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첨단 4MD램 반도체|삼성전자 월 10만개 생산

    삼성전자는 세계 최첨단의 메모리용 반도체인 4메가 D램을 11월부터 월 10만개씩 양산키로 했다. 4메가 D램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개발·시판되고 있는 반도체 중 가장 고성능 제품

    중앙일보

    1989.11.01 00:00

  • 한발빠른 일과 세계 시장 다툼|신제품도 3년 못가는 뷸꽃 경쟁|양산체제 갖춰 일 덤핑 공세 대응

    4MD램 반도체 본격생산 의미 일본에 이어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4메가 D램의 양산 체제에 들어가게 됐다. 삼성전자는 1일 4메가 D램을 이달부터 월 10만개씩 생산한뒤

    중앙일보

    1989.11.01 00:00

  •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

    삼성전자는 6일 차세대 반도체로 각광받고 있는 갈륨비소 반도체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개발, 양산에 들어갔다.

    중앙일보

    1989.09.06 00:00

  • 일 히타치-금성사|반도체 사업 제휴

    【동경=방인철 특파원】일본 히타치 (일립) 제작소와 금성사가 반도체 사업에 제휴한다. 히타치는 반도체 주요 제품인 1메가비트 다이내믹 RAM 기술을 금성사에 제공, 내년 봄부터 시

    중앙일보

    1989.07.27 00:00

  • 4메가D램 반도체 내년부터 양산

    지난해 2월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바 있는 4메가D램이 최근 수율 20%선을 돌파함으로써 내년부터 양산체제에 돌입할 수 있게 됐다. 과기처는 20일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주축이 돼 삼

    중앙일보

    1989.06.20 00:00

  • (5)삼성 소재부품연

    연간 60억원(89년)정도를 순수 연구개발비로 투입, 국내 최초의 첨단제품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는 삼성종합기술원 소재부품연구소(경기도 용인군 기흥읍 농서리 산14). 87년 10월

    중앙일보

    1989.05.31 00:00

  • 삼성전자 4메가마스크롬 개발

    지난해 초 4메가D램 개발에 성공한 삼성전자가 3일 최첨단 불휘발성 메모리반도체인 4메가마스크롬(사진) 개발에 성공, 시제품 생산에 들어갔다. 4메가마스크롬은 한글표준문자패턴을 1

    중앙일보

    1989.05.03 00:00

  • (9)9개 사가 자존심 걸고 "증설경쟁"|시멘트 산업

    요즘 시멘트업체들은 시설 늘리기 경쟁에 바쁘다. 이에 따라 1위의 쌍룡에서부터 9위의 유니온까지 고정되어 있다시피 하던 시멘트업계의 판도 변화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맨 처음 기존

    중앙일보

    1989.03.09 00:00

  • 3조7백억원 투자

    한편 올해 전자전기업체의 설비 및 연구개발투자는 지난해보다 43·4%늘어난 3조7백71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7일 상공부가 88년 매출액기준 1백억원 이상의 1백20개 업체를

    중앙일보

    1989.02.07 00:00

  • 「과학한국」열기가 가득한 연구소 순방|신물질개발 미래를 건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대열에 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들어 국제사회의 대한 견제움직임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시장의 전면개방을 요구하는등 각종 통상압력을 가해오는

    중앙일보

    1989.01.01 00:00

  • 되돌아본 올해 한국과학 기술계의 명암|정치열기 뒷전서 "거북이 걸음"

    격동의 88년, 과학 기술계는 올림픽과 정치열기의 뒷전에서 착실한 전진에는 다소 미흡한 감이 없지 않다. 토의와 논의는 분분했으나 결실은 적었다. 내일을 위해 지난 1년을 결산해

    중앙일보

    1988.12.21 00:00

  • 2백 56K EEP롬 최첨단 반도체개발

    삼성전자는 13일 1메가D램과 같은 수준의 최첨단 반도체인 2백 56K EEP롬 개발에 성공, 시제품의 양산체제에 들어갔다. 지난해 6월 개발에 착수해 이번에 개가를 올린 2백 5

    중앙일보

    1988.12.14 00:00

  • 이상희 신임 과기처 장관

    과학기술계는 신임 이상희 과기처 장관에게 남다른 기대를 갖고있다. 이 장관이 과학기술을 아는 정치인으로 평소 많은 법안 제안·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 등 추진력

    중앙일보

    1988.12.08 00:00

  • 1메가S램 반도체|삼성전자 개발성공

    삼성전자가 4메가D램급 반도체인 1메가S램의 개발에 성공했다. 이 1메가S램은 정보처리속도가 70나노초(1나노초=10억분의1초)의 초고속·처소비전력의 초고집적 제품으로 지금까지는

    중앙일보

    1988.11.17 00:00

  • 기흥에 새 공장 기공

    삼성반도체통신(대표 강진구)은 10일 경기도 용인군 소재 기흥 반도체 공장에서 모두 3천5백억원이 들어가는 4MD램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이날 이건희 그룹회장·강진구 부회장 및

    중앙일보

    1988.10.10 00:00

  • 64메가D램 실용화 미· 일등과 어깨 나란히

    반도체기술을 지배하는 자가세계의 산업을 좌우한다. 「마법의 돌」 「산업의 쌀」 이라 불리는 반도체는 컴퓨터· 가전제품· 자동차 등 모든 분야에서 필수적 부품이다. 그 반도체 기술이

    중앙일보

    1988.09.22 00:00

  • 16메가D램 반도체 91년 개발

    과학기술처는 7일 제6차 5개년 계획(87∼91년)중 과학기술부문을 대폭·수정, ▲당초 4메가D램 반도체개발계획을 16메가D램 개발로 높이고 ▲2∼3개의 신물질을 창출하며 ▲유전

    중앙일보

    1988.09.07 00:00

  • 「4메거 D램」

    반도체는 흔히 「마법의 돌」이라고 한다. 손톱 크기의 작고 엷은 돌 판이 사람처럼 기억하고 말하고 글도 쓰는 재주를 가졌기 때문이다. 「알라딘」의 램프에서 나오는 충실한 종처럼 마

    중앙일보

    1988.02.11 00:00

  • 4메거D램 국내개발

    첨단 반도체 제품으로 90년부터 대량 사용될 4메거D램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본보 87년 12월 18일 자 일부 보도) .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자통신 연구소를 중

    중앙일보

    1988.02.10 00:00

  • 정부출연 9개 연구소 일감 찾기 "몸부림"

    『정부출연 연구소가 살아 남으려면 새로운 방향정립이 시급하다』. 올 들어 한국 요학 기술원을 비롯한 국책연구소들이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다. 이대로는 어렵다는 인식이 연구소 안팎에서

    중앙일보

    1988.01.20 00:00

  • 1메거D램 양산체제 돌입 삼성반도체서 2일 첫출하

    삼성반도체통신(대표 송세창)이 세계 최첨단 반도체인 1메거D 램의 양산체제를 갖추고 2일부터 세계 유수의 컴퓨터회사에 출하를 개시했다. 1메거D 램은 2백56KD램보다 4배나 높은

    중앙일보

    1987.12.03 00:00

  • 이병철 삼성회장 별세|본사 창업주 어제 자택서…23일 삼성그룹장

    우리나라 최대의 기업인 삼성그룹의 창업주이자 본사창업주인 호암 이병철회장이 19일 하오5시5분 서울용산구이태원동108의1 자택에서 폐암으로 별세했다. 향년78세. 고인의 임종은 부

    중앙일보

    1987.11.20 00:00

  • 2만6천통화 순간 동시 처리

    전전자교환기인 TDX-1이 지난해 국내에서 개발된데 이어 TDX-10이 국내기술진에 의해 개발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10만회선 용량의 TDX-10개발에 착수, 88년 초까지 교

    중앙일보

    1987.04.29 00:00

  • 자동차·VTR거쳐 항공기도 만든다|「과학의 날」…한국과학 진단

    21일은 제20주년 「과학의 날」(과기처설립 20주년일)로 이제 우리과학도 성년을 맞았다. 67년 당시만해도 우리의 과학기술은 거의 불모지와 다름없었으나 70년대 들어 과학기술에

    중앙일보

    1987.04.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