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015년 달에 有人기지 세운다

    2015년 달에 有人기지 세운다

    “2015년부터 인류를 달에 정착시키고,달을 전초기지 삼아 2030년 이후 화성은 물론 더 멀리 외계로 우주탐사 범위를 넓히겠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14일 (현지시간)

    중앙일보

    2004.01.15 19:09

  • [과학과 미래] 우주 항로는 지금 '러시아워'

    [과학과 미래] 우주 항로는 지금 '러시아워'

    올 크리스마스에 인류는 토성에서 날아온 선물을 받을 것 같다. 1997년 10월 15일 발사된 토성 탐사선 카지니(Cassini)호가 올 12월 25일 7년여의 우주여행 끝에 도달

    중앙일보

    2004.01.14 15:29

  • [틴틴 경제] 우주탐사, 경제엔 무슨 도움되나요

    [틴틴 경제] 우주탐사, 경제엔 무슨 도움되나요

    부시 미국 대통령은 최근 유인 우주선을 화성에 보내고, 달에는 영구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공상 과학에나 나오던 것을 현실로 만들겠다는 것이지요. 우주 개발을 하는 데는

    중앙일보

    2004.01.11 16:32

  • [사이언스 브리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外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핵자기공명분광(NMR) 분야의 획기적 기술 및 이론 개발로 1991년 노벨 화학상을 단독 수상한 리하르트 R 에른스트(70.스위스) 스위스연방공과대 교수를

    중앙일보

    2003.11.19 15:58

  • [과학과 미래] '바다속 전투기' 공상 아니다

    2000년 8월 북해에서 러시아의 핵잠수함 'K-141 쿠르스크'호가 의문의 침몰 사고를 당했다. 당시 언론에서는 사고 원인을 놓고 신형 초고속 어뢰시험 과정에서 폭발사고가 난 것

    중앙일보

    2003.11.19 15:43

  • 나노·우주기술 개발 등 성장엔진에 집중 투자

    과기부(www.most.go.kr)와 정부 출연 연구기관들의 내년도 예산 확보 경쟁이 끝났다.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은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국회 심의를 남겨놓은 상태다. 내년도 과학

    중앙일보

    2003.10.01 15:51

  • [200자 서평] 일상서 생기는 과학 궁금증 풀이

    ◇ 만물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마셜 브레인 지음, 김동광 옮김, 까치, 2만3천원)= 만물 백과사전에 해당하는 과학 교양서다. 비행기.헬리콥터.비행선 등 하늘을 나는 장치, 증기엔진

    중앙일보

    2003.08.15 17:20

  • [월간중앙]“개전 3시간 안에 美 2사단 궤멸한다”

    토머스 슈워츠 前 주한 미군 사령관은 2000년 3월7일과 15일에는 미 상원에서, 4월5일에는 CIA 본부에서 “북한군이 남침을 개시하면 3시간 이내에 전방에 배치된 주한미군은

    중앙일보

    2003.04.09 19:46

  • [안성규 기자 종군기] "총든 이라크인 무조건 사살" 명령

    이라크 중부의 알 사마와 북서쪽에 있는 미군 보급기지 캠프 피터빌에는 26일 오전(현지시간) 긴장이 감돌았다. 2백km 떨어진 바그다드에 있던 이라크의 정예 공화국수비대가 반격을

    중앙일보

    2003.03.27 18:45

  • 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재성 교수

    뛰어난 업적을 낸 공학자들에게 수여하는 '제7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및 젊은 공학인상'시상식이 지난 18일 오후 5시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렸다. 대상은 이재성(79) 서울대 명예교

    중앙일보

    2003.03.19 15:50

  • "우주쓰레기와 충돌 폭발 가능성"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의 공중폭발 사고의 원인을 조사 중인 미 항공우주국(NASA)이 발사 당시 외부 연료탱크 파편에 의한 왼쪽 날개 손상이 아닌 다른 원인을 찾고 있다고 5일 밝혔

    중앙일보

    2003.02.06 19:58

  • [축하합니다] 한공우주硏 설우석 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켓엔진연구그룹의 설우석(薛又碩.41)박사가 영국 국제인명센터(IBC)가 뽑은 '위대한 아시아인 1천인'에 지난 5일 선정됐다. 薛박사는 지난해 11월 발사에 성

    중앙일보

    2003.02.06 17:28

  • [컬럼비아호는…] 美최초 우주왕복선

    1일 지구로 귀환 중 폭발한 컬럼비아호는 미국 최초의 우주왕복선이다. 1981년 처음으로 우주궤도를 비행했고, 지난달 16일 시작된 비행은 28번째 우주왕복이었다. 미 항공우주국은

    중앙일보

    2003.02.02 18:39

  • 안보리보고서 "이라크 사찰 연장 필요"

    [뉴욕=심상복 특파원] 유엔 감시.검증.사찰위원회(UNMOVIC)와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7일 유엔 안보리에 제출한 이라크 사찰보고서에서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WMD)를

    중앙일보

    2003.01.28 02:01

  • 일본 열도 '실패학' 열풍

    일본에서 '실패학(學)'이 각광받고 있다. 중앙정부.기관에 이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업들 사이에서도 실패학이 붐을 이루기 시작했다. 실패의 쓴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모두가 공유

    중앙일보

    2003.01.06 19:07

  • [대덕밸리 벤처 2題]금속 용접않고 붙이는 기술 개발

    "나무와 금속, 금속과 비금속, 석영과 스테인리스…. 사람을 제외하고 붙일 수 있는 것은 뭐든지 다 붙인다. " 대전 대덕밸리의 벤처기업 ㈜스펙이 생산하는 제품의 기능은 한마디로

    중앙일보

    2002.12.20 00:00

  • 국산 로켓

    북한이 4년 전 사거리 4천㎞의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가장 겁먹은 나라가 일본이었다. 그러나 일본은 때를 기다린듯 첩보위성 발사 결정을 내렸다. 이번엔 한국 정부가 당황했

    중앙일보

    2002.11.30 00:00

  • 액체연료 로켓은 '300㎞ 제한' 안받아 2005년 위성 자체 발사도 가능

    우주개발용 로켓은 한 나라의 기술력을 가늠하는 잣대로 통한다. 지상과 우주의 극한 환경을 다 견딜 수 있는 첨단기술이 없이는 개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항공우주연

    중앙일보

    2002.11.22 00:00

  • [과학기술과 국방]美, 무인전투기 實戰 배치 눈앞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첨단무기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조종사 없는 전투기, 초소형 첩보기, 지능형 탱크 등의 개발 시험이 성공을 거두고 있다. 공상과학영화 속

    중앙일보

    2002.10.31 00:00

  • 냉난방 가능한 군화 나오나

    한겨울 전방 초소에서 보초를 서다보면 발이 얼어붙는 듯하다. 영하 20∼30도의 추위를 막는 데는 목이 긴 군화도 별 도움이 안된다. 그러나 미래에 군생활을 하는 장병은 겨울에

    중앙일보

    2002.10.10 00:00

  • 쓰레기 버리고 보급품 기다리는 우주 정거장

    쓰레기 버리고 보급품 기다리는 우주 정거장

    발사 직전 러시아 로켓에 실려있는 프로그래스 9호. 국제 우주 정거장의 승무원들은 쓰레기로 가득찬 낡은 화물 우주선을 떼어내고 또 다른 화물선을 맞을 채비에 나섰다. 식품, 생필품

    중앙일보

    2002.09.27 08:48

  • 거대한 에어백으로 운석 충돌 막는다?

    거대한 에어백으로 운석 충돌 막는다?

    스위스 윈터더에서 지난 8월 18일 촬영된 소행성의 모습. 2002 NY40이라고 명명된 직경 8백미터의 이 소행성은 지구에서 52만2천킬로미터 떨어진 궤도로 안전하게 지나갔다.

    중앙일보

    2002.09.05 11:53

  • 음속 7배 비행엔진 개발 서울대 정인석 교수 핵심역할

    지난 7월 말 호주에서 시험 발사에 성공한 시속 8천㎞ 이상의 극초음속 비행엔진의 개발에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정인석(鄭仁碩·50)교수가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鄭교수

    중앙일보

    2002.09.05 00:00

  • 배낭 로켓 타고 훨훨 난다고?

    요즘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영화가 화제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하고 톰 크루즈가 주연을 맡은 것만으로 개봉 전부터 큰 관심거리였지만 영화 자체도 완성도가 높아 몇 주째 흥행

    중앙일보

    2002.08.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