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년중앙] 학생 없어 문 닫은 학교 전국 3922곳, 영어마을·아트센터 등 다양하게 변신 중이죠
인구 감소·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교육 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 기관에 다닐 수 있는 연령(만 6~21세)에 해당하는 아동과 청소년의 총인원 수인 ‘학령인구(學齡人口)’가 줄어들고
-
80년 모은 '보물' 곰팡이에 전멸…서울대 연구실 대참사 전말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70~80년간 모은 동물 표본 수백점이 2021년 표본실에 창궐한 곰팡이 때문에 모조리 폐기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임영운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이
-
싸움 꽤 했던 그때 그 모습대로…죽은 호랑이 살려낸 그녀 [장人들]
동물원에서 가장 잘생긴 호랑이, 용맹한 모습으로 박제되다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의 수장고. 어두운 수장고의 불을 켜자 용맹하게 뛰어오르는 호랑이와 마주했다. 들어 올린 앞발
-
[소년중앙] 생동감 넘치는 생명의 기록, 미래까지 전한다 '동물 표본'
생전 모습 그대로 되살린 동물 표본, 호랑이·늑대도 관찰하기 좋죠 자연사박물관이나 생물자원관 등을 방문했을 때, 언뜻 보면 살아있는 동물 같은데 아니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지구와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호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관장 강호선)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2022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5월부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호랑이 이야기①] 100년 만에 호랑이 97%가 사라졌다
야생 호랑이가 서로 다투는 모습. 세계자연기금(WWF) 2022년 임인년(壬寅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육십 간지 가운데 39번째인 임인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입니다. 임(壬)은
-
[한명기의 한중일 삼국지] 노·소론 충돌한 그때, 인삼 찾아 조선 땅 뒤진 일본
━ 조선의 ‘캐시 카우’ 인삼 ① 일본 규슈박물관에 있는 인형 인삼과 관련 문서. 18세기 초반 부산 왜관에서 대마도를 거쳐 일본으로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② 대마도가
-
[소년중앙] 지켜주고 싶다, 도시에 나타난 천연기념물 수달
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훈훈한 동물 친구 이야기가 종종 등장합니다. 바로 수달인데요. 올해만 봐도 서울을 비롯한 대구·전주·창원·충주 등에서 수달 목격담이나 흔적 발견 사례가 잇
-
아티스트 콜렉티브 씨앤피, 17~28일 ‘외감각(外感覺)’ 전시회 개최
‘외감각(外感覺 external senses)’ 전시회 한영권 작가 작품 ‘Translation’(사진 제공: 씨앤피) 외부세계에 대한 관심과 접속, 그에 따른 영향을 주제로 기
-
장갑도 뚫는 0.7㎝ 독침…美 뒤집은 'K-말벌'이 무서운 이유
지난 9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의 한 야산에서 발견한 장수말벌. 왕준열 "저기예요, 저기!" 인천 영종도 주택가의 등산로. 주민이 수풀을 가리키면서 다급하게 소리쳤다.
-
장갑도 뚫는 0.7㎝ 독침…美 뒤집은 'K-말벌'이 무서운 이유
지난 9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의 한 야산에서 발견한 장수말벌. 왕준열 "저기예요, 저기!" 인천 영종도 주택가의 등산로. 주민이 수풀을 가리키면서 다급하게 소리쳤다.
-
눈밭 달리는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코아 박제로 만난다
박제한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와 코아의 모습. [사진 서울시] 자연사한 시베리아호랑이를 다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서울대공원이 17일 공개한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코아의 박제 과
-
이대에서 희귀새 수십마리 죽는다…구조 나선 직원·학생들
이화여대 EEC 건물에 갇혔다가 구조된 지발귀개개비. 사진 배윤혁 연구원 제공. 지난달 10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배윤혁(25)씨는 ECC(Ewha Camp
-
[소년중앙] 제비 닮은 제비나비, 표범 같은 표범나비…코앞에서 관찰
(왼쪽부터) 맹서후·김가영·정하민 학생기자가 경기도 가평에 위치한 ‘이화원’을 찾아 다양한 식물과 나비를 관찰했다. 따뜻한 바람과 함께 살포시 피어나는 꽃은 봄의 전령(傳令·명령
-
[단독]사살된 퓨마(뽀롱이), 수목장으로 장례 치렀다
지난 18일 대전오월드(동물원)를 벗어나 사살된 퓨마(뽀롱이)의 장례식이 수목장(樹木葬) 형태로 치러졌다. 오월드를 운영하는 대전도시공사는 “28일 새벽 6시쯤 퓨마의 사체를 화
-
살아서는 동물원, 죽어서는 박제…사살된 퓨마 ‘교육용 박제’ 검토
사살 당한 퓨마 '호롱이'의 생전 모습.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대전오월드 사육장을 탈출했다 사살된 퓨마를 교육용 표본(박제)으로 쓰는 방안이 검토 중
-
가계소득 논란 속 통계청장 13개월 만에 교체
민원기 과기부 2차관, 박천규 환경부 차관, 김양수 해수부 차관, 강신욱 통계청장, 김종석 기상청장, 박제국 소청심사위원장(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차관급 인사 6명에
-
1971년 사별한 음성 황새 부부…47년만에 박제가 돼 '재회'
충북 음성 황새 부부의 표본. 왼쪽이 암컷이고 오른쪽이 수컷 표본이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1971년 사냥꾼의 총에 수컷이 희생되면서 이별을 하게 된 황새 부부가 47년 만에
-
‘조각의 거인’ 김종영은 왜 그 많은 그림을 남겼나
조각가 김종영에게 ‘드로잉’은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이었다. ‘자화상’(1950). [사진 김종영미술관] “오십이란 나이를 탄식한다.” 한국 현대조각의 선구자로 꼽히는
-
잔잔한 물결로 바다의 태동을 전하다
━ 밀라노 시립 아쿠아리움 초대전, 사진작가 구본창 이탈리아 밀라노시의 초청으로 시립 아쿠아리움에서 ‘ACQUA·WATER·물’(4월 12일~5월 9일) 전시를 시작한
-
[굿모닝 내셔널]'한반도 생물의 보고'인 인천 국립생물자원관
“진짜예요? 진짜 실물 표본이에요?” 지난 20일 오전 인천 서구 경서동에 있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만난 서울 장충고 2학년 임기범(18)학생의 말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포유류
-
[체험평가단이 간다] 털매머드는 코끼리보다 더 큰 상아로 적과 싸우고 눈도 치웠대요
여러분에게 ‘매머드’는 그리 낯선 동물이 아닐 겁니다. 원시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 꼭 등장하는 동물 중 하나니까요.지금 대전 천연기념물센터에선 매머드의 실제 뼈, 피부 등을 볼
-
[8월 가볼만한 곳] 한적한 도심에서 휴가 즐겨볼까?
| 한국관광공사 8월 가볼만한 7곳 추천'7말8초.'여름 휴가 피크철을 일컫는 용어이다. 7월말과 8월초에 휴가가 집중된다는 의미이다. 이때 유명 관광지를 가면 그야 말로 인산인해
-
“미스킴라일락 아시나요” 해양 생물 주권 중요성 강조하는 김상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장
구(舊) 장항역이 2007년 폐쇄되면서 한동안 적막했던 충남 서천군의 식당가는 최근 활기를 되찾았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올해 4월부터 공식 개관해 주말이면 가족과 함께 온 방문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