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유재산 1위는 '12조 3000억'…삼성중공업 맞먹는 고속도로

    국유재산 1위는 '12조 3000억'…삼성중공업 맞먹는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서울 톨게이트. 한국도로공사 경부고속도로(12조3123억원), 정부세종청사(8211억원), 국가 재난안전통신망(161억원)….   정부가 지난 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중앙일보

    2021.04.10 13:00

  • 아파트 회계보고서보다 못한 국회의원 후원금 내역서

    아파트 회계보고서보다 못한 국회의원 후원금 내역서

     ━  [SPECIAL REPORT] 국회의원 후원금 백서    국회의원 297명이 지난해 쓴 정치후원금은 306억원이었다. 1인당 1억원을 상회하는 규모다. 중앙SUNDAY는

    중앙선데이

    2018.06.02 01:38

  • [시론] 종교단체 헌금이 투명하게 운용되려면

    [시론] 종교단체 헌금이 투명하게 운용되려면

    김광윤아주대 교수전 한국회계학회장최근 불교계 최대 종단인 조계종이 직영 사찰 4곳의 지난해 총수입을 공개해 화제가 됐다. 일반 및 특별회계를 합산해 봉은사 210여억원, 조계사 2

    중앙일보

    2016.05.02 00:46

  • [세상 돋보기] ‘빚 4400억원’ 천안시 해명

    천안시가 지난 12일 갑작스레 ‘천안시 건전 재정 기조 흔들림 없다’는 보도자료를 냈다. 그만한 사연이 있었다. 지난 주말(8일) 구본영 자유선진당 천안시장 예비후보가 시청 기자

    중앙일보

    2010.04.16 04:12

  • 10년 만의 출시

    10년 만의 출시

    10년 전, 서원교 회계사(49)는 그야말로 촉망받는 인물이었다. 당시 어느 회계학회 세미나에서 한 대학교수는 서원교 회계사가 개발한 'AIA(Acitivity Informati

    중앙일보

    2009.04.18 14:01

  • [세종의 리더십] 1. 과학적 회계와 통계

    [세종의 리더십] 1. 과학적 회계와 통계

    조선 500년의 버팀목이었던 세종. 그는 문치를 강조하면서도 문약에 빠지지 않았고, 명나라에 사대를 하면서도 우리의 힘을 키웠다. 한글날을 앞두고 '정치가 세종'의 국가 경영 능

    중앙일보

    2005.10.05 19:19

  • [커버스토리] 옛날 은행은 이랬습니다

    [커버스토리] 옛날 은행은 이랬습니다

    '여자행원은 화려한 화장을 하지 말고, 활동적인 전시복('몸뻬' 등)을 입을 것. 직원 가족도 치마를 금하고 긴 저고리와 '몸뻬' 등 전시복장을 할 것'. 1953년 한국전쟁이 끝

    중앙일보

    2004.07.06 07:21

  • [사람 사람] "조선시대 생활수준 밝힐게요"

    [사람 사람] "조선시대 생활수준 밝힐게요"

    조선시대 물가를 연구해 온 전성호(42.경제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이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2004년도 연구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그와 영국 옥스퍼드대의 로버트

    중앙일보

    2004.03.21 17:24

  • 월간중앙 부록 '역사탐험' 첫선

    시사 월간지 '월간중앙'이 별책 부록으로 '역사탐험'을 매월 발간한다. 6월호 별책으로 처음 선보인 '역사탐험'은 1741년에 기록된 전남 영암 장암리의 대동계 회계장부 '용하기(

    중앙일보

    2003.05.20 19:13

  • 우리 가게 세금신고 내 손으로 OK

    우리나라 소득세법에 따르면 모든 사업자는 누구나 장부를 기록해야 할 의무가 있다. 장부를 기록하는 능력이 부족한 영세사업자도 마찬가지다. 이 경우 세무사의 도움을 받으면 편리하다.

    중앙일보

    2003.02.10 15:55

  • [위기의 재정] 下. 이렇게 대처하자

    중앙일보 경제연구소는 그동안 2회에 걸쳐 나라 살림이 적자의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재정 적자에 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제 재정 건전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앙일보

    2001.11.28 00:00

  • [위기의 재정] 下. 이렇게 대처하자

    나라가 재정적자의 수렁에 빠질지 모른다고 걱정이 분분하다. 그래서 가능하면 적자를 줄여 탄탄하게 나라살림을 꾸려가자는 데 감히 반대할 분위기가 아니다. 문제는 '어떻게?'다. 지난

    중앙일보

    2001.11.27 18:42

  • [언론사 추징액 늘린 '기업·세무 회계 차이']

    이번 언론사 세무조사를 비롯해 세금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거론되는 것이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 다. 기업회계는 주주.채권자.투자자에게 경영과 관련한 각종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일보

    2001.07.03 00:00

  • 복식부기 회피 사업자 1만여명 세무조사

    국세청은 소득탈루혐의가 있는 복식부기 의무대상자 1만여명에 대해 종합소득세 확정신고시 회계장부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무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국세청 한상률(韓相律) 소득세과장

    중앙일보

    2001.05.14 12:05

  • 국세청 43개 업종 표준소득률 인하

    오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의약분업으로 소득이 늘어난 대부분의 병의원과 정보통신관련 분야, 골프연습장.실내스키장.PC방.비만관리센터 같은 오락.건강시설 등 장사가 잘된 업종은

    중앙일보

    2001.04.04 00:00

  • [e-사람] 인터넷 회계프로그램 개발한 김재일씨

    현직 공인회계사가 회계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회계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회계사 경력 14년째인 김재일(37)씨가 개발한 '비발디' . 비발디는 자체적으

    중앙일보

    2000.09.25 00:00

  • 인터넷 회계프로그램 개발한 김재일씨

    현직 공인회계사가 회계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회계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회계사 경력 14년째인 김재일(37) 씨가 개발한 ''비발디'' . 비발디는 자

    중앙일보

    2000.09.24 22:32

  • [e-사람] 인터넷 회계프로그램 개발한 김재일씨

    현직 공인회계사가 회계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회계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회계사 경력 14년째인 김재일(37) 씨가 개발한 ''비발디'' . 비발디는 자

    중앙일보

    2000.09.24 22:32

  • [e-사람] 인터넷 회계프로그램 개발한 김재일씨

    현직 공인회계사가 회계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회계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회계사 경력 14년째인 김재일(37)씨가 개발한 '비발디' . 비발디는 자체적으

    중앙일보

    2000.09.24 16:05

  • [기획취재] "써버린걸 어떡해" 승인하기도

    지방재정을 굴러가게 하는 두개의 축은 예산과 결산이다. 결산과정에서 예산집행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야 그 다음의 예산편성이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이뤄진다. 그래서 예산전문가들은

    중앙일보

    1999.10.26 00:00

  • [기획취재] "써버린걸 어떡해" 승인하기도

    지방재정을 굴러가게 하는 두개의 축은 예산과 결산이다. 결산과정에서 예산집행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야 그 다음의 예산편성이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이뤄진다. 그래서 예산전문가들은

    중앙일보

    1999.10.25 18:17

  • 소규모 개인사업자 80만명 장부작성 안하면 가산세

    올해부터 소규모 개인사업자라도 수입.지출 내역을 파악할 수 있는 회계장부 작성이 의무화되고 이를 어길 경우 가산세가 부과되는 등 과세기준이 크게 강화된다. 국세청은 회계장부를 기장

    중앙일보

    1999.02.04 00:00

  • [용어한마디] 간편장부

    매입.매출 등 최소한 8종의 장부가 필요한 복식부기와 달리 단일장부에 수입.지출을 시간발생 순으로 기록하는 약식 장부다. 간편장부엔 거래가 일어나면 날짜.거래내용.거래처.수입 (또

    중앙일보

    1999.02.04 00:00

  • [시민의 힘]경실련 예산감시단 맹활약

    한국의 새 세기, 새 밀레니엄은 '시민의 시대' 개막과 함께 오고 있습니다. 이제 '국가권력 군림의 시대' 는 가고 시민들이 자발적 참여속에 자신의 권리를 행사해 국가의 진정한 주

    중앙일보

    1999.0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