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 캔터차관 내한/북한 핵 대책협의

    아널드 캔터 미 국무부 정무차관이 3일간 한국을 방문하기 위해 13일 오후 내한했다. 캔터차관은 이날 이상옥외무장관과 만나 김용순 북한노동당 국제담당비서와의 접촉 등 미국의 대북관

    중앙일보

    1992.05.13 00:00

  • “남북한 정상회담 더 미룰이유 없다”

    ◎“김정일 아닌 김주석이 참석/이산가족재회등 적극 추진”/본지 북한 김용순 국제부장 단독회견 【뉴욕지사=성정숙 편집국장】 북한은 남북한 정상회담의 조기개최를 희망하며 이 회담에는

    중앙일보

    1992.01.24 00:00

  • “90년대안에 통일실현 낙관”/김용순 북한노동당국제부장 단독인터뷰

    ◎정상회담서 구체안 논의해야/미와 회담에 만족… 핵협정 서명할 것 가네마루(금환신) 일본전부총리의 초청으로 작년 일본을 방문,북한­일국교문제를 논의하는 등 이미 북한외교의 핵심실세

    중앙일보

    1992.01.24 00:00

  • 미 “핵소홀” 남북합의 우려/행정부·언론 「불만짙은 환영」

    ◎“김일성 사찰압력 벗고 시간벌기 도운셈/불가침협정후 주한미군 위상에도 문제” 미국이 남북한 합의서 채택에서 가장 아쉬워 하고 있는 점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관한 사항이다. 미

    중앙일보

    1991.12.14 00:00

  • 비핵화선언 환영/미 국무부서 논평

    【워싱턴=연합】 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8일 『미국은 노태우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 5원칙 선언을 크게 환영하며 강력히 지지한다』고 말하고 이 선언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

    중앙일보

    1991.11.09 00:00

  • 노­부시/예정시간 넘기며 담소/노 대통령 유엔활동 이모저모

    ◎“선진국 되기보다 통일이 중요”/“YS­부시면담 정치적 의미없다” 청와대 강조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 대통령과의 뉴욕 한미 정상회담은 23일 오후 5시15분(한국시간 24일

    중앙일보

    1991.09.24 00:00

  • 노­부시 내일 회담

    【뉴욕=김현일특파원】 노태우 대통령은 방미 첫 기착지인 시애틀에서 사흘간의 일정을 보내고 22일 오후(한국시간 23일 오전) 뉴욕에 도착,한국의 유엔가입에 따른 본격적인 유엔외교활

    중앙일보

    1991.09.23 00:00

  • “통상 원칙적 언급만 했다”/미 솔로몬차관보의 정상회담 설명

    ◎UR문제엔 단호하게 협조 요청/주한미군 감축은 거론안돼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 대통령간의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뒤 리처드 솔로몬 국무부 동아태담당차관보는 백악관 기자실에서 미국의

    중앙일보

    1991.07.03 00:00

  • “한­미우호 다짐”… 예포 21발/노 대통령 방미 이모저모

    ◎국빈 환영행사 백악관뜰서 30분간 진행/양국정상 한조로 대사조와 테니스경기 ○…국빈자격으로 미국을 공식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을 위한 공식 환영행사가 2일 오전 10시5분(한국시간

    중앙일보

    1991.07.03 00:00

  • “봄바다 빙산녹듯 북한도 변할것”/노 대통령 워싱턴 도착하던 날

    ◎공항에 1천여교민 환영출영/일일이 악수하며 “마음 든든하다”격려 ○2박3일 일정시작 ○…노태우 대통령은 1일 오후(한국시간 2일 오전 6시)워싱턴 근교 앤드루스 미 공군기지에 도

    중앙일보

    1991.07.02 00:00

  • “영호남 화합 시급”교민호소/노 대통령 샌프란시스코 이모저모

    ◎정호용씨와 리셉션서 담소/“정씨 조만간은 귀국 안할것 같다” 이 대변인 단언/노­부시 정상회담 직후 테니스하기로 일정 조정 ○…방미 이틀째를 맞은 노태우 대통령이 30일 샌프란시

    중앙일보

    1991.07.01 00:00

  • 노 대통령 29일 미·가 순방/국빈자격

    ◎정상회담 통해 아­태협력 논의 노태우 대통령내외가 부시 미국 대통령 및 멀로니 캐나다 총리의 초청으로 7월1일부터 5일까지 미국·캐나다를 공식방문한다고 이수정 청와대 대변인이 3

    중앙일보

    1991.06.03 00:00

  • 주일대사

    한일관계에는 늘 빛과 그림자가 함께 드리워져 왔다. 우리는 한자와 불교·도자기문화등을일본에 전해 주었다는 자부심이있지만 임신왜난과 한일합방으로 뼈아픈 침달의 고통을 당하기도했다.

    중앙일보

    1991.01.11 00:00

  • 불확실한 소련장래|미·일·불 전문가가 진단한 새해 국세정세 지상 좌담

    ◇헬무트 소넨펠트=▲1926년 독일에서 출생 ▲제2차 세계대전 후 미 존스홉킨스대 석사학위 획득 ▲존스홉킨스대 이사·동 대학 국제관계대학원 자문위원·영국국제전략 문제연구소 연구위

    중앙일보

    1991.01.01 00:00

  • “노대통령 방소 남북통일에 기여” 소

    ◎미/놀라움 표시… 결과 나올때까지 논평 유보 ○각국 언론반응 【모스크바 타스=연합】 소련 타스통신은 13일 『2,3년전만해도 군사·이데올로기적 장벽의 반대편에 서있는 한국과 소련

    중앙일보

    1990.12.14 00:00

  • 미­소/제주 정상회담 타진

    ◎내년 3∼4월 한국­일본 방문 일정에 맞춰/몰타방식 「아시아 냉전체제 종식선언」 구상/소­미 비공식접촉… 한국과 협조방안 모색 내년 4월 제주에서 미소 정상회담을 갖자는 계획이

    중앙일보

    1990.12.09 00:00

  • 북한ㆍ일 관계개선 환영/미 국무부 논평

    【워싱턴=연합】 미 국무부는 북한­일본의 관계개선 합의에 관해 『이는 남북대화를 촉진하고 북한의 고립 탈피를 위해 노력하는 노태우 대통령의 이니셔티브와 일치하는 조치로서 이를 환영

    중앙일보

    1990.09.29 00:00

  • 김영삼대표 미ㆍ가행/대외「2인자 과시」 타계파선 뾰로통

    ◎부시와 면담추진 성과 극대화 노려/“입지강화용” “대야 협상외면” 비난도 김영삼 민자당대표최고위원의 8월말 캐나다ㆍ미국 방문은 그의 정치하한기대책중 가장 심혈을 기울여 마련한 기

    중앙일보

    1990.08.20 00:00

  • 남북총리회담 합의는 “청신호”/미 하원 북한청문회 주요 내용

    ◎김일성 사후엔 큰변화 올 듯/북한 핵개발 중 소 통해 포기 설득 미하원 외교위 아시아­태평양 소위(위원장 스티븐 솔라즈)는 25일 「한국­남북관계 및 핵문제」란 주제로 청문회를

    중앙일보

    1990.07.26 00:00

  • 남북한 자유왕래 제의/북한도 무조건 호응을/미 국무부 희망

    【워싱턴=한남규특파원】 미국 국무부의 마거릿 터트와일러대변인은 20일 노태우대통령의 판문점을 통한 남북 자유왕래 제의를 환영한다고 말하고 미국은 북한도 이에 상응하는 무조건의 방문

    중앙일보

    1990.07.21 00:00

  • 노대통령 방미후 귀국할 때 미 AWACS기 출동 경계

    ◎10ㆍ26사태 아웅산테러때 이어 세번째/노­고르바초프 회담에 불만/북한 미사일공격 첩보따라 노태우대통령이 한소ㆍ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지난 8일 하와이에서 귀국할 때 미 태평양지

    중앙일보

    1990.06.12 00:00

  • “한소회담 북방정책의 큰 결실”/노대통령 방미 스케치

    ◎일정바꿔 샌프란시스코 교민과 조찬나눠 ○6개국 협제의 설명 ○…노태우대통령은 4일 오후(현지시간)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숙소인 페어몬트호텔에서 국내 TV와

    중앙일보

    1990.06.06 00:00

  • “소의 한국인정 중요한 진전”/정상회담 각국 반응

    ◎“동북아 정치ㆍ경제에 변화계기” 미/“「한국카드」 이용 일의 자금유인” 일 ▷미국◁ 미국정부는 노태우­고르바초프 한소 정상회담과 관련,한소 관계발전을 환영한다고 리처드 바우처 미

    중앙일보

    1990.06.06 00:00

  • 통일전망 밝아져/미국,한소회담 환영

    【워싱턴=연합】 미 국무부는 5일 『미국은 한국과 소련대통령간의 샌프란시스코회담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하고 『이 역사적 회담은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궁극적인 한반도 통일에 대

    중앙일보

    1990.06.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