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참다운 인간상 지향하면 누구에게나 선비의 길 열려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참다운 인간상 지향하면 누구에게나 선비의 길 열려

    조선의 대표적인 선비와 선비군주로 불리는 윤두서(왼쪽), 최익현(가운데)과 정조(오른쪽). 윤두서(1668~1715년)는 윤선도의 증손으로 숙종 때 과거(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당

    중앙선데이

    2014.09.28 02:18

  • 융·복합의 디지털 시대 최치원에게 길을 묻다

    융·복합의 디지털 시대 최치원에게 길을 묻다

    김양동의 ‘계원필경 중원제사(中元齊詞)’(2014), 화선지에 먹, 180 × 250cm 23일 열린 ‘인문학자와 예술가의 대화’ 참석자들이 작품 설명을 듣고 있다. “풍류? 그

    중앙선데이

    2014.08.30 14:58

  • [길 위의 인문학] 알고자 하는 인간 본능, 스마트폰 등장과 함께 사라지다

    [길 위의 인문학] 알고자 하는 인간 본능, 스마트폰 등장과 함께 사라지다

    일러스트 강일구 “밤하늘의 별을 보고 길을 찾아 가던 시대는 복되도다!”20세기를 대표하는 마르크스주의 미학자 게오르그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에 나오는 말이다. 언제 들어도 가

    중앙선데이

    2014.08.24 02:09

  • [S BOX] 실크로드 경제권 핵심은 '중화문명+과학기술'

    [S BOX] 실크로드 경제권 핵심은 '중화문명+과학기술'

    ‘문화+과학기술=창조문화’.  롄지(連輯·59·사진) 간쑤(甘肅)성 선전부장(차관급)의 21세기 신문화 공식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야심 차게 추진하는 ‘이다이이루(

    중앙일보

    2014.08.16 01:19

  • 중국 실크로드 프로젝트 심장 간쑤성을 가다

    중국 실크로드 프로젝트 심장 간쑤성을 가다

    중국 간쑤(甘肅)성 진창(金昌)시 융창(永昌)현 리첸촌에 금산사(金山寺)라는 절터가 있다. 고대 로마군 후예들이 이곳에 정착해 세운 절이다. 요즘 이곳엔 공사가 한창이다. 총 연

    중앙일보

    2014.08.16 01:18

  • [교양교육 단과대 '다르마칼리지'] 고전 100권 읽어야 졸업 가능

    [교양교육 단과대 '다르마칼리지'] 고전 100권 읽어야 졸업 가능

    동국대학교의 교양교육 시스템이 전면 개편됐다. 동국대는 2014년 새학기부터 기존 교양교육을 단과대학급의 다르마칼리지(Dharma College)로 확대·개편하고 인문학 중심의

    중앙일보

    2014.07.21 00:01

  • 디지털 혁명 이끌 바탕은 교양교육

    디지털 혁명 이끌 바탕은 교양교육

    손동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장이 “대학은 학생들이 삶에 대한 식견을 갖추도록 전공 교육 이상으로 교양교육에 공을 들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우리나라 대학 교육은 근

    중앙선데이

    2014.03.16 00:32

  • 사해 살리고 이·팔 공존 물길 뚫고 … 홍해서 답을 찾다

    사해 살리고 이·팔 공존 물길 뚫고 … 홍해서 답을 찾다

    요르단과 이스라엘 사이에 있는 동서 15㎞, 남북 80㎞ 규모의 사해(死海·Dead Sea)는 이름 그대로 죽어가고 있다. 북쪽 요르단강에서 유입되는 수량이 급감한 데다 기후변화로

    중앙일보

    2013.12.11 00:42

  • [강승민 기자의 '살림의 신'] 10분 투자로 20년 젊게 사는 '동안녀'

    [강승민 기자의 '살림의 신'] 10분 투자로 20년 젊게 사는 '동안녀'

    영원히 젊게 살 순 없을까. 늙지 않는 방법은. 노화방지 혹은 회춘이란 문제는 인간의 근본 욕망이 아닐까. 인류가 문명화한 이래로 노화를 늦추거나 영생을 얻으려는 마음은 동과 서가

    중앙일보

    2013.11.22 00:05

  • “우리 문화 속 실크로드 DNA, 한류로드로 이어 가야 ”

    “우리 문화 속 실크로드 DNA, 한류로드로 이어 가야 ”

    최정동 기자 실크로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국내외적으로 학계와 정치권의 담론이 잇따르면서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문명 교류 통로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실크로드가

    중앙선데이

    2013.11.16 23:56

  • 3800년간 모래에 묻혔던 ‘누란의 미녀’를 만나다

    3800년간 모래에 묻혔던 ‘누란의 미녀’를 만나다

    동서 1000㎞, 남북 400㎞에 달하는 타클라마칸은 위구르어로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다’는 뜻이다. 사진작가 정철훈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하서주랑(河西

    온라인 중앙일보

    2013.08.04 03:42

  • 3800년간 모래에 묻혔던 ‘누란의 미녀’를 만나다

    3800년간 모래에 묻혔던 ‘누란의 미녀’를 만나다

    동서 1000㎞, 남북 400㎞에 달하는 타클라마칸은 위구르어로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다’는 뜻이다. 사진작가 정철훈 하서주랑(河西走廊)을 빠져나온 길은 북쪽의 톈산산

    중앙선데이

    2013.08.04 01:53

  • "온고창신으로 동북아 문제 해결하자"

    "온고창신으로 동북아 문제 해결하자"

    동북아의 협력과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설립된 민간 협의기구인 한·중·일 30인회가 7일 오후 일본 홋카이도 도야시 윈저호텔에서 열렸다. 8회째인 이번 회의는 이틀간의 일정으로 열린

    중앙일보

    2013.07.08 01:07

  • 동서식품, 자색 옥수수차 출시

    동서식품, 자색 옥수수차 출시

    동서식품(대표 이창환)은 눈에 좋은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동서 자색 옥수수차’를 23일 발매했다. ‘동서 자색 옥수수차’는 시력 향상에 좋은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페루산 자색 옥수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4.24 08:51

  • 중국의 그랜드캐년 태항산대협곡

    중국의 그랜드캐년 태항산대협곡

    중국 태항산은 하남성, 하북성, 산서성의 경계에 걸쳐 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내몽고 초원아래 산서성 북부에서 시작한다. 중국 AAAA급 풍경구이자 하남성의 10대 풍경구의 하나로

    온라인 중앙일보

    2013.03.29 09:31

  • [기고] 천년의 길, 실크로드를 간다

    [기고] 천년의 길, 실크로드를 간다

    김관용경북도지사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 “지나온 먼 길, 마치 이 세상 귀퉁이에 나 혼자 있는 느낌이다.” 고향 계림을 떠나 구도의 길을 나선 신라 고승 혜초는 실

    중앙일보

    2013.03.21 00:37

  • [인사] 서울대 수의과대학장 류판동 外

    ◆서울대▶수의과대학장 류판동▶수의과대학부학장 윤정희▶음악대학장 김영률▶자유전공학부장 한경구▶기록관장 유홍림 ◆부산대▶교육부총장 겸 대학원장 안홍배▶대외협력부총장 전호환▶교무처장 정

    중앙일보

    2013.03.01 00:56

  • 경희대 설립자 고 조영식 박사 1주기

    경희대 설립자 고 조영식 박사 1주기

    고 조영식 박사는 미래 학생들에게 쓴 편지에서 “인류 문화 발전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인간성을 기르는 교육을 강조한 고인은 진정한 휴머니스트였다

    중앙일보

    2013.02.23 00:02

  • [책과 지식] 더 읽을 만한 책들

    [책과 지식] 더 읽을 만한 책들

    세계화 시대라지만 이슬람 문화는 아직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다. 이슬람이란 커다란 그릇을 이해하는 입문서로 『지혜의 집, 이슬람은 어떻게 유럽문명을 바꿨는가』(조너선 라이언스 지음,

    중앙일보

    2013.02.09 00:49

  • 유라시아의 교차로, 우리가 몰랐던 서역

    유라시아의 교차로, 우리가 몰랐던 서역

    신장의 역사 제임스 A 밀워드 지음 김찬영·이광태 옮김 사계절, 624쪽, 3만8000원 중국 최대 행정구역은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다. 중국 영토의 6분의 1이다. 프랑스와

    중앙일보

    2013.02.09 00:41

  • “경북을 세계에 알린다” 3월 실크로드 대장정

    “경북을 세계에 알린다” 3월 실크로드 대장정

    실크로드(Silk Road).  비단길이라는 이름은 독일인 지리학자 리히트호펜(1833~1905)이 처음 사용했다. 고대 중국과 서역 각국이 비단 등을 교역하면서 정치·경제·문화가

    중앙일보

    2013.02.01 01:28

  • 安 떠났던 박경철 "정치적 낙인은 무서운 형벌"

    安 떠났던 박경철 "정치적 낙인은 무서운 형벌"

    의과대학을 다니던 20대 청년 박경철의 가슴에 뜨거운 불길을 일으킨 그리스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50대를 바라보게 된 의사 박경철을 고독한 여행자로 길 위에 서게 만들었다. [

    중앙일보

    2013.01.23 00:00

  • 이스탄불서 경주엑스포 실크로드 끝과 끝 만난다

    이스탄불서 경주엑스포 실크로드 끝과 끝 만난다

    17일 터키 이스탄불시청에서 열린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2013’ 공동조직위원회 창립 총회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가운데 안경 낀 사람)와 카디르 톱바시 터키 이스탄불시장(김

    중앙일보

    2013.01.21 01:04

  • [강승민 기자의 뷰티업] 피부도 위로받고 싶다, 힐링 화장품

    [강승민 기자의 뷰티업] 피부도 위로받고 싶다, 힐링 화장품

    강승민 기자화장의 발전 역사는 문명의 발전과 궤를 같이한다. 아름다워지려는 욕망이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계급의식이 뚜렷했던 고대와 중세에는 왕과 귀족 등

    중앙일보

    2012.12.28 03:10