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차기복합형 소총, 3~4m 상공서 탄환 폭발

    앵커: 우리나라가 세계최초로 공중폭발탄을 사용하는 '차기 복합형 소총'을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적군의 머리 위에서 폭발해 타격을 주는 신개념 소총인데요. 내년부터 야전부대에 실전배

    중앙일보

    2008.12.12 16:24

  • 숨은 적 머리 위서 탄환 폭발 ‘차세대 소총’ 개발

    숨은 적 머리 위서 탄환 폭발 ‘차세대 소총’ 개발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세계 최초로 정밀 공중폭발탄(유탄)을 발사할 수 있는 복합형 소총 개발에 성공했다. 국과연 관계자는 28일 “적진 상공에서 터지는 공중폭발탄을 발사할 수

    중앙일보

    2008.07.29 02:35

  •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 NO! 로봇 자동차 개발

    무인자동차 대회에서 로봇자동차가 과학기술의 승자로 결정되었다. 이제 이 기술은 실용화 단계만 남겨 놓고 있다. 지난 3일에는 폭스바겐 AG와 제네럴 모터스의 자동차가 운전자 없이

    중앙일보

    2007.11.06 13:07

  • 특수 헬멧 … 입는 컴퓨터 … 미래 한국군은 '로보캅'

    특수 헬멧 … 입는 컴퓨터 … 미래 한국군은 '로보캅'

    냉난방 장치를 단 전투복과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장착한 개인 소총…. 국군기무사령부가 22일 공군회관에서 개최한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발표회)'에서 정보통신기술 등을 반영해 2

    중앙일보

    2007.05.23 04:33

  • '빛 박사' 이종민 소장 새해 희망 말하다

    '빛 박사' 이종민 소장 새해 희망 말하다

    레이저는 인간이 만든 가장 아름답고 용도가 무궁무진한 빛으로 꼽힌다. 전구에서 나오는 빛처럼 여러 가지 색이 섞여 있지 않고 순수하게 한 가지 색만으로 이뤄졌으며, 인류가 들여다

    중앙일보

    2007.01.04 20:47

  • [브리핑] "저공침투 방지 대공포 성능 엉망"

    한나라당 이성구 의원은 13일 국방부 국감에서 "저공으로 침투하는 적 항공기를 레이더로 탐지, 3㎞ 이내에서 요격하는 30㎜ 자주 대공포인 '비호'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중앙일보

    2006.10.14 05:00

  • [박용기의표준이야기] 속도위반

    [박용기의표준이야기] 속도위반

    한 경찰이 시속 20㎞로 가는 차를 세웠다. 운전자는 연세가 드신 할아버지. 경찰은 너무 천천히 운전하시는데 차에 무슨 문제라도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할아버지는 불만스러운 듯

    중앙일보

    2006.08.18 21:18

  • 두께 50㎝ 철판 뚫는 철갑탄 … 더 강해진 국산 무기

    두께 50㎝ 철판 뚫는 철갑탄 … 더 강해진 국산 무기

    두께 50㎝ 강철판을 뚫는 철갑탄, 적의 머리 위에서 터지는 공중 폭발탄, GPS가 장착된 장거리 유도포탄…. 국방 무기 개발의 본산인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했거나 개발

    중앙일보

    2005.12.15 20:31

  • [과학] 저 미세한 우주의 파 ~ 동

    [과학] 저 미세한 우주의 파 ~ 동

    '태양과 같이 매우 무거운 천체 근처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휜다' '블랙홀은 존재한다' '우주는 팽창한다' '중력도 빛의 속도로 퍼지는 파장으로 존재한다'.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중앙일보

    2005.04.20 20:19

  • [과학과 미래] 과학으로 푸는 '역사 미스터리'

    과연 백제가 고대왕국의 기틀을 마련한 것은 언제인가. 현재 고교 국사 교과서에는 8대 임금인 3세기 고이왕 때라고 돼 있다. 중국의 역사책인 '삼국지'의 '위지동이전'에 따른 것이

    중앙일보

    2003.04.23 16:04

  • 라식 수술 제대로 알아보기

    라식 수술 제대로 알아보기

    근시교정술과 최근에 많이 알려진 라식수술과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한 근시교정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엑시머레이저수술이란 무엇입니까? 엑시머레이저수술이란 알곤 플루오라이드 혼합가스

    중앙일보

    2003.02.19 14:31

  • 3D 공간 인지 로봇 개발 '복잡한 길도 거뜬!' [2]

    현재 이와 다른 로봇 시각 시스템 기술로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있다.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로봇과 사물과의 거리를 레이저가 반사되는 시간을 이용해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모라벡은

    중앙일보

    2003.01.03 10:03

  • 야간 투시경 컬러로 본다

    미군이 아프간 전쟁에서 야간 투시경을 이용해 큰 전과를 올리고 있다. 미군은 구름에 별빛조차 가려진 밤에도 수㎞ 떨어진 숲에 숨은 적군을 대낮에 보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중앙일보

    2001.12.03 10:27

  • 6km 앞도 훤히 …미군 야간 투시경 이용해 큰 전과

    미군이 아프간 전쟁에서 야간 투시경을 이용해 큰 전과를 올리고 있다. 미군은 구름에 별빛조차 가려진 밤에도 수㎞ 떨어진 숲에 숨은 적군을 대낮에 보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알

    중앙일보

    2001.12.03 00:00

  • 맞춤라식

    허리, 또는 목둘레 만으로 모든 사람의 체형에 맞는 기성복을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마찬가지로 굴절교정 역시 각개인의 각막 부위부위의 굴절이상에 따라 시력교정을

    중앙일보

    2001.11.26 10:11

  • 노근리현장 정밀조사 착수

    국방부 노근리사건 진상조사반은 18일 구체적인 양민학살 물증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인력과 탐지 특수장비 등을 동원,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현장에 대한 정밀 기술조사에 들어갔다.

    중앙일보

    2000.07.19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37)

    (37) 탱크부대 출장 나는 서둘러 청와대로 들어갔다. 예상대로 오원철(吳源哲.72)대통령경제2수석은 몹시 심기가 불편해 보였다. 그날 오전 과학기술처 연두순시에서 일어난 해프닝

    중앙일보

    2000.01.2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36) 뒤바뀐 입장 미국의 무기 제조회사인 휴즈 에어크래프트社는 우리가 레이저 탱크사격 통제 장치를 독자 개발한다는 얘기를 어디서 들은 모양이었다. 우리가 이미 개발을 끝낸 사실

    중앙일보

    2000.01.26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35)

    (35) 고진감래 레이저 탱크사격 통제장치 개발 작업은 두 부분으로 나눠 진행했다. 그러나 어느 것 하나 만만치 않았다. 핵심 부품인 레이저 거리측정기의 경우, 예상 외로 어려움이

    중앙일보

    2000.01.2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34)

    (34) 횡재 이어진 출장길 미국의 레이시온社는 30여만명의 직원을 거느린 거대 무기회사였다. 그럼에도 나를 대하는 태도는 매우 깍듯했다. 하찮은 고객이라도 놓치지 않으려는 배려가

    중앙일보

    2000.01.24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33)

    (33) 다시 돌아온 '친정' 1978년 7월 나는 다시 국방과학연구소(ADD) 레이저.야시(夜視)장비 부장을 맡았다. 1년만에 친정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 사이 레이저실은 레이저

    중앙일보

    2000.01.21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26)

    (26) 산 넘어 산 77년 6월 초순 어느날, 김성진(金聖鎭.69.전 과학기술처장관)국방과학연구소(ADD)부소장이 급히 나를 찾았다. 늘상 있는 일이었기에 나는 별다른 생각없이

    중앙일보

    2000.01.10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24)

    (24) 새옹지마 징조 최형섭(崔亨燮.80.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문)과기처장관은 몹시 화가 난 얼굴로 옆에 서 있던 전상근(全相根.73.전 청도주택 회장)과기처 종합기획실장을 쳐다봤

    중앙일보

    2000.01.0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수류탄에서 원자로까지 (17)

    (17) 코피 쏟은 프로젝트 美국방부 고등연구국(DARPA)이 우리 레이저팀에 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란 결코 쉽지 않았다. 그때까지도 우리는 레이저나 적외선 등 광선이 날씨에 따라

    중앙일보

    1999.12.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