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사능기기 일반화물 취급…수입·판매·운반등 관리부실 심각

    방사선기기 수입업체인 서울 강남구 B사는 94년부터 올 2월까지 연구소.대학 등 40여곳에 수질검사용 방사선기기를 판매했다. 그러나 B사는 수입허가만 받았을 뿐 판매나 취급허가는

    중앙일보

    1999.10.06 00:00

  • 서울대 실험실 폭발사고…대학원생등 4명 중태

    18일 오전 11시40분쯤 서울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공대 31 - 1동 원자핵공학과 소속 단극발전실 (플라스마 실험실) 조립식 건물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실험

    중앙일보

    1999.09.19 00:00

  • 캔.수입 고철서 방사능 -과기부 검출 확인

    철강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철이 방사능에 오염된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이런 고철을 녹여 만든 철근이나 강판 등 각종 제품 중에 방사능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

    중앙일보

    1999.06.14 00:00

  • '정년퇴직' 원자로 최초의 해체작업

    '정년퇴직' 하는 원자로에 대한 해체 (解體) 설계 최종안이 나왔다. 국내 최초의 원자로로서 연구에 쓰이던 '트리가마크Ⅱ.Ⅲ' 에 대한 일종의 안락사 (安樂死) 방안이 마련된 것.

    중앙일보

    1999.03.22 00:00

  • 방사선동위원소 사용업체 잇단 폐업에 관리 구멍

    방사선 동위원소 (RI) 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업체 등이 경기불황으로 부도가 나거나 폐업함에 따라 상당수 RI 장비가 사실상 방치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번 원자력병원

    중앙일보

    1998.11.16 00:00

  • 부도회사 방사성동위원소 관리 비상

    방사선 동위원소 (RI) 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업체 등이 경기불황으로 공장 문을 닫거나 부도가 남에 따라 RI의 부실관리가 우려되고 있다. 과기부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올들어 이미

    중앙일보

    1998.11.12 00:00

  • [허점 드러난 방사능관리]방사능테러 가능성 충격

    원자력병원 방사성 동위원소 도난사건은 사흘 만에 도난당한 방사성 물질이 전량 회수되기는 했지만 환자 치료에 쓰이는 위험물질이 범행에 이용됐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이번 사건으로 사

    중앙일보

    1998.11.11 00:00

  • 서울 원자력병원서 방사성 원소 309개 도난

    9일 오전 9시쯤 서울노원구공릉동 원자력병원 지하 방사성 동위원소 저장실에서 암치료용 방사성 물질 3백9개를 도난당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도난 발견 = 병원 직원 지영훈 (池

    중앙일보

    1998.11.10 00:00

  • [월요인터뷰]'홀뮴치료법' 개발 산파역 김병수총장

    간암에 관한 한국인의 자화상은 부끄럽다 못해 처절하다. 간암사망률 세계 1위. 매년 1만여명이 생명을 잃는다. 간암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간염바이러스 보유자도 4백만명으로 우리 국

    중앙일보

    1998.08.17 00:00

  • 북극해-서부시베리아 '방사능 강물'로 10년내 대재앙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 위치한 카라차이 호수가 방사능 폐기물로 오염돼 북극해와 서부 시베리아 전역에 대재앙이 초래될 수 있다고 유리 비슈네프스키 러시아 원자력감시위원회 위원장이 13

    중앙일보

    1998.07.15 00:00

  • 지하공간 라돈가스 '위험수준'

    서울의 지하철 역등 대도시 일부 지하공간의 라돈가스 농도가 위험치를 넘어서거나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원연구소 홍영국 (洪永國) 박사팀은 15일 최근 조사결과 서울의

    중앙일보

    1998.06.17 00:00

  • 한반도 핵누출 24시간 철통감시…방사능 경보망 가동 착수

    체르노빌의 끔직한 핵누출사고를 처음 감지한 서방국가는 스웨덴. 구 소련과 가까운 동구국가들은 물론 스위스.오스트리아등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던 나라들마저도 자기네 상공에 무서

    중앙일보

    1998.03.23 00:00

  • 월성원전 또 중수 유출

    '캔두 (CANDU)' 형 원전의 안전에 의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험가동중인 월성 원전3호기에서 최근 중수 (重水)가 누출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중수 누출사고는 지난 2월

    중앙일보

    1997.10.07 00:00

  • 러시아 정부대변인 "사할린 투하 컨테이너 방사능 위험 없다"

    지난 11일 사할린 근해에 떨어진 방사성동위원소 스트론튬90 배터리가 들어 있는 러시아의 납 컨테이너에서는 방사능물질이 새어 나올 위험이 없다고 러시아 비상대책부 관리들이 12일

    중앙일보

    1997.08.14 00:00

  • 열화 우라늄포탄이란

    열화우라늄 전차포탄은 흔히 알려진 핵탄과는 성질이 전혀 다르다.원자탄같은 방사능이 거의 없다. 이 포탄은 지난 1월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군이 사격연습한 뒤 일본 정부에 통보하지

    중앙일보

    1997.05.17 00:00

  • 우라늄彈 이란-방사능 피해 거의없는 對전차무기

    우라늄 전차포탄은 흔히 알려진 핵폭탄이나 핵포탄등 소위 원자탄과는 전혀 다르다. 우라늄 전차포탄은 80년대 중반 미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원자탄처럼 방사능은 거의 없다.이 포탄에 사

    중앙일보

    1997.01.21 00:00

  • 방사성 폐기물 소각처리에 눈돌려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시설설치가 당초 계획보다 크게 늦어짐에 따라 우리나라도 방사성폐기물의 고효율 소각처리기술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방사성폐기

    중앙일보

    1996.01.14 00:00

  • 95년 과학기술계

    올해의 과학기술계는 세계적으로 자랑할만한 연구결과도 많이 나왔다.그러나 굴업도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지정취소등 행정정책졸속과원전방사능 누출사고등이 이를 먹칠해 빛바랜 한해가 됐다는 평

    중앙일보

    1995.12.21 00:00

  • 방사성 폐기물

    방사선은 핵폭탄이나 원전(原電)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하늘로 부터 우주선의 형태로 날아들며,우리 주위의 땅.건물.각종가재도구.음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질에 많든 적든 들어있는

    중앙일보

    1995.07.23 00:00

  • 방사선 쬔 식품 안전하다-원자력硏 연구팀 회견

    방사선 조사(照射)식품의 안전성을 놓고 최근 일부 소비자단체가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원자력연구소는 14일 『방사선 조사는 식품의 안전저장측면에서 기존의 화학처리보다 훨씬

    중앙일보

    1995.06.16 00:00

  • 中.러 비밀核합작사업-방사능물질 이용 심천등 2곳서 활동

    [홍콩=劉尙哲특파원]중국이 최근 러시아와 방사능물질을 사용하는 비밀 합작사업을 체결,경제특구인 선천(深수)에선 이미 3명의 러시아 과학자가 활동하고 있다고 홍콩의 이스턴익스프레스가

    중앙일보

    1994.11.30 00:00

  • 러 핵폐기물 투기해역/방사능 증가 측정 안돼/온누리호 조사단

    러시아 핵폐기물 투기 정부합동조사단(단장 유정일·과기처 원자력검사과장)은 28일 해상에서 검출된 방사능의 증가는 없는 것으로 측정된다고 밝혔다. 조사단에 따르면 지난 24일 진해항

    중앙일보

    1993.10.29 00:00

  • 일 “동해에 핵투기” 시인/“방사능 측정 안전성 확인”

    ◎러 에너지장관/“우리보다 10배 더 버려”/일,해양투기 전면금지 지지키로 【동경·모스크바=연합】 일본은 지난주 러시아 해군이 동해에 버린 방사능물질보다 무려 10배나 많은 핵폐기

    중앙일보

    1993.10.26 00:00

  • 우리나라 핵폐기물 처리-저장공간 10년내에 한계

    우리나라 방사성폐기물은 거의 대부분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것들이다.사용후 핵연료 처리 시설이 없는 우리의 경우 이른바 핵재처리도 없으므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없다. 현재 가동되

    중앙일보

    1993.10.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