의 부인이 얼마전에 충남 도립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다. 박봉의 교원 봉급으로는 감당키 힘들 정도의 치료비가 나왔으나 L

    중앙일보

    1978.01.30 00:00

  • 밝은 아침에 만난 기쁨과 부끄러움

    너무나도 밝고 맑은 아침이었다. 한해의 마지막 12월, 긴긴 괴로움 속에서 불을 밝혔던 삼백예순닷새가 송두리째 한낱 불티로 꺼져 갈 때 이루 말할 수 없는 놀라움과 기쁨이 나에게

    중앙일보

    1977.01.05 00:00

  • 그의 미소…정녕 눈감았는가

    40년 친구를 하루아침에 잃은 마당에 무슨 말을 할수 있을까. 이제 다시는 그 웃음을 나눌 수 없게 되었는데 1938년4월 화창한 봄날 우리는 흰 저고리·까만 치마를 입고 필운동

    중앙일보

    1974.08.16 00:00

  • 아청빛 「이미지」-윤동주 론(4)

    내용 1, 서언 2, 자의식의 심연 3, 순수의지의 「이미지」와 어휘적 사실 4, 자연과 대상의 상관관계 - 5,결어 어디로 가야 하느냐, 동이 어디냐 서가 어디냐 남이 어니냐 아

    중앙일보

    1974.01.12 00:00

  • “미국인은 중공서 환영받고 있다”

    【북평 11일 AP동화】「존·로드릭」기=이것은 22년만에 중공에서 보내는 나의 첫 기사이다. 내가 보도해야 할 「뉴스」는 1주일전만 해도 상상도 못할 것이었다. 즉 미국인들은 중공

    중앙일보

    1971.04.12 00:00

  • (1)-①서은숙

    몇 세대가 바뀌어도, 들려주고 남겨주고 실은 얘기들이 있다. 새 문명이 밀물처럼 쏟아진 개화 직후에는 구곡의 잠을 깨게 한 선구자로서의 구실이 있었고, 일제의 통치시기에는 억압

    중앙일보

    1970.11.09 00:00

  • 서귀포에 벚꽃활짝|「3월추위」퇴각…봄날씨에 화신북상

    우수·경칩·춘분이 지나도록 변덕을 부리던 날씨가 풀려 27일 최저기온이 영상으로 회복되고 낮 기온은 호남지방에서 18도까지 올라가 단숨에 꽃철로 접어들었다. 제주도 남쪽 서귀포읍사

    중앙일보

    1970.03.27 00:00

  • 원단

    원단은 언제부터인지「신춘」이라고 부른다. 한결 흐뭇한 표현이다. 어제의 춥고 음울한 겨울이 하룻밤 사이에 봄이 될리는 없다. 그러나 사람들은 새해 아침이면 마치 봄날의 그 신선한

    중앙일보

    1970.01.01 00:00

  • 수온낮아 대체로 저조

    춘분(21일)이 지나자 교외로 향하는 가도엔 새벽 안개를 뚫는 낚시 「버스」가 꼬리를 물었다. 최고기온 영상 10도까지 오른 지난일요일은 전국적으로 포근한 봄날씨를 보여 주었다.

    중앙일보

    1969.03.24 00:00

  • 환영일색「캔버라」

    【캔버라= 김준환특파원】지난 15일 상오 김포를 떠나 호주와 「뉴질랜드」공식 방문에 오른 박대통령과 부인 육영수 여사는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5천9백50마일의 항로를 무사히 날아 호

    중앙일보

    1968.09.16 00:00

  • "더는 울지말자 적이 좋아할라"

    『이제는 울지 않으렵니다. 더이상 우리가족이 슬퍼한다면, 적이 즐거워하겠기 때문입니다.』 지난가을 노고산전투에서 북괴공비를 소탕하다 흉탄에 쓰러진 고이익수준장의 미망인 이순관(45

    중앙일보

    1968.02.03 00:00

  • ◇동양화

    ▲두베=홍성민 ▲가을의 대화=백석탄 ▲적=김혜자 ▲전여=김미자 ▲정오=김화연 ▲와=이정 ▲바구니=오정혜 ▲백일=이석구 ▲청류=이창왕 ▲어=장철야 ▲산하=이상재 ▲하산유곡=오우태 ▲

    중앙일보

    1966.10.07 00:00

  • 눈 멎자 「마지막한파」

    이번에 우리 나라의 중부 이북지방에 내린 큰 눈은 전방고지의 몇 곳을 제외하고는 23일 상오 7시쯤 해서 전국적으로 멎고 기온이 급강하, 추운 날씨가 몰아쳤다. 23일 아침 서울의

    중앙일보

    1966.02.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