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월15일 하와이에 동상세우고 「이승만박사의 날」선포|광복절 40주년맞아 사후최대 추모행사

    초대대통령 우남 이승만박사의 동상이 광복40주년인 오는 8월15일 미국 하와이주호놀룰루시 한인교회 앞뜰에세워진다. 이박사의 동상건립은 83년3월 하와이교민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동상

    중앙일보

    1985.07.31 00:00

  • 6월의 자유공원

    갈대 무성ㅎ던 포구 외항선이 드나든다 북성포 덩덕궁이 지금도 들리는 듯 100주년 기념탑신에 귀기울여 듣는다. 앞 바다 거친 물결 내조국의 아픈 역사 뜨거운 피 물든 사연 수평 너

    중앙일보

    1985.06.29 00:00

  • "나토에 갈 무기 절반 한국에 보냈죠"

    6·25때 미7사단장으로 참전했었고 55년 다시 유엔군 사령관으로 한國에 왔던 「라이먼·렘니처」장군(86)은 지금 강국무성 북대서양조약기구 (나로) 연락 사무소의 방 한칸을 얻어

    중앙일보

    1985.06.25 00:00

  • 화단의 원로작가 4인작품 206점 한자리에|국립 현대미술관, 장우성·유경채·김경승·김충현 초대전|21일∼7월10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이 한국미술의 정립을위해 특별기획한「원로작가 초대전」이 21일부터 7윌10일까지 덕수궁현대미술관 서관에서 열린다. 한작가에 방2개씩을 주어 한국화56점, 양화55점,

    중앙일보

    1985.06.21 00:00

  • 미 노포크시서 전달식

    【워싱턴=장두성 특파원】삼성 이병철회장이 미국버지니아주 노포그에 있는「맥아더」기념관에 기증한「맥아더」장군동상(사진)전달식이 15일 이 기념관 중앙홀에서 거행됐다.「조제프·리프」노포

    중앙일보

    1984.09.17 00:00

  • 호암미술관의「맥아더」동상 만든 조각가 김경승씨

    호암미술관 앞뜰에 새로 세운「맥아더」장군 동상의 제작자 김경승씨(70·예술원정회원) 를 찾았다. -「맥아더」장군을 어떤 인물로 빚으셨읍니까? 『지혜와 용맹을 겸비한 덕장으로 만들었

    중앙일보

    1984.08.18 00:00

  • 한국의 은인 맥아더장군 동상 건립|호암미술관 국난극복 공기려 용인자연농원에

    호암미술관은 한국전갱의 은인인「맥아더」장군 동상을 벌인 자연농원안 호암미술관 앞뜰에 건립했다. 한국을 위기에서 구한 역사적 인물과 그의 업적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삼성 이병철회장의

    중앙일보

    1984.08.16 00:00

  • 동상

    낯익은 얼굴의 낯선 동상이다. 용인 자연농원 호삼미술관 앞뜰에 세워진 이승만 박사와 「맥아더」 장군의 전신상. 비록 크기는 실물대보다 다소 작은 단아한 규모지만, 동상의 이미지는

    중앙일보

    1984.08.15 00:00

  • 조각가 김경승씨 작품집 내

    조각가 표천 김경승씨(예술원회원)가 고희를 맞아 조각 작품집을 냈다. 5백부 한정판으로 낸 이 책에는 김화백의 대표작 1백여 점이 수록돼 있다. 김씨는 1939년 동경미술학교 조각

    중앙일보

    1984.07.27 00:00

  • 6·25와 이승만 대통령(95)-프란체스카 여사 비망록 33년 만에 공개

    「맥아더」 장군이 20일 전선은 완전히 갖추어져 있어서 중공군을 몰아내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우리에게 알려주었다. 미8군은 극히 만족스러운 태도로 임무수행을 하고 있으며 한국 교두보

    중앙일보

    1984.01.31 00:00

  • TV화면에 양담배 비쳐 점장이 벌금물고 큰 곤욕

    ○…서울상봉동에서 신당을 차려놓고 점을치는 현보살(44·여)은 지난해 12월11일 하오8시40분부터 1시간동안 KBS-TV에 방영된 추적60분 프로에 등장했다가 신당위에 모셔놓은

    중앙일보

    1984.01.12 00:00

  • (84)프란체스카女史 비망록 33년안에 공개

    대통령은「올리버」박사에게 다음과같은 편지를 보냈다. 중공군이 약 1개월전 한국을 침공해 들어온 이래 수천의 인명이 매일같이 전투, 전방의 양측에서 희생되어 왔읍니다. 문자그대로 수

    중앙일보

    1983.12.30 00:00

  • 맥아더장군 미망인과 오찬나눠

    방미중인 이병철삼성회장은 31일 「맥아더」장군의 미망인을 오찬에 초대, 환담했다. 「맥아더」장군묘소도 참배한 이회장은 『한국의 위대한 은인이며 평소에 가장 존경했던분이 「맥아더」장

    중앙일보

    1982.04.01 00:00

  • 맥아더 장군의 명복 빌어 동상 앞에 4년째 꽃 바쳐

    경기도 인천시 자유공원에 우뚝서. 밀려드는 파도를 바라보는 「맥아더」장군상. 지난 4년 동안 남몰래 한아름의 꽃으로 단 한때도 거르지 않고 고인의 위업을 기리는 사람이 있다. 77

    중앙일보

    1980.12.03 00:00

  • "자유 지킨 넋 기려 후세에 전한다"인천상륙 30주 전적비를 세워|높이19m 탑 위엔 횃불 든 해병상

    『광란의 성풍이 문득 배에서 불어와 이 산하 피로 물들이던 날. 만방의 자유민 분노하여 뭉쳐 모여 전사에 길이 남을 승전고를 울렸으니 여기가 인천, 민족의 사활을 가름한 결전의 옛

    중앙일보

    1980.09.16 00:00

  • 조각가 김경승씨 첫 개인전

    60대 초반의 조각계 원로인 김경승씨가 처음으로 개인전을 마련한다. 앞으로 다시 개인전을 갖기는 좀처럼 쉽지 않으리라는게 작가의 변이다. 이번 작품은 그의 초기 작품인 「소년입상』

    중앙일보

    1977.11.02 00:00

  • 신춘「중앙문예」단편소설 당선작|빛깔과 냄새

    외마디 신음이 터져 나왔다. 운경이가 대학을 갓 들어갔을 무렵, 서울 친구를 따라 명동 구경을 나왔던 어느 날, 「딸라 골목」을 지나는데 사람들이 어찌나 많던지 밀리고 밀리다가

    중앙일보

    1977.01.01 00:00

  • 「포드」미국대통령을 맞는 한국

    한국에 대하여 미국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온「포드」대통령의 방한에 대하여 내외에서 일고있는 착잡한 논의들은 우리에게 다시 한번 한·미 관계의 어제와 오늘을 생각케

    중앙일보

    1974.11.16 00:00

  • (218)남과 북의 포로수용소

    상병포로란 문자 그대로 전투 중 부상하고 적에 잡혔거나 포로생활 중 병에 걸린 군인으로서 전쟁에서 가장 불행한 처지에 놓인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포로가 된 것만도 불행한데 몸마

    중앙일보

    1971.08.23 00:00

  • (167)「6·25」20주년…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인천상륙(10)|한국 해병대의 출동(2)

    한국 해병대는 미 제1해병 사단에 배속됐기 때문에 자연히 모든 작명이나 지휘를 미군으로부터 받았다. 인천에 상륙할 때에도 미 해병 다음으로 제2파에 끼여 올라갔다. 그러나 상륙이나

    중앙일보

    1971.04.26 00:00

  • 인천상륙전 승 20돌

    【인천】해병대는 인천상륙작전 20돌을 맞아 13일 상오10시 군악대를 선두로 인천시가행진을 벌이고 「더글러스· 맥아더」장군의 동상이 있는 인천자유공원에서 기념사진전시회를 열었다.

    중앙일보

    1970.09.15 00:00

  • (36)6·25 20주 3천여의 증인 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가장 길었던 3일(36)

    한강다리는 처음에는 27일하오 4시쯤에 끊을 계획이었다. 이날 하오께에 창동저지선이 무너지자 육본지휘부는 참모회의를 거쳐 시흥으로 후퇴를 결정, 하오 1시께부터 철수를 시작했다.

    중앙일보

    1970.06.22 00:00

  • (85)-희마의 계단⑫

    「맥아더」장군의 용자가 인천만을 굽어본다. 오랜 풍상에도 위용을 잃지 않았다. 인천 자유공원에서 한눈이면 전시가. 『노병은 죽지 않는다』던 그의 기백이 동상의 혈맥을 이루고있다.

    중앙일보

    1967.09.16 00:00

  • 비에 젖은 「단원」

    【인천=김진규·임판호·김영석기자】공화·신민 양당의 마지막 유세가 열린 30일 인천시내는 선거 「붐」으로 온통 들끓었다. 이날은 아침부터 계속 비가 내렸으나 공화당의 박 후보는 예정

    중앙일보

    1967.05.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